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법무부장관 (1948~현재) | ||||
<nopad> 이승만 정부 | |||||
초대 이인 | 제2대 권승렬 | 제3대 이우익 | 제4대 김준연 | 제5대 조진만 | |
<nopad> 이승만 정부 | <nopad> 허정 내각 | ||||
제6대 서상환 | 제7대 조용순 | 제8대 이호 | 제9대 홍진기 | 제10대 권승렬 | |
<nopad> 장면 내각 | <nopad> 장도영 내각 | <nopad> 송요찬 내각 | <nopad> 김현철 내각 | ||
제11대 조재천 | 제12대 이병하 | 제13대 고원증 | 제14대 조병일 | 제15대 장영순 | |
<nopad> 김현철 내각 | <nopad> 박정희 정부 | ||||
제16-18대 민복기 | 제19대 권오병 | 제20대 이호 | 제21대 배영호 | ||
<nopad> 박정희 정부 | |||||
제22대 신직수 | 제23대 이봉성 | 제24·25대 황산덕 | 제26대 이선중 | 제27대 김치열 | |
<nopad> 최규하 정부 | <nopad> 전두환 정부 | ||||
제28대 백상기 | 제29·30대 오탁근 | 제31대 이종원 | 제32대 정치근 | ||
<nopad> 전두환 정부 | <nopad> 노태우 정부 | ||||
제33대 배명인 | 제34대 김석휘 | 제35대 김성기 | 제36·37대 정해창 | ||
<nopad> 노태우 정부 | <nopad> 문민정부 | ||||
제38대 허형구 | 제39대 이종남 | 제40대 김기춘 | 제41대 이정우 | 제42대 박희태 | |
<nopad> 문민정부 | <nopad> 국민의 정부 | ||||
제43대 김두희 | 제44대 안우만 | 제45대 최상엽 | 제46대 김종구 | 제47대 박상천 | |
<nopad> 국민의 정부 | |||||
제48대 김태정 | 제49대 김정길 | 제50대 안동수 | 제51대 최경원 | 제52대 송정호 | |
<nopad> 국민의 정부 | <nopad> 참여정부 | ||||
제53대 김정길 | 제54대 심상명 | 제55대 강금실 | 제56대 김승규 | 제57대 천정배 | |
<nopad> 참여정부 | <nopad> 이명박 정부 | ||||
제58대 김성호 | 제59대 정성진 | 제60대 김경한 | 제61대 이귀남 | 제62대 권재진 | |
<nopad> 박근혜 정부 | <nopad> 문재인 정부 | ||||
제63대 황교안 | 제64대 김현웅 | 제65대 박상기 | 제66대 조국 | 제67대 추미애 | |
<nopad> 문재인 정부 | <nopad> 윤석열 정부 | ||||
제68대 박범계 | 제69대 한동훈 | 제70대 박성재 | |||
임시정부 법무부장 | }}}}}}}}} |
역임한 직위 | |||||||||||||||||||||||||||||||||||||||||||||||||||||||||||||||||||||||||||||||||||||||||||||||||||||||||||||||||||||||||||||||||||||||||||||||||||||||||||||||||||||||||||||||||||||||||||||||||||||||||||||||||||||||||||||||||||||||||||||||||||||||||||||||||||||||||||||||||||||||||||||||||||||||||||||||||||||||||||||||||||||||||||||||||||||||
|
<colbgcolor=#003764><colcolor=#ffffff> 출생 | 1895년 5월 14일 | ||
경상도 안동대도호부 (現 경상북도 안동시) | |||
사망 | 1980년 9월 30일 (향년 85세) |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한양아파트[1] | |||
본관 | 안동 권씨[2] | ||
재임기간 | 초대 법무부차관 | ||
1948년 8월 7일 ~ 1948년 10월 30일 | |||
초대 검찰총장 | |||
1948년 10월 31일 ~ 1949년 6월 5일 | |||
제2대 법무부장관 | |||
1949년 6월 6일 ~ 1950년 5월 21일 | |||
제10대 법무부장관 | |||
1960년 4월 25일 ~ 1960년 8월 19일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3764><colcolor=#ffffff> 부모 | 아버지 권영진, 어머니 김해 김씨 | |
형제자매 | 이복형 권승록[3] 친형 권영욱 남동생 권영훈, 권영준 | ||
자녀 | 아들 권오식 | ||
학력 | 관립한성외국어학교 (일어부 / 졸업) 주오대학 전문부 (법과 / 졸업) | ||
약력 | 연백군청 서기 한국민주당 발기인 사법요원양성소 부소장 반민특위 특별검찰부장 초대 법무부차관 초대 검찰총장 제2대 법무부장관 제10대 법무부장관 | ||
상훈 | 국민훈장 무궁화장(1980년 추서) | }}}}}}}}}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법조인이자 초대 검찰총장. 법조 관료이자 항일 변호사 출신의 독립운동가이다.민족대표 33인의 1인으로서 독립유공자인 권동진이 그의 재종숙(再從叔, 7촌 숙부)이다.
2. 생애
2.1. 해방 이전
1895년 5월 14일 경상도 안동대도호부(현 경상북도 안동시)에서 아버지 권영진(權英鎭)과 어머니 김해 김씨 사이의 5형제 중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1908년 관립한성외국어학교 일어부에 입학하여 1911년 졸업하였으며, 1922년 일본 주오대학 전문부 법과에 입학하여 1926년 수석 졸업하였다.1915년 조선총독부 판임관견습시험에 합격하였으며, 1916년 황해도 연백군청에서 판임관견습으로 관직생활을 시작하였고 1918년부터 1920년까지 연백군청 서기로 근무했다.#
그러다가 1920년 돌연 관리생활을 그만두고 1922년 일본으로 건너가 도쿄의 주오대학 전문부 법과에 입학했으며, 주오대학 재학 중이던 1925년 조선변호사시험에 합격했다. 이후 남은 학업을 마치기 위해 학교로 돌아가 1926년 주오대학 법과를 수석으로 졸업하고 귀국하여 그 직후부터 변호사로 활동하였다. 1926년에는 경성부, 1928년에는 황해도 해주에 사무소를 개업했으며, 1930년부터는 다시 경성부로 돌아와 1946년까지 변호사로 활동했다.
변호사 개업 직후에 김병로·허헌·이인 등과 함께 일본인변호사회와의 통합을 끝까지 반대하였다. 또한 독립운동 관련 사건에 대해서는 무료로 변론했는데, 특히 조선공산당 사건 당시 검거된 조선공산당원의 담임변호사로 변론을 맡아 공판과정에서 사법권 침해, 고문경찰관 고소, 재판장 기피 문제 등으로 연일 재판소 당국과 설전을 벌였다. 또한 피고인들의 건강문제 및 자유로운 공판을 위한 보석문제를 끈질기게 요구하여 재판소 당국자들을 당혹스럽게 했다. 후일 '간도공산당사건'의 핵심인물들에 대해서도 무료변론에 나섰다.
1927년 신간회 본부 및 경성지회 간부로 활동하고, 광주학생항일운동으로 구속된 학생들의 변론을 담당했다. 1928년 1월 『조선일보』에 조선총독부의 한국인에 대한 인권침해를 지적했다가 구속된 조선일보사 주필 안재홍과 편집인 백관수에 대해 김병로·허헌·이인 등과 함께 변론을 맡았고, 1929년 6월에는 중국 상하이에서 일본 경찰에 체포된 여운형을, 1932년에는 마찬가지로 상하이에서 체포된 안창호의 변론을 맡았다.
이외에도 '해주고등보통학교 비밀결사 사건', '동방무정부주의자동맹 사건', '조선일보지국장 폭행사건' 등 1920년대부터 1930년대까지의 독립운동 및 사상문제에 관한 변호를 도맡았다.
2.2. 해방 이후
1945년 8.15 광복 직후에는 한국민주당 발기인, 사법요원양성소 부소장, 과도정부의 사법부 법제처장을 역임하였다. 1948년 사법부차장을 맡았으며, 제헌 헌법 제정 당시 참고안으로 소위 '권승렬안'을 제출하였다. 이 안이 제헌 헌법에 미친 영향은 크지 않으나, 국호를 '조선'이라고 하고 '인민'이라는 표현을 사용하던 유진오의 초안과는 달리, 제헌 헌법이 국호를 '대한민국'이라고 하고 '국민'이라는 표현을 사용하게 된 데에 영향을 미쳤다는 평가를 받는다.이승만 정부가 출범하자 1948년 8월 7일 초대 법무부차관에 임명되었으며 1948년 10월 31일 초대 검찰총장에 임명되었다. 같은 해 11월 9일 국회에 출석하여 국가보안법에 대한 설명을 했다. 1949년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 특별검찰부장으로 활동하며 김창영, 박종표 등을 반민특위에 송치했다.
반민특위 활동이 끝난 후 다시 검찰총장 업무를 했다. 1949년 6월 6일 법무부장관에 임명되었다. 그는 법무부장관으로 재직하면서 법원조직법, 변호사법, 검찰청법 등을 제정하는데 기여했지만 이승만 정부와의 불편한 관계를 지속하다가 결국 1950년 해임되었다.
이후 1957년부터 1960년까지 한국법학원장을 지냈으며 1960년 4월 25일 법무부장관에 임명되었다. 임명된 직후는 4.19 혁명으로 이승만 대통령이 하야하여 민심이 어수선한 상황이었다. 권승렬은 그런 민심을 수습하려 노력하였으며, 독재에 가담한 검찰들의 내부 숙청을 감행했다.
1980년 9월 30일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한양아파트 자택에서 노환으로 사망했으며, 국민훈장 무궁화장(1등급)이 추서되었다. 상훈기록 성명란에는 '권승열'로 기재되어 있다.
3. 여담
검찰총장 재직 시절 경찰들한테 수모를 겪은 적이 있는데, 여순반란사건 때 경찰이 정치적 뒷배를 믿고 항명을 한 사건이었다. 이 사건은 꽤 복잡한데, 기술하면 다음과 같이 전개되었다.해방 이후, 미군정청은 친일 경찰들을 대거 고용하였고, 이들은 자신들이 살기 위해 적극적인 반공주의를 채택하여 좌익 인사는 물론 자신들에게 거슬리는 사람, 심지어는 민간인까지 마구잡이로 잡아다 검찰에 넘겼다. 이 당시 일하던 검사 중에 박찬길이라는 검사가 있었는데, 이 박찬길 검사는 억울하게 잡혀온 사람들을 무혐의로 풀어주고, 지나치게 민간인을 괴롭히는 경찰공무원을 처벌하였다. 그중의 대표적인 사건이 산에서 벌목하던 인물이 경찰을 보고 놀라서 도망가자 총을 쏜 후, 다시 쫓아가 확인사살까지 해버린 사건이었다. 경찰은 이 사람을 빨갱이로 몰았지만 박찬길 검사는 해당 경찰공무원을 처벌했고, 이 행위에 대해 친일 경찰들은 박찬길 검사에 대한 증오심을 품었고, 박찬길 검사를 적구, 즉 빨갱이로 지칭하여 죽일 기회를 호시탐탐 노렸다.
그렇게 여순반란사건이 터지자, 경찰은 대피하였다가 검사국 명에 의해 출근하는 박찬길 검사를 잡아다가 반란 혐의를 뒤집어 씌운 뒤, 재판 절차도 생략하고 총살해버렸다. 이 사건은 당연히 권승렬 장관의 귀에도 들어갔는데[4], 권승렬 장관이 윤치영[5] 당시 내무부장관에게 해당 경찰 처벌을 요구하자, 당시 해당 지역에 근무하던 일개 총경이 항명한 것이다. 박찬길 검사 살해범 처벌은 그렇게 흐지부지되고 말았다.
4. 둘러보기
국민훈장 무궁화장 수훈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1960 프랭크 윌리엄 스코필드 교육가·독립운동가 | 1969 이인 법조인·독립운동가 | 1969 닐 암스트롱 · 마이클 콜린스 · 버즈 올드린 우주비행사 | ||
1969 제헌국회의원 154명 | 1969 조동식 교육인 | 1970 김수환 추기경 | 1970 백낙준 교육인 | 1970 이상백 - | |
1971 유일한 기업인 | 1976 박일경 교육인 | 1980 권승렬 독립운동가, 법조인 | 1982 권영대 교육인 | 1982 김상만 언론인 | |
1985 이숙종 교육인 | 1987 이병철 기업인 | 1988 권이혁 교육인, 의사 | 1989 이방자 교육인, 영친왕비 | 1991 강영훈 국무총리 | |
1991 김병관 언론인 | 1994 김호길 교육인 | 1995 곽윤직 법학자 | 1996 장기려 의사 | 1996 윤덕선 의사, 교육인 | |
1996 정범모 교육인 | 1998 고흥문 국회의원 | 1998 주영하 교육인 | 2000 이건희 기업인 | 2002 김재준 종교인 | |
2002 문창모 의학자 | 2002 백낙환 의학자, 교육인 | 2006 김희수 의학자, 교육인 | 2006 이종욱 의사, WHO 사무총장 | 2006 정재헌 법조인 | |
2007 권영우 교육인 | 2007 장훈 체육인 | 2008 박관용 국회의장 | 2008 진창현 바이올린 제작자 | 2009 김정수 정치인 | |
2010 이영덕 국무총리 | 2010 조용기 종교인 | 2010 황장엽 북한정치인, 탈북자 | 2011 이태석 종교인, 의사 | 2011 김준엽 독립운동가, 교육인 | |
2012 헬렌 펄 매킨지(매혜란) 선교사 | 2012 김평우 법조인 | 2012 정몽구 기업인 | 2013 남덕우 국무총리 | 2015 권광중 법조인 | |
2016 이근 의사 | 2017 박한철 법조인, 헌법재판소장 | 2017 반기문 외교관, UN사무총장 | 2017 양승태 법조인, 대법원장 | 2018 김종필 국무총리 | |
2018 노회찬 정치인 | 2018 박재갑 의사 | 2018 이석태 법조인 | 2018 조규광 법조인, 헌법재판소장 | 2018 한승헌 법조인, 감사원장 | |
2018 정세균 국회의장 | 2019 윤한덕 의사 | 2019 이국종 의사 | 2020 이이화 사학자 | 2020 전태일 노동운동가 | |
2020 문희상 국회의장 | 2021 최종태 기업인 | 2022 박병석 국회의장 | 2023 송창근 기업인 | 2023 김박 기업인 | |
2023 자승 종교인 | 2024 이임성 법조인 | 2024 윤대원 의사, 교육인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