{{{#!wiki style="margin:-10px" | <tablebordercolor=#e61e2b> | 윤석열 관련 문서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e61e2b> 일생 | <colbgcolor=#fff,#1c1d1f>일생 | |
다른 정치인과의 관계 | |||
가족 | 아버지 윤기중 · 어머니 최성자 · 배우자 김건희 | ||
20대 대선 | 제20대 대통령 선거 · 윤석열 정부 | ||
국민의힘 선거대책본부 · 대선 공약 · 장단점 · 대망론 · 국민이 키운 윤석열 내일을 바꾸는 대통령 · 선거 로고송 · AI 윤석열 · 석열이형네 밥집 · 윤석열-안철수 단일화 · 국민캠프 · 살리는 선거대책위원회 · 정권교체동행위원회 · 윤사모 (다함께자유당 · 공정과 상식 회복을 위한 국민연합) · 뮨파 · 똥파리 | |||
비판 및 논란 | 비판 및 논란 · 발언 (2021 · 2022 · 2023 · 말바꾸기) · 본인과 가족 · 정계 입문 이전 (국정원 수사 · 서울중앙지검장 · 검찰총장) · 정계입문 선언 이후 (정책 및 공약 · 인사 · 기타) · 대통령 (인사·행사·안전 · 외교·안보·국방 · 순방) | ||
사건 사고 | 사건 사고 · 부산저축은행 대장동 불법대출 부실수사 · 김건희 팬카페의 자택 테러 협박글 · 고민정의 신천지 손가락 제스처 의혹제기 · 청담동 술자리 의혹 · 장경태의 화동 성적 학대 발언 · 입틀막 경호 · 명태균 게이트 · 대인 갈등 (이준석 · 한동훈) | ||
지지 세력 | 친윤 (윤핵관 · 주윤야한) · 사단 · 대깨윤 · 주학무 | ||
별명과 밈 | 별명 (부정적 별명) · 사람에게 충성하지 않는다 · 민지야 부탁해 · 제가 바보입니까 · 이 새끼가 술 맛 떨어지게 · 경제는 대통령이 살리는 게 아냐 · 굥정 · 윤두창 | ||
기타 | 자택 · 지지율 · 여담 · 어록 · 출근길 문답 · 특별대담 대통령실을 가다 · 윤석열-이재명 영수회담 · 탄핵론 (청원 · 퇴진 시위) · 윤석열김건희 난 | ||
별도 문서가 없는 평가 및 논란은 해당 주제 관련 문서 참고 윤석열 정부와 관련된 문서는 틀:윤석열 정부 참고 | }}}}}}}}} |
{{{#!wiki style="margin: -15px -10px -21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3%" | <tablebordercolor=#fff><tablewidth=100%><tablebgcolor=#fff>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57%"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231f20><tablebgcolor=#231f20>대한민국학술원 회원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현재 회원 | |||||||||||||||
인문사회과학부 | 자연과학부 | |||||||||||||||
[분과별 학문 분야] 1분과: 철학, 윤리학, 논리학, 미학, 종교학, 교육학, 심리학 2분과: 어문학 3분과: 사학, 고고학, 민속학, 지리학, 문화인류학 4분과: 법학 5분과: 정치학, 행정학, 사회학 6분과: 경제학, 경영학 | [분과별 학문 분야] 1분과: 수학, 물리학, 화학, 천문학, 대기과학 2분과: 생물학, 지질과학, 스포츠과학, 영양학, 가정학 3분과: 건축공학, 금속공학, 기계공학, 섬유공학, 자원공학, 전기공학, 전자공학, 정보공학, 조선공학, 토목공학, 항공공학 4분과: 의학, 치의학, 약학, 수의학 5분과: 농학, 임학, 축산학, 수산학 | |||||||||||||||
1분과 | 2분과 | 3분과 | 4분과 | 5분과 | 6분과 | 1분과 | 2분과 | 3분과 | 4분과 | 5분과 | ||||||
정진홍 | 조동일 | 차하순 | 고상룡 | 임희섭 | 이현재 | 안세희 | 이상만 | 박중현 | 이상섭 | 홍성각 | ||||||
차재호 | 홍재성 | 이기석 | 김남진 | 강신택 | 곽수일 | 노재식 | 김수진 | 김상용 | 문국진 | 이병일 | ||||||
이돈희 | 김학주 | 이기동 | 정동윤 | 안병준 | 정기준 | 박세희 | 이정우 | 노오현 | 김낙두 | 김현욱 | ||||||
소광희 | 이정민 | 김영한 | 박병호 | 김경동 | 김기영 | 권숙일 | 맹원재 | 윤덕용 | 김병수 | 황병국 | ||||||
윤사순 | 김수용 | 이성규 | 김상용 | 김용구 | 유장희 | 기우항 | 임번장 | 현병구 | 이순형 | 류순호 | ||||||
이한구 | 조주관 | 이태진 | 김효전 | 진덕규 | 이학용 | 김용해 | 장호완 | 나정웅 | 김영중 | 장동석 | ||||||
박종현 | 장경렬 | 한상복 | 임종률 | 백완기 | 이지순 | 이은 | 김상구 | 한송엽 | 고재승 | 이홍석 | ||||||
정찬섭 | 남기심 | 최병현 | 권오승 | 이정복 | 조장옥 | 조성호 | 정진하 | 최향순 | 신희섭 | 김윤수 | ||||||
진동섭 | 김인환 | 임돈희 | 최병조 | 김홍우 | 한인구 | 이호인 | 조완규 | 이장무회장 | 이영순 | 박승우 | ||||||
박용운 | 신동운 | 신용하 | 전병헌 | 김도한 | 이기화 | 이병기 | 이승규 | 최양도 | ||||||||
김호동 | 김문현 | 임현진 | 박성현 | 안진흥 | 황규영 | 이종호 | 홍성윤 | |||||||||
김영식 | 신명순 | 김진의 | 임정빈 | 유정열 | 박성회 | 김수일 | ||||||||||
고동환 | 최진호 | 박종욱 | 손장열 | 이명식 | 고희종 | |||||||||||
이형목 | 우경식 | 고규영 | 김용균 | |||||||||||||
송진원 | 한재용 | |||||||||||||||
작고 회원 | ||||||||||||||||
인문사회 분과 | 자연 분과 | |||||||||||||||
1분과 | 2분과 | 3분과 | 4분과 | 5분과 | 6분과 | 1분과 | 2분과 | 3분과 | 4분과 | 5분과 | ||||||
고형곤 | 권중휘 | 이병도 | 최태영 | 신기석 | 고승제 | 안동혁 | 손치무 | 이균상 | 한구동 | 정문기 | ||||||
안호상 | 이숭녕 | 김상기 | 유진오 | 이상백 | 최호진 | 김동일 | 강영선 | 원태상 | 윤일선 | 조백현 | ||||||
박종홍 | 이희승 | 신석호 | 고병국 | 신도성 | 신태환 | 이태규 | 정태현 | 최경열 | 이제구 | 현신규 | ||||||
김두헌 | 최현배 | 이선근 | 이근칠 | 민병태 | 유진순 | 전풍진 | 박동길 | 이종일 | 이종륜 | 우장춘 | ||||||
김기석 | 양주동 | 조의설 | 윤세창 | 김성희 | 조기준 | 최규남 | 김호직 | 이채호 | 박영진 | 김호식 | ||||||
김활란 | 이양하 | 김재원 | 이종극 | 고황경 | 김순식 | 권영대 | 이민재 | 최방진 | 이재춘 | 송재철 | ||||||
김계숙 | 이병기 | 류홍렬 | 김병노 | 김상협 | 김효록 | 최윤식 | 조복성 | 윤일중 | 이진기 | 이근태 | ||||||
이종우 | 김윤경 | 이홍직 | 이항녕 | 최문환 | 육지수 | 박철재 | 이병위 | 민한식 | 박호풍 | 박승만 | ||||||
이상은 | 손우성 | 홍이섭 | 박원선 | 정인흥 | 김준보 | 박하욱 | 김옥준 | 김기덕 | 김두종 | 심종섭 | ||||||
이인기 | 정인승 | 고병익 | 정광현 | 이만갑 | 이상구 | 조광화 | 최례석 | 최호영 | 이세규 | 지영인 | ||||||
김동화 | 조윤제 | 한우근 | 유기천 | 윤천주 | 권오익 | 이원철 | 김준민 | 김재근 | 김명선 | 이춘녕 | ||||||
김준섭 | 김형규 | 전해종 | 이한기 | 박동서 | 정수영 | 장기원 | 김창환 | 김종석 | 기용숙 | 박병희 | ||||||
오천석 | 차상원 | 이기백 | 이희봉 | 이용희 | 임원택 | 성좌경 | 김삼순 | 최형섭 | 한심석 | 윤상원 | ||||||
류승국 | 차주환 | 이광린 | 문홍주 | 김대환 | 박기혁 | 박정기 | 홍순우 | 김문상 | 우린근 | 이창구 | ||||||
이희철 | 여석기 | 김원용 | 서돈각 | 김운태 | 김옥근 | 박봉열 | 김봉균 | 신영기 | 나세진 | 김성원 | ||||||
서명원 | 조성식 | 김철준 | 손주찬 | 홍승직 | 오상락 | 최상업 | 윤석규 | 이량 | 이우주 | 이은웅 | ||||||
임한영 | 김동욱 | 이두현 | 남흥우 | 차기벽 | 정병휴 | 조순탁 | 주진순 | 장석윤 | 이문호 | 정후섭 | ||||||
최재희 | 정병욱 | 민석홍 | 황산덕 | 구영록 | 김동기 | 김치영 | 이대성 | 윤동석 | 김용관 | 강제원 | ||||||
김규영 | 강두식 | 이찬 | 김증한 | 박광순 | 이상수 | 정영호 | 한만춘 | 서병설 | 백운하 | |||||||
유형진 | 이기문 | 윤무병 | 김치선 | 조순 | 김정수 | 김훈수 | 강명순 | 이영소 | 김문협 | |||||||
백낙준 | 이능우 | 이우성 | 박일경 | 변형윤 | 최규원 | 이영록 | 윤장섭 | 권이혁 | 고재군 | |||||||
조요한 | 동완 | 황수영 | 김기두 | 윤기중 | 심정섭 | 김오중 | 오현위 | 이장락 | 최병희 | |||||||
김성태 | 장덕순 | 양병우 | 정영석 | 박을룡 | 김준호 | 최계근 | 김기홍 | 박영호 | ||||||||
김태길 | 이가원 | 민영규 | 김현태 | 윤세원 | 하두봉 | 이승원 | 박수선 | 전세규 | ||||||||
윤명로 | 김현창 | 김용섭 | 김정균 | 김태린 | 박희인 | 김재극 | 장신요 | 조재영 | ||||||||
김종철 | 김용직 | 이성무 | 김홍규 | 박태원 | 정창희 | 우형주 | 이기영 | 오봉국 | ||||||||
정양은 | 정명환 | 황적인 | 윤갑병 | 박상대 | 이택식 | 김주환 | ||||||||||
박영식 | 이경식 | 심헌섭 | 윤능민 | 황종흘 | 김용일 | |||||||||||
김충렬 | 김완진 | 김철수 | 이익춘 | 이만영 | 김정룡 | |||||||||||
조명한 | 장석진 | 김종원 | 송희성 | 조선휘 | 이호왕 | |||||||||||
오병남 | 이형국 | 고윤석 | 이리형 | |||||||||||||
정범모 | 장세헌 | 이충웅 | ||||||||||||||
조대경 | 김상주 | |||||||||||||||
길희성 | ||||||||||||||||
이성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명예회원 | ||||||||||||||
시오노 히로시 | 빈센트 푸어 | 노요리 료지 | 피터 그루스 | 위르겐 코카 | ||||||||||||
크리스티안 슈타르크 | 로거 비치 | 앨런 히거 | 난 린 | 허준이 | }}}}}}}}} |
<colbgcolor=#003876><colcolor=#fff,#fff> 출생 | 1931년 12월 19일[1][2] | ||
충청남도 논산군 노성면 죽림리 (現 충청남도 논산시 노성면 죽림리)[3] | |||
사망 | 2023년 8월 15일 (향년 91세) | ||
서울특별시 종로구 연건동 서울대학교병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003876><colcolor=#fff> 부모 | 아버지 윤호병[A], 어머니 인동 장씨 | |
형제자매 | 3남 4녀 중 3남 형 윤우중 형 윤좌중 | ||
배우자 | 최성자 | ||
자녀 | 장남 윤석열 장녀 윤신원 | ||
학력 | 공주농업중학교 (졸업 / 14회) 연희대학교 상경대학 (경제학 / 학사) 연세대학교 대학원 (경제학 / 석사)[5] 히토쓰바시대학 대학원 (경제학 / 박사 과정 수료) | ||
신체 | 176cm, B형 | ||
본관 | 파평 윤씨[6] | ||
경력 | 한양대학교 경제학과 조교수 연세대학교 상경대학 교수 세인트루이스 워싱턴 대학교 초청강사 한국통계학회장 히토쓰바시대학 객원교수 연세대학교 상경대학장 한국경제학회장 연세대학교 응용통계학과 명예교수 한국연구원 이사 윤봉길기념사업회 상임이사 | }}}}}}}}}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경제학자. 연세대학교 응용통계학과 명예교수이자 제20대 대한민국 대통령 윤석열의 부친이다. 윤봉길 기념사업회 상임이사를 역임하기도 했다. #2. 생애
젊은 시절 아들 윤석열, 딸 윤신원과 함께 찍은 사진 | 자녀들이 어릴 적 현충사에 가서 찍은 가족사진 |
아들 윤석열의 사법연수원 수료식에서 찍은 사진 | 2022년 7월 대통령실에서 아들 윤석열과 함께 찍은 사진 |
1931년 12월 19일 충청남도 논산군 노성면 죽림리에서 윤호병[A]의 3남 4녀 중 3남으로 태어났다. 그의 집안은 대사헌[8]을 지낸 윤문거[9]의 직계 후손으로, 상당히 뼈대 있는 집안이다. 공주군에서 유년 시절을 보냈으며 공주농업중학교(현 공주생명과학고등학교)를 졸업하였다.
고등학교 졸업 후 연세대학교 경제학과에 진학하여[10] 1956년에 졸업하였고 1958년에 연세대학교 대학원을 석사 졸업했다. 대학원 졸업 후 시간강사를 거쳐 1961년 한양대학교 경제학과 전임강사(조교수)에 임용되어 유학을 떠나기 전까지 재직했다.
한일수교 직후 일본 문부성 국비 장학생 1호로 선발되어 일본 히토쓰바시대학 대학원 경제학과에서 1966년부터 1968년까지 유학하여 박사 과정을 수료했다.[11]
귀국 후 1968년 연세대학교 상경대학 응용통계학과의 창립 멤버 교수가 되었다. 1991~1993년 연세대 상경대학 학장을 역임했다. 1997년 정년 퇴임하였고 퇴임 후 연세대학교 명예교수로 추대되었다.
또한 1976년 한국통계학회 회장, 1992년 한국경제학회 회장 등을 역임하였다. 2001년 경제학 분야 발전에 대한 공로를 인정받아 대한민국 학술원 회원으로 선출됐다.
2022년 3월 코로나 오미크론이 유행할 당시 코로나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입원 치료를 받았다.
2022년 5월, 아들 윤석열이 대한민국 제20대 대통령이 되면서 1992년 당시 대통령 김영삼의 부친 김홍조 이후 두 번째이자 약 30년 만에 현직 대통령의 아버지가 생존한 경우가 되었다.
2.1. 사망
2023년 8월 15일 오후 12시, 91세의 나이로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사망했다. 역대 두 번째 현직 대통령의 부모상[12]이며 부친상으로는 처음이다. 아들 윤석열은 78주년 광복절 경축식을 마치고 며느리 김건희와 함께 병원을 찾아 아버지의 임종을 지켰고, 윤석열 대통령 부부가 도착한 지 20분 뒤 사망한 것으로 알려졌다. 장례는 세브란스병원으로 옮겨져서 가족장으로 엄수할 예정이며 조문과 조화는 사양하겠다고 밝혔다.이에 여당인 국민의힘에서는 김기현 대표를 비롯해서 당 4역만 조문하기로 했고 제1야당인 더불어민주당 역시 이재명 대표를 비롯한 당 4역만 조문하기로 했다.
문재인 전 대통령도 기일인 8월 15일 조화를 보냈고 김대기 대통령비서실장에 전화를 걸어 조의를 표했다. 문재인 전 대통령은 "윤석열 대통령이 아버지에 대한 마음이 각별하니 슬픔이 클 것 같다"며 "너무 상심이 크지 않았으면 좋겠다"는 메시지를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
이 외에도 이명박 전 대통령과 부인 김윤옥 여사, 한덕수 국무총리, 김진표 국회의장, 이낙연 전 국무총리, 이준석 전 국민의힘 대표, 오세훈 서울시장, 추경호 부총리, 노태악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위원장, 김문수 경사노위원장, 이동관 방통위원장 후보, 이주호 부총리, 최재해 감사원장, 대한염증협회 회장, 김한길 국민통합위원회 위원장 등 각계 거물 인사들이 조문하였고, 박근혜 전 대통령[13]과 문재인 전 대통령, 김영삼 전 대통령의 아들 김현철도 조화를 보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도 2023년 한미일정상회담 일정 중 윤석열 대통령의 미국 도착 시간에 맞춰 윤석열 대통령 숙소에 조화를 보냈다. #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도 윤석열 대통령에게 부친상을 당한 것에 애도를 표하고 위로를 전했다.
가수 노사연도 빈소를 찾았다. 4개월 전에 이모인 현미가 사망했을 당시 윤석열 대통령이 장례식장에 조화를 보냈으니, 노사연이 이에 답례하기 위해 조문한 것이다. 전광훈 사랑제일교회 목사도 빈소를 찾았다.
하관식에서는 윤 교수의 저서 '한국 경제의 불평등 분석'과 역서 '페티의 경제학'이 봉헌(奉獻)됐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1997년 발간된 '한국경제의 불평등 분석'에 대해 "우리나라 학계에서 불모지와 다름 없던 소득과 부의 분배, 불평등 분야에 한 획을 그은 연구 결과로 학계에서 인정받는 저서"라고 소개했다.
'페티의 경제학'에 대해선 "고인은 몇 해 전까지만 해도 17세기 영국 경제학자 윌리엄 페티의 번역을 지속하셨다"며 "이 책 또한 고인께서 상당히 많은 시간을 할애하며 심혈을 기울였던 분야"라고 설명했다. #
'페티의 경제학'에 대해선 "고인은 몇 해 전까지만 해도 17세기 영국 경제학자 윌리엄 페티의 번역을 지속하셨다"며 "이 책 또한 고인께서 상당히 많은 시간을 할애하며 심혈을 기울였던 분야"라고 설명했다. #
대통령실 관계자에 의하면 사망 전 윤 대통령에게 잘 자라줘서 고맙다는 말을 했다고 한다.
3. 일화
“윤 교수님이 임용될 때엔 석사 학위만으로도 교수를 할 수 있던 시절입니다. 그 당시 구제 박사(논문 박사) 제도가 있었는데 간단한 논문을 쓰면 학위를 주는 식[14]이었죠. 너 나 할 것 없이 이를 통해 박사 학위를 받았지만, 윤 교수님은 거부했습니다. '그런 식으로 학위를 받는 게 무슨 소용이냐'는 거였죠. 이런 기질을 아들(윤석열)이 물려받지 않았나 싶어요.”
김인규 (한림대학교 교수), 출처
김인규 (한림대학교 교수), 출처
개인적으로도 원리원칙적이고 가정적으로도 매우 엄격한 성격이라 이와 관련된 일화들이 많다.
- 윤기중의 제자나 아들 윤석열의 친구들은 젊은 시절 윤기중의 집에 가면 그의 원칙적인 성격을 보여주는 것처럼 집안이 깔끔하게 정리되어 있었다고 회고했다.
- 아들 윤석열(당시 대통령 후보 신분)은 KBS 2TV 퀴즈 프로그램 옥탑방의 문제아들에 출연해 한 인터뷰에서 대학생 때까지 아버지에게 고무 호스로 맞으면서 자랐다고 회고했다.[15] #
- 아들 윤석열이 검사가 되자 '부정한 돈 받지 말라'고 입버릇처럼 강조했으며 잠깐 검사직을 그만두고 대형 로펌인 법무법인 태평양에서 근무하던 윤석열이 변호사 생활에 적응하지 못하고 다시 검찰로 들어갔을 때 가장 반긴 이가 바로 윤기중이다.
- 제자들에게는 따뜻한 성격으로 연말연시에는 제자들에게 연하장을 보냈고, 학위를 받고 온 제자들에게는 꼭 식사 자리를 마련해 줬다. 제자들이 스승의 날을 맞아 식사를 대접해도 윤기중은 늘 식대를 직접 계산했다. 윤기중 본인은 이런 모습에 대해 "젊을 때 제자들은 챙겼으면서 집사람 건강은 잘 챙겨주지 못했다. 그래서 마음이 아프다"고 회고했다.
- 윤석열이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성인이 되자 아들과 아들 친구들을 자택 지하실로 데리고 가 술을 가르쳐 줬다고 한다.
- 윤석열이 대통령에 당선되자, 윤기중이 거주하는 아파트의 이웃 호수 주민이 현관문 앞에 축하 화환과 현수막을 걸어두고 갔다. 그러자 윤기중은따뜻한 마음 감사드려요. 가까이에 저희를 아껴주시는 이웃이 있다는 게 자랑스럽습니다. 감사합니다. 잊지 않겠어요.
라는 문자 메시지로 고마움을 표시했다.
- 자녀들이 결혼하든 결혼하지 않든 크게 연연하지 않았고 자식들에게 결혼하라고 적극적으로 닦달하지도 않았다. 그래서 윤석열은 52세에 결혼하였고 자녀가 없어서 윤기중은 친손자녀를 한 명도 못 보고 사망했다.[17]
4. 논란
- 캠프 데이비드 2023년 한미일정상회담을 앞두고 8월 16일에 열린 미국 씽크탱크 브루킹스 연구소가 개최한 외교정책 프로그램에서 미라 랩-후퍼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인도·태평양전략국장은 “고인은 1967년 교환학생으로 일본을 방문해 일본 및 일본 국민들과 사랑에 빠졌다. 근본적인 차원에서 한국과 일본은 공존해야 한다고 믿게 됐다”라고 했고, 이런 부친의 영향이 "윤석열 대통령님의 교육과 세계관 등에 영향을 줬고, 한일관계 개선에 매몰됐을 것"이라고 해석했다.[19]
5. 여담
- 생전에 본인의 자녀가 대통령에 당선되는 것을 지켜본 부모는 총 일곱 사람이다. 윤보선의 어머니 이범숙(1876 ~ 1969)[20]과 최규하의 어머니 이응선(1899 ~ 1983)[21]과 노태우의 어머니 김태향(金泰香, 1907 ~ 1999)[22]과 김영삼의 아버지 김홍조(金洪祚, 1911 ~ 2008)[23], 문재인의 어머니 강한옥(姜韓玉, 1928 ~ 2019)[24], 그리고 윤석열의 부모 윤기중과 최성자[25]. 대통령 권한대행까지 범위를 넓히면 참여정부 시기 노무현 전 대통령 탄핵으로 권한대행을 맡은 고건의 아버지 고형곤[26](1906 ~ 2004)도 포함된다.
- 또한 윤석열 대통령은 대한민국 대통령 중에서 부모 두 사람이 모두 생존한 최초의 경우이다. 이 때문에 유튜브로 KBS 사극 명성황후를 실시간 무료 스트리밍할 당시 윤기중은 연세대 명예교수 직함을 본떠 '연세대원군' 혹은 대통령 집무실 위치를 딴 '용산대원군', 부인 최성자는 '연세부대부인' 또는 '용산부대부인'이라는 별칭이 추가되었다. 대통령 아버지 한정으로 차이점은 김홍조는 아들 김영삼의 대통령 퇴임까지 지켜보고 10년을 더 살았지만 윤기중은 아들의 임기 중 사망했다.
6. 작성 논문
- 1920년대와 1930년대의 한국경제학계 동향(연세경제연구 제4권 2호) - 한국경제학보(11997.9)
7. 저서
- 1986. 통계학 개론
- 1986. 수리통계학
- 1987. SPSS를 이용한 통계자료 분석
- 1996. 통계학
- 1997. 한국경제의 불평등분석
==# 가족 관계 #==
조상 호칭은 해당 문서 상구대의 명칭을 따랐다. 가끔 커뮤니티 사이트에 윤석열 일가에 대해 조사한 자료가 올라오기는 하지만, 정확한 사실인지는 확인해 볼 필요가 있다. #1 #2
- 직계존속 (선조)
- 비조부(9대조) : 윤박[27] (尹搏, 1628년 ~ 1675년 5월 4일) / 비조모 : 은진 송씨 (恩津 宋氏) 송시열[28]의 차녀[29]
- 원조부(8대조) : 윤주교 (尹周教, 1659년 ~ 1740년)
- 태조부(7대조) : 윤동질 (尹東質, 1697년 ~ 1773년 3월 4일)
- 열조부(6대조) : 윤광락 (尹光洛, 1733년 ~ 1791년 12월 20일) / 열조모 : 연안 이씨 (延安 李氏, 1735년 ~ 1792년 1월 6일)
- 현조부(5대조) : 윤정규 (尹珽圭, 1776년 4월 18일 ~ 1848년 7월 5일) / 현조모 : 진주 류씨 이류계 (文化 柳氏, 1778년 ~ 1810년 6월 2일) 유효원[30]의 딸, 진주 강씨 (晉州 姜氏)
- 고조부(4대조) : 윤덕진 (尹悳鎭, 1827년 ~ 1887년 2월 10일) / 고조모 : 강화 최씨 (江華 崔氏)
- 증조부(3대조) : 윤자홍 (尹滋洪, 1852년 10월 3일 ~ 1901년 3월 10일) / 증조모 : 전주 이씨 (全州 李氏)
- 조부(2대조) : 윤상년 (尹相年, 1873년 4월 20일 ~ 1911년 7월 4일) / 조모 : 고령 박씨 (高靈 朴氏)
- 부친(1대조) : 윤호병[A] (尹浩炳, 1898년 2월 1일 ~ 1946년 10월 15일) / 모친 : 인동 장씨 (仁同 張氏, 1895년 ~ 1965년 12월 20일)
- 직계비속 (형제 및 자손)
- 형 : 윤우중 (尹右重, 1915년 6월 26일 ~ 1966년 8월 28일) / 형수 : 화순 최씨 (和順 崔氏, 1913년 9월 28일 ~ 1965년 2월 15일)
- 조카 : 윤석구 (1942년 9월 5일 ~ 2009년 8월 12일)
- 형 : 윤좌중 (尹左重, 1918년 6월 19일 ~ 1978년 4월 3일)
- 형수 : 대구 서씨 (大丘 徐氏, ? ~ 1955년 2월 7일)
- 누이 4명[32]
- 윤기중 (尹起重, 1931년 12월 19일 ~ 2023년 8월 15일)[33][34] / 妻 : 최성자 (崔成子, 1934년 9월 19일 ~)[35][36]
- 친척
- 처가
- 장인 : 최종구 (1911년 ~ 1935년)
- 장모 : 이덕자 (1917년 ~ 2019년)
- 이복손윗처남[37] : 최명순 (1927년 ~ 사망)
- 조카딸 : 최승복 (1949년 ~)
- 조카 : 최승룡 (1955년 ~ )
- 조카 : 최승범 (1957년 ~ )
- 조카딸 : 최승진 (1960년 ~ )
- 조카 : 최승인 (1963년 ~ )
- 사돈
8. 참고 자료
[1] 아들 윤석열과 생일이 하루차, 즉 아들을 생일 전날 보았다. 이명박 전 대통령과 정확하게 10년 차이가 난다. 아들 윤석열이 태어난 다음 날 윤기중은 29세 생일을 맞이했다. 다만 태어날 당시 음력으로 많이 세던 시대적 정서 상 음력 생일일 경우 양력으로는 1932년 1월 26일 생이고, 족보 상에는 음력 5월 29일(양력 1931년 7월 14일)#으로 올라가 있다.[2] 음력 1931년 11월 11일[3] 이 부근은 파평 윤씨 가문이 대대로 세거하던 곳으로, 윤선거, 윤증, 윤문거 등이 모두 이 곳에서 태어났다.[A] 이명은 윤호중(尹浩重)이며 묘지명은 윤병호(尹炳浩)이다. 도쿄고등상업학교를 졸업하고, 허정 내각에서 재무부장관을 지낸 1891년생 윤호병(尹皡炳)과는 동명이인이다.[5] 석사 학위 논문: 韓國國民所得의 分析(한국국민소득의 분석, 1958. 3)[6] 소정공후 장령공파 34세손 ◯중(○重) 항렬.(족보)[A] [8] 지금의 검찰총장 격.[9] 소론의 종장 윤증의 백부.[10] 공교롭게도 윤기중이 20살이 되던 해 한국전쟁이 발발하여 군에 징집되어야 했지만 윤기중의 병역 사항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11] 박사 '과정 수료'일 뿐 박사 '학위'는 없다. 1991년 이전까지 일본 대학의 문과계 대학원에서는 뚜렷한 학문적 업적이 없는 이상 박사 학위를 수여하지 않는 관행이 존재했다. 일례로 도쿄대학 대학원 인문과학연구과에서는 1990년까지 박사 학위 수여건수가 매해 0명~2명에 불과했다는 통계가 있다. 대부분의 박사 과정 수료자들은 박사과정 단위취득만기퇴학(単位取得満期退学)이라는 타이틀로 학계에서 활동했고 일본에서는 문제되지 않았으나 글로벌화에 따른 해외 교류 및 외국인 유학생 유치에 장애가 된다는 비판에 따라 일본 정부가 개입하여 1991년부터 이전에 비해 적극적인 학위 수여 풍조가 정착되었다. 사실 윤기중 세대만 하더라도 석사 학위 보유자도 흔치 않아서 석사 학위만 가지고도 충분히 교수가 될 수 있었다.[12] 최초 사례는 문재인 전 대통령의 모친 강한옥이다. 이쪽도 윤기중과 똑같이 향년 91세였는데, 차이가 있다면 강한옥은 91세 되는 해 생일이 지난 후였고, 윤기중은 92세 되는 해인 2023년 생일을 맞지 못하고 (다만 족보 상 생일이 정확하다든지 또는 알려져 있는 생일이 음력일 경우에는 갈린다.) 세상을 떠났다.[13] 공교롭게도 박근혜 전 대통령의 모친이자 영부인이었던 육영수의 기일과 겹친다. 윤기중의 기일은 육영수가 사망한 지 정확히 49년 되는 날이다. 여담으로 당일 박근혜 전 대통령은 아버지 박정희 전 대통령의 생가를 방문했다고 한다.[14] 상부상조하여 교수들끼리 논문을 심사하고 박사학위를 수여했다. 이 제도는 1975년에 종료되었다.[15] 당시에는 체벌이 아동 학대라는 인식이 없었다.[16] 집사부일체에서도 나왔듯 윤석열의 요리 실력은 가히 전문가 수준이다.[17] 외손자녀는 봤다.[18] 서명자 명단에 검색하면 나온다.[19] "선친의 일본 사랑이 윤 대통령 일본관에 영향"...백악관 색다른 평가[20] 아버지 윤치소는 아들이 대통령이 되기 16년 전인 1944년 사망했다.[21] 아버지 최양오는 아들이 대통령이 되기 6년 전인 1973년 사망했다.[22] 아버지 노병수는 아들이 대통령이 되기 전인 48년 전인 1940년 사망했다.[23] 어머니 박부련은 아들이 대통령이 되기 33년 전인 1960년 사망했으며 첫번째 새어머니 최남순도 이복아들이 대통령이 되기 22년 전인 1971년 사망했다. 어머니들 중 오직 둘째 새어머니 이수남만 대통령이 되는 걸 보았다.[24] 아버지 문용형은 아들이 대통령이 되기 39년 전인 1978년 사망했다.[25] 아들의 임기 중 사망한 자신과 다르게 아직도 정정하게 살아있다.[26] 어머니 장정자는 권한대행을 맡기 3년 전인 2001년 사망했다.[27] 소정공후 장령공파 25세손.(족보)[28] (족보)[29] 족보 참조. 즉, 윤석열은 송시열의 여계 후손이기도 하다. 윤석열에게는 11대조이다.[30] (柳孝源, 1751년 ~ 1813년) 병조판서를 지냈다. 진주 류씨 이류계 북부령공파 공주입향조 유충걸(柳忠傑)의 6대손이다.[A] [32] 누나 3명과 여동생이 있는 것으로 추정되며, 여동생은 1934년생으로 추정된다.[33] 연세대학교 명예교수[34] 출처: 《파평윤씨족보》 윤기중편.[35] 이화여자대학교 교수[36] 출처: 《강릉최씨족보》 최성자편.[37] 장인 최종구의 맏형인 최종호(崔鍾浩, 1897 ~ 1977)의 차남으로, 아들이 없었던 장인 최종구에게 입적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