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의 성씨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letter-spacing:-.05em; word-break:keep-all"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argin:5px 20px" | |
| <colbgcolor=#00a495,#2d2f34><colcolor=#fff> ㄱ | 가 · 간 · 갈 · 감 · 강 · 강전 · 개 · 견 · 경 · 계 · 고 · 곡 · 공 · 곽 · 관 · 교 · 구 · 국 · 군 · 궁 · 궉 · 권 · 근 · 금 · 기 · 길 · 김 | |
| ㄴ | 나 · 난 · 남 · 남궁 · 낭 · 내 · 노 · 뇌 · 누 | |
| ㄷ | 다 · 단 · 담 · 당 · 대 · 도 · 독 · 독고 · 돈 · 동 · 동방 · 두 · 등 · 등정 | |
| ㄹ | 라 · 란 · 랑 · 려 · 로 · 뢰 · 류 · 리 · 림 | |
| ㅁ | 마 · 만 · 망절 · 매 · 맹 · 명 · 모 · 목 · 묘 · 무 · 무본 · 묵 · 문 · 미 · 민 | |
| ㅂ | 박 · 반 · 방 · 배 · 백 · 번 · 범 · 변 · 보 · 복 · 봉 · 부 · 비 · 빈 · 빙 | |
| ㅅ | 사 · 사공 · 산 · 삼 · 상 · 서 · 서문 · 석 · 선 · 선우 · 설 · 섭 · 성 · 소 · 소봉 · 손 · 송 · 수 · 순 · 승 · 시 · 신 · 심 · 십 | |
| ㅇ | 아 · 안 · 애 · 야 · 양 · 어 · 어금 · 엄 · 여 · 연 · 염 · 엽 · 영 · 예 · 오 · 옥 · 온 · 옹 · 완 · 왕 · 요 · 용 · 우 · 운 · 원 · 위 · 유 · 육 · 윤 · 은 · 음 · 이 · 인 · 임 | |
| ㅈ | 자 · 잠 · 장 · 장곡 · 저 · 전 · 점 · 정 · 제 · 제갈 · 조 · 종 · 좌 · 주 · 준 · 즙 · 증 · 지 · 진 | |
| ㅊ | 차 · 창 · 채 · 천 · 초 · 총 · 최 · 추 | |
| ㅋ | 쾌 | |
| ㅌ | 탁 · 탄 · 탕 · 태 | |
| ㅍ | 판 · 팽 · 편 · 평 · 포 · 표 · 풍 · 피 · 필 | |
| ㅎ | 하 · 학 · 한 · 함 · 해 · 허 · 혁 · 현 · 형 · 호 · 홍 · 화 · 환 · 황 · 황목 · 황보 · 후 | }}}}}}}}} |
| 신라의 국성{{{#!wiki style="margin: -15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60><tablebordercolor=#ece5b6> 고령 박씨 | }}} | |
| <colbgcolor=#b9062f> 관향 | 경상북도 고령군 | ||
| 비조 | 혁거세 거서간 | ||
| 도시조 | 신라 경명왕 | ||
| 시조 | 박언성(朴彦成) | ||
| 중시조 | 박섬(朴暹) 박환(朴還) 박연(朴連) | ||
| 집성촌 | 울산광역시 울주군 경기도 고양시·동두천시·양주시·양평군 경기도 이천시·평택시·화성시 충청남도 서천군 경상북도 고령군·성주군·안동시 경상남도 합천군·의령군 | ||
| 강원도 고성군 황해도 금천군 | |||
| 인구 | 43,774명(2015년) | ||
| 링크 | 신라오릉보존회 | ||
1. 개요
대한민국의 성씨 집단. 경상북도 고령군을 본관으로 한다. 천년 왕조인 신라 왕실의 국성이다.2. 역사
시조는 나말여초에 살았던 박언성(朴彦成)으로 박혁거세의 29세손으로 신라 경명왕의 둘째 아들인 고양대군(高陽大君)으로 추정된다.고령 박씨는 8박[1] 중 7번째 자리를 차지한다.
인구 수에 비해서 조선 시대 문과급제자를 많이 배출한 가문이다. 총 56명에 달한다고 하며, 8박 중에서는 3번째로 많은 수다. 세도 정치 이후 조선 조정에 소수 가문들만 남는데 고령 박씨는 조선 후기까지 비교적 버티고 있었다.
3. 유명 인물
조선 현종조 이조판서를 지낸 박장원[2]과 영조조 호조판서를 지내고 영의정에 추증된 박문수가 있다. 특히 박문수는 암행어사로 유명하여 많은 관련 설화가 전해지고 있다.대한민국 제5-9대 대통령 박정희, 제18대 대통령 박근혜 등 2명의 대통령을 배출한 최초의 가문이다.[3] 재임 횟수로도 6번으로 가장 많다.
4. 인구 및 분포
대한민국에서 이 가문의 인구는 2015년 기준 43,774명으로 인구순위는 161위로 박씨 중에선 7번째로 많다.인구는 경상북도와 충청남도 지역에 압도적으로 많이 분포한다. 본관인 고령이 경상북도에 위치하기 때문에 경상북도 쪽에 80~90%가 거주하고 있다. 특히 경상북도 성주군, 구미시, 칠곡군, 고령군, 경상남도 합천군과 울산광역시 울주군에 집성촌이 많이 분포되어 있다. 그리고 소수나마 경기도 이천시에 집성촌이 있다.
5. 항렬표
박언성의 7세손인 박섬, 박환, 박연으로부터 1세, 혁거세로부터는 36세를 추가한다.(ex: 박정희 전 대통령은 혁거세 65세손.)| 26세 | 이(履)◯, 우(羽)◯, 규(奎)◯ |
| 27세 | 영(永)◯, 담(覃)◯, 현(賢)◯ |
| 28세 | ○빈(彬), ◯대(大), ◯영(英) |
| 29세 | ◯희(熙), ◯인(仁), ◯하(河) |
| 30세 | 재(在)◯, 환(煥)◯, 인(仁)◯ |
| 31세 | ◯용(鏞), ◯배(培), ◯열(烈) |
| 32세 | 호(浩)○, 우(遇)○, 재(在)○ |
| 33세 | ◯구(九), ◯윤(胤), ◯흠(欽) |
| 34세 | 병(炳)○, 남(南)○ |
| 35세 | ◯하(河), ◯래(來) |
이외에도 40세까지 있다.
6. 집성촌
6.1. 경기·충청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화정동
- 경기도 동두천시 지행동
-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삼하리
- 경기도 양평군 서종면 정배리
- 경기도 이천시 호법면 매곡리
- 경기도 이천시 율면 고당리·월포리[4]
- 경기도 평택시 안중읍 덕우리
- 경기도 화성시 남양읍 송림리
-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 송산리[5]
6.2. 경상
- 울산광역시 울주군 범서읍 척과리
- 경상북도 고령군 개진면 직리
- 경상북도 고령군 쌍림면 하거리
- 경상북도 성주군 선남면 성원리[6]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오미리[7]
- 경상남도 의령군 궁류면 운계리
- 경상남도 합천군 용주면 성산리
- 경상남도 합천군 용주면 손목리
- 경상북도 고령군 우곡면 도진리
6.3. 북한
- 강원도 고성군 신북면 사평리
- 황해도 금천군 서북면 연홍리
7. 인물
7.1. 전근대 인물
7.2. 28세손
7.3. 29세손
7.4. 30세손
- 박영옥 - 박상희의 딸이자 김종필 전 국무총리의 아내.
- 박재옥 - 박정희 대통령의 장녀.[8]
- 박근혜 - 대한민국 제18대 대통령. 박정희 대통령의 차녀.
- 박근령 - 박정희 대통령의 셋째 딸이자 박근혜 대통령의 여동생.
- 박지만 - 박정희 대통령의 장남이자 박근혜 대통령의 남동생.
7.5. 31세손
7.6. 34세손
7.7. 항렬 미상
- 박성호 - BOYNEXTDOOR의 멤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