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조선|조선]]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
#!if top2 != null
, [[]][[]]
#!if top3 != null
, [[]][[]]
#!if top4 != null
, [[]][[]]
#!if top5 != null
, [[]][[]]
#!if top6 != null
, [[]][[]]
관련 둘러보기 틀 | |||||||||||||||||||||||||||||||||
|
1. 개요
조선의 후궁을 설명하는 문서. 현종, 경종과 순종의 경우 후궁이 없다.2. 태조
품계 | 시호·이름 |
비 | 성비 원씨 (誠妃 元氏) |
궁주 | 정경궁주 유씨 (貞慶宮主 柳氏) |
옹주 | 화의옹주 김씨[1] (和義翁主 金氏) |
찬덕[2] | 찬덕 주씨[3] (贊德 周氏) |
궁인 | 궁인 김씨 (宮人 金氏) |
미상 | 무협아[4] (巫俠兒) |
3. 정종
품계 | 시호·이름 | |||||
빈 | 성빈 지씨 (誠嬪 池氏) | |||||
숙의 | 숙의 지씨 (淑儀 池氏) | 숙의 기씨[5] (淑儀 奇氏) | 숙의 문씨[6] (淑儀 文氏) | 숙의 윤씨[7] (淑儀 尹氏) | 숙의 이씨[8] (淑儀 李氏) | |
궁주 | 가의궁주 유씨 (嘉懿宮主 柳氏) | |||||
미상 | 초궁장[9] (楚宮粧) | 기매[10] (其每) |
4. 태종
품계 | 시호·이름 | ||||||||
빈 | 효빈 김씨 (孝嬪 金氏) | 신빈 신씨 (信嬪 辛氏) | 선빈 안씨 (善嬪 安氏) | 명빈 김씨 (明嬪 金氏) | 의빈 권씨 (懿嬪 權氏) | 소빈 노씨 (昭嬪 盧氏) | 정빈 고씨 (貞嬪 高氏) | ||
숙의 | 숙의 최씨 (淑儀 崔氏) | 숙의 이씨 (淑儀 李氏) | |||||||
궁주 | 숙공궁주 김씨 (淑恭宮主 金氏) | 의정궁주 조씨 (義貞宮主 趙氏) | 혜순궁주 이씨 (惠順宮主 李氏) | 신순궁주 이씨 (愼順宮主 李氏) | |||||
옹주 | 덕숙옹주 이씨 (德淑翁主 李氏) | 혜선옹주 홍씨 (惠善翁主 洪氏) | 서경옹주 금영 (西京翁主 金英)[11] | 순혜옹주 장씨 (順惠翁主 張氏)[12] | |||||
승은 상궁 | 후궁 김씨 (尙宮 金氏) | 궁인 이씨 (宮人 李氏) |
5. 세종
품계 | 시호·이름 | |||
빈 | 영빈 강씨 [13] (令嬪 姜氏) | 신빈 김씨 (愼嬪 金氏) | 혜빈 양씨 (惠嬪 楊氏) | |
귀인 | 귀인 박씨 [14] (貴人 朴氏) | 귀인 최씨 [15] (貴人 崔氏) | ||
소용 | 소용 홍씨 (昭容 洪氏) | |||
숙의 | 숙의 조씨 (淑儀 曹氏) | |||
숙원 | 숙원 이씨 (淑媛 李氏) | |||
상침[16] | 상침 송씨 [17] (尙寢 宋氏) | |||
사기[18] | 사기 차씨 [19] (司記 車氏) |
6. 문종
품계 | 시호·이름 | |||||||||||||||||||||
빈 | 숙빈 홍씨[20] (肅嬪 洪氏) | |||||||||||||||||||||
숙의 | 숙의 문씨 (淑儀 文氏) | |||||||||||||||||||||
소용 | 소용 권씨[21] (昭容 權氏) | 소용 윤씨[22] (昭容 尹氏) | 소용 정씨 (昭容 鄭氏) | 소용 류씨 (昭容 柳氏) | ||||||||||||||||||
양원[23] | 양원 양씨[24] (司則 楊氏) | |||||||||||||||||||||
승은 상궁 | 상궁 장씨 (尙宮 張氏) | 궁인 정씨 (宮人 鄭氏) |
7. 단종
품계 | 시호·이름 | ||
숙의 | 숙의 권씨[25] (淑儀 權氏) | 숙의 김씨[26] (淑儀 金氏) |
8. 세조
품계 | 시호·이름 | |
빈 | 근빈 박씨 (謹嬪 朴氏) | |
소용 | 소용 박씨폐출[27] (昭容 朴氏) | |
숙원 | 숙원 신씨[28] (淑媛 申氏) |
9. 예종
품계 | 시호·이름 | |||||||
빈 | 공빈 최씨 (恭嬪 崔氏) | |||||||
후궁 | 후궁 이씨[29][30] (淑媛 李氏) | |||||||
승은 상궁 | 상궁 기씨[31] (尙宮 奇氏) |
10. 성종
품계 | 시호·이름 | ||||||||||||||||||||||||
빈 | 명빈 김씨 (明嬪 金氏) | ||||||||||||||||||||||||
귀인 | 귀인 정씨 (貴人 鄭氏) | 귀인 엄씨 (貴人 嚴氏) | 귀인 권씨 (貴人 權氏) | 귀인 남씨 (貴人 南氏) | |||||||||||||||||||||
소의 | 소의 이씨 (昭儀 李氏) | ||||||||||||||||||||||||
숙의 | 숙의 하씨 (淑儀 河氏) | 숙의 홍씨 (淑儀 洪氏) | 숙의 정씨 (淑儀 鄭氏) | ||||||||||||||||||||||
숙용 | 숙용 심씨 (淑容 沈氏) | 숙용 권씨 (淑容 權氏) | |||||||||||||||||||||||
숙원 | 숙원 윤씨 (淑媛 尹氏) |
11. 연산군
품계 | 시호·이름 | |||||||||||
숙의 | 숙의 이씨 (淑儀 李氏) | 숙의 윤씨 (淑儀 尹氏) | 숙의 곽씨 (淑儀 郭氏) | 숙의 권씨 (淑儀 權氏) | 숙의 민씨 (淑儀 閔氏) | |||||||
숙용 | 숙용 장씨 (淑容 張氏) | 숙용 전씨 (淑容 田氏) | 숙용 조씨 (淑容 趙氏) | |||||||||
숙원 | 숙원 최씨 (淑媛 崔氏) | 숙원 장씨 (淑媛 張氏) | 숙원 이씨 (淑媛 李氏) | 숙원 김씨 (淑媛 金氏) | 숙원 정씨 (淑媛 鄭氏) | |||||||
승은 궁녀 | 궁인 최전향씨 (宮人 崔田香) | 궁인 수근비 (宮人 水斤非) | 궁인 정금 (宮人 鄭今) | 궁인 김숙화 (宮人 金淑華) | 궁인 장씨 (宮人 張氏) | |||||||
여완 | 여완 월하매 (麗婉 月下梅) | 여완 안씨 (麗婉 安氏) | ||||||||||
의녀 | 의녀 강금 (醫女 姜今) |
12. 중종
품계 | 시호·이름 | ||||||||
빈 | 경빈 박씨 (敬嬪 朴氏) | 희빈 홍씨 (熙嬪 洪氏) | 창빈 안씨 (昌嬪 安氏) | ||||||
귀인 | 귀인 한씨[32] (貴人 韓氏) | ||||||||
숙의 | 숙의 나씨[33] (淑儀 羅氏) | 숙의 이씨[34] (淑儀 李氏) | 숙의 홍씨[35] (淑儀 洪氏) | 숙의 김씨 (淑儀 金氏) | |||||
숙원 | 숙원 이씨[36] (淑媛 李氏) |
13. 인종
품계 | 시호·이름 | |||
빈 | 숙빈 윤씨[37] (淑嬪 尹氏) | 혜빈 정씨 (惠嬪 鄭氏) | ||
귀인 | 귀인 정씨 (貴人 鄭氏) | |||
양제 | 양제 윤씨 (良娣 尹氏) |
14. 명종
품계 | 시호·이름 | ||||
빈 | 경빈 이씨[38] (慶嬪 李氏) | 순빈 정씨 (順嬪 鄭氏) | |||
귀인 | 귀인 신씨 (貴人 愼氏) | ||||
숙의 | 숙의 한씨 (淑儀 韓氏) | 숙의 정씨 (淑儀 鄭氏) | 숙의 신씨 (淑儀 申氏) |
15. 선조
품계 | 시호·이름 | |||||
빈 | 공빈 김씨[39] (恭嬪 金氏) | 경혜인빈 김씨[40] (敬惠仁嬪 金氏) | 순빈 김씨 (順嬪 金氏) | 정빈 민씨 (靜嬪 閔氏) | 정빈 홍씨 (貞嬪 洪氏) | 온빈 한씨 (溫嬪 韓氏) |
귀인 | 귀인 정씨 (貴人 鄭氏) | |||||
숙의 | 숙의 정씨 (淑儀 鄭氏) | 숙의 김씨 (淑儀 金氏) | 숙의 한씨 (淑儀 韓氏) | |||
소원 | 소원 윤씨폐출 (昭媛 尹氏) | |||||
상궁 | 상궁 김씨 (尙宮 金氏) | 상궁 박씨 (尙宮 朴氏) |
16. 광해군
품계 | 시호·이름 | |||||||||
빈 | 수빈 허씨 (粹嬪 許氏) | |||||||||
귀인 | 귀인 홍씨 (貴人 洪氏) | 귀인 윤씨[41] (貴人 尹氏) | ||||||||
소의 | 소의 권씨 (昭儀 權氏) | |||||||||
숙의 | 숙의 원씨 (淑儀 元氏) | |||||||||
소용 | 소용 임씨[42] (昭容 任氏) | 소용 정씨[43] (昭容 鄭氏) | ||||||||
소원 | 소원 신씨[44] (昭媛 辛氏) | |||||||||
숙원 | 숙원 한씨 (淑媛 韓氏) | |||||||||
승은 상궁 | 상궁 김씨 (尙宮 金氏) | 상궁 이씨 (尙宮 李氏) | 상궁 최씨 (尙宮 崔氏) | |||||||
승은 궁녀 | 궁인 조씨 (宮人 趙氏) | 궁인 변씨 (宮人 邊氏) |
17. 인조
품계 | 시호·이름 | ||
귀인 | 귀인 조씨폐출[45] (貴人 趙氏) | 귀인 장씨 (貴人 張氏) | |
숙의 | 숙의 나씨 (淑儀 羅氏) | 숙의 박씨 (淑儀 朴氏) | |
승은 상궁 | 상궁 이씨[46] (尙宮 李氏) | ||
승은 궁녀 | 궁인 이씨[47] (宮人 李氏) |
18. 효종
품계 | 시호·이름 | ||
빈 | 안빈 이씨 (安嬪 李氏) | ||
숙의 | 숙의 김씨 (淑儀 金氏) | ||
숙원 | 숙원 정씨 (淑媛 鄭氏) |
19. 현종
없음.20. 숙종
품계 | 시호·이름 | |||
빈 | 대빈궁 희빈 장씨[48] (禧嬪 張氏) | 육상궁 화경숙빈 최씨[49] (和敬淑嬪 崔氏) | 명빈 박씨 (䄙嬪 朴氏) | 영빈 김씨[50] (寧嬪 金氏) |
귀인 | 귀인 김씨 (貴人 金氏) | |||
소의 | 소의 유씨 (昭儀 劉氏) |
21. 경종
없음.22. 영조
품계 | 시호·이름 | |||
빈 | 연호궁 온희정빈 이씨 (溫僖靖嬪 李氏) | 선희궁 소유영빈 이씨[51] (昭裕暎嬪 李氏) | ||
귀인 | 귀인 조씨[52] (貴人 趙氏) | |||
숙의 | 숙의 문씨폐출[53] (淑儀 文氏) | |||
상궁 | 상궁 이씨 (尙宮 李氏) |
23. 장조
품계 | 시호·이름 | ||
빈 | 숙빈 임씨 (肅嬪 林氏) | 경빈 박씨 (景嬪 朴氏) | |
수칙 | 수칙 이씨 (守則 李氏) |
24. 정조
품계 | 시호·이름 | |||||||
'' | 가순궁 현목수빈 박씨[54] (顯穆綏妃 朴氏) | |||||||
빈 | 의빈 성씨[55] (宜嬪 成氏) | 숙창궁 원빈 홍씨 (元嬪 洪氏) | 경수궁 화빈 윤씨 (和嬪 尹氏) |
25. 순조
품계 | 시호·이름 | |
숙의 | 숙의 박씨[56] (淑儀 朴氏) |
26. 헌종
품계 | 시호·이름 | ||
빈 | 순화궁 경빈 김씨 (慶嬪 金氏) | 정빈 윤씨[57] (貞嬪 尹氏) | |
숙의 | 화락당 숙의 김씨[58] (淑儀 金氏) |
27. 철종
품계 | 시호·이름 | ||||
귀인 | 귀인 박씨[59] (貴人 朴氏) | 귀인 조씨[60] (貴人 趙氏) | 귀인 이씨 [61] (貴人 李氏) | ||
숙의 | 숙의 방씨[62] (淑儀 方氏) | 숙의 범씨 (淑儀 范氏) | 숙의 김씨[63] (淑儀 金氏) | ||
승은궁녀 | 궁인 이씨[64] | 궁인 남씨 | 궁인 박씨[65] |
28. 고종
품계 | 시호·이름 | |||||||
황귀비 | 경선궁 순헌황귀비 엄씨[66] (純獻皇貴妃 嚴氏) | |||||||
귀인 | 영보당 귀인 이씨[67] (永寶堂貴人 李氏) | 귀인 장씨[68] (貴人 張氏) | 광화당 귀인 이씨 [69] (光華堂貴人 李氏) | 보현당 귀인 정씨 [70] (寶賢堂貴人 鄭氏) | 내안당 귀인 이씨 [71] (內安堂貴人 李氏) | 복녕당 귀인 양씨[72] (福寧堂貴人 梁氏) | ||
상궁 | 삼축당 상궁 김씨 (三祝堂尚宮 金氏)[73] | 정화당 상궁 김씨 (貞和堂尚宮 金氏) | ||||||
승은궁녀[74] | 궁인 서씨 (宮人 徐氏) | 궁인 김씨 (宮人 金氏) | 궁인 장씨 (宮人 張氏) |
29. 순종
없음.30. 여담
- 보통 비빈들은 본명이 알려지지 않으나 《조선왕조실록》[75]이나 야사에 이름이 알려진 경우도 있다.
- 태조의 후궁 화의옹주 김씨(김칠점선)
- 정종의 후궁 숙의 기씨(기자재)
- 태종의 후궁 서경옹주(금영)[76], 혜선옹주 홍씨(가희아)[77], 신순궁주 이씨(이정민)[78]
- 단종의 후궁 숙의 권씨(권중비)
- 세조의 후궁 폐소용 박씨(박덕중)[79]
- 성종의 후궁 귀인 엄씨(엄은조이)[80], 귀인 정씨(정금이)[81]
- 연산군의 후궁 폐숙의 이씨(이정이)[82], 폐숙용 장씨(장녹수)[83], 폐숙용 전씨(전전비)[84], 폐숙원 김씨(김귀비)[85], 폐숙원 최씨(최보비)[86]
- 선조의 후궁 폐소원 윤씨(윤희 or 윤귀희)[87], 상궁 김씨(김개시)[88]
- 광해군의 후궁 폐수빈 허씨(허정순)[89], 폐귀인 윤씨(윤영신)[90], 폐소용 임씨(임애영)[91], 폐숙원 한씨(한보향)[92]
- 인조의 후궁 상궁 이씨(이정민)
- 현종의 승은궁녀 김씨(김상업)[93][94][95]
- 숙종의 후궁 희빈 장씨(장옥정)[96]
- 장조의 후궁 숙빈 임씨(임유혜)[97], 경빈 박씨(박빙애)[98]
- 정조의 후궁 의빈 성씨(성덕임)[99]
- 고종의 후궁 영보당 귀인 이씨(이순아), 광화당 귀인 이씨(이완덕)[100], 복녕당 귀인 양씨(양춘기), 삼축당 김씨(김옥기)[101]
- 가장 장수한 후궁은 중종의 후궁 희빈 홍씨와 연산군의 후궁 폐숙의 윤씨로 88살 까지 살다 생을 마감했다.[102][103] 반대로 가장 단명한 후궁은 정조의 후궁 원빈 홍씨로 14살에 생을 마감하였다.
- 자녀를 많이 낳은 후궁은 성종의 후궁 숙의 홍씨로 10명(7남3녀)을 낳았고 태종의 후궁 신빈 신씨도 10명(3남7녀)[104]낳았다. 그 다음은 선조의 후궁 인빈 김씨로 9명(4남5녀)를 낳았다.
- 간택후궁은 종2품 숙의부터, 승은후궁은 종4품 숙원부터 시작하는게 관례였지만 조선후기로 갈수록 이 관례가 다 지켜지지 않았다.(ex. 영조의 후궁 영빈 이씨[107], 정조의 후궁 의빈 성씨[108], 순조의 후궁 숙의 박씨[109], 철종의 후궁들[110], 입궁할 때부터 빈으로 책봉된 무품 간택 후궁들 원빈 홍씨, 수빈 박씨, 경빈 김씨, 화빈 윤씨 등.
31. 관련 문서
[1] 김해의 관기출신으로 이름은 칠점선이다. 태조의 막내딸 숙신옹주의 어미이다[2] 조선초기 내명부 품계로 3품이었다.[3] 의령옹주의 친모.[4] 기생 출신이다.[5] 이름은 기자재. 4남5녀를 낳음[6] 아들 하나를 낳음[7] 4남1녀를 낳음[8] 아들 하나를 낳음[9] 기생 출신이다. 양녕대군이 큰아버지의 애첩인 것을 모르고 가까이했으며 알고도 가까이했던 여인이다.[10] 정종을 모시던 시녀로 환관 정사징과 내통하였다고 한다.[11] 궁에들어오기 전부터 첩이였다[12] 화산군 장사길(張思吉)과 관기 출신인 복덕(福德)의 딸. 아버지가 공이 많아 기녀 복덕이 낳은 자녀를 모두 면천시켜주었다[13] 그녀가 심온의 외손녀라는 설이있다.즉 세종의 정비 소헌왕후의 조카라는 소리다. 심온의 둘째사위인 강석덕의 딸이라는 것인데 강석덕의 아들인 강희안이 1419년 생이고 딸은 그보다 어리다는 기록도 있어, 생년의 기록이 잘 맞지 않아 그녀가 심온의 외손녀가 아니라는 시각도 있다.[14] 간택후궁으로 입궁하며 장의궁주에 봉해진다.[15] 간택후궁으로 입궁하며 명의궁주에 봉해진다.[16] 조선초기 내명부 정5품이었으나 후에 정6품으로 바뀌었다.[17] 세종의 서장녀 정현옹주의 생모이다.[18] 조선초기 내명부 정6품이었으나 후에 종6품 상기로 개칭되었다.[19] 1430년 옹주를 하나 낳았으나 봉작도 받기 이전에 사망한다. 조선왕조실록에 따르면 1444년 음력 7월 10일에 벼락에 맞아 사망하였다는 기록이 있다.[20] 원래 귀인이었으나, 단종이 즉위하면서 빈으로 승격되었다.[21] 성종의 후궁인 귀인 권씨의 고모다.[22] 숙빈 홍씨의 외사촌 자매[23] 세자의 후궁에게 내리는 품계로 종3품.[24] 원래는 사칙의 품계를 받았었다. 사칙은 세자궁 내명부 종6품으로 후에 수칙(守則)으로 개칭되었다.[25] 이름은 권중비(權仲非).왕비간택시 참여하여 최종 간택에서 후궁에 낙점되었다. 다른 후궁인 숙의 김씨도 마찬가지이다. 단종의 폐위 이후 아버지 권완이 정순왕후의 아버지인 송현수와 단종 복위를 꾀하다 실패한 후 공신의 노비로 들어갔다고 한다. 그 이후 세조 10년에 방면되었다.[26] 이쪽은 정순왕후나 숙의 권씨와는 다르게 아버지가 단종 복위에 가담하지 않았기 때문에 별다른 정쟁에 휘말리지 않고 평온히 살았다고 한다. 게다가 병이 났을 때 무려 수양대군의 집에 피접을 나갔다는 기록이 있는 것을 보아 수양대군과도 원만한 사이였던듯 하다.[27] 이름은 덕중으로, 임영대군의 아들인 구성군 이준에게 계속해 연서를 보냈고 구성군 이준은 그것을 세조에게 알렸다. 이로 인해 폐서인 되어 교형에 처해졌다.[28] 신숙주의 서녀이다.[29] 사헌 감찰(司憲監察) 이의생(李義生)의 첩(妾)의 딸을 뽑아서 동궁(東宮)에 들이었다. -《세조실록》세조 9년 12월 21일 을사 3번째기사[30] 《성종실록》성종 16년 5월 5일 갑인 1번째기사[31] 예종(睿宗)의 상궁(尙宮) 기씨(奇氏)가 졸(卒)하였다. 승정원에게 전교하기를, "선왕(先王)의 후궁(後宮)이 졸하였는데, 악(樂)을 듣는 것은 불가함이 없겠는가? 오는 17일 거둥 때에 고취(鼓吹)를 정지하는 것이 어떠하겠는가?" (후략) -《성종실록》성종 20년 3월 16일 3번째기사[32] 예종의 왕비 안순왕후의 서조카[33] 경빈 박씨가 막내딸 혜정옹주 출산시기와 비슷하게 출산을 했다. 중종의 총애를 받는 경빈의 눈치를 보던 궁안 사람들은 몸 상태가 좋지않은 나씨를 궁밖으로 빼냈고, 이에 나씨와 그녀가 임신중이던 왕자가 모두 사망한다[34] 덕양군의 어머니. 덕양군이 어릴 때 사망[35] 해안군의 어머니[36] 정순옹주, 효정옹주의 어머니. 드라마 대장금의 이연생의 모델이다.[37] 문정왕후의 둘째 오빠인 윤원량의 딸, 즉 문정왕후의 조카이다.[38] 선조의 후궁 인빈 김씨의 사촌언니이다.[39] 임해군과 광해군의 어머니[40] 인조의 할머니로, 인조 이후의 모든 왕들은 인빈 김씨의 후손이라 할 수 있다.[41] 1619년에 옹주를 하나 낳았다. 하지만 이 옹주는 5살때 아버지 광해군이 폐위되는 바람에 정식으로 옹주에 봉작되지 못했다. 폐출된 뒤 외삼촌의 집에서 살다가 광해군이 죽고 3년상을 치른 후인 25살 때 혼인을 하였다. 박징원에게 시집을 가서 2남3녀를 낳았고 1664년 46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42] 귀양간 광해군을 끝까지 귀양지에서 모셨다.[43] 교태를 잘 부리고 문서관리를 잘해 총애를 받았다고 한다. 얼자출신으로 추정됨.[44] 인빈 김씨의 조카이다.[45] 인조 사후, 김자점의 옥사에 휘말려 폐서인 되어 죽었다.[46] 이름은 이정민. 귀인 조씨 무고사건으로 사사되었다.[47] 인열왕후의 미움을 받아 출궁해서 재혼까지 했다.[48] 조선 역사상 마지막 후궁 출신 왕비였으며, 희빈 장씨 사후 숙종은 후궁이 왕비가 될 수 없도록 법제화시켰다. 아들인 경종이 즉위한 후 옥산부대빈(玉山府大嬪)으로 추존되었다.[49] 영조의 생모로 드라마 동이가 그녀의 일생을 다룬 드라마이다.[50] 숙종의 후궁들 중 유일한 간택 후궁.[51] 사도세자의 생모이자 정조의 할머니.[52] 2명의 딸을 낳았다[53] 사도세자와 관련하여 정조 즉위 이후 유배되어 사사되었다.[54] 1901년(고종 38년) 10월 11일 비(妃)로 추존되었다.[55] 본명은 성덕임, 정조의 첫사랑으로 알려져있으며 후궁들 중 유일한 승은 후궁으로 정조를 15년이나 기다리게 만들었다.[56] 순조의 유일한 서녀인 영온옹주의 생모이다. 옹주는 건강치 못했고 그 때문에 말을 잘 하지 못해 이복오빠인 효명세자가 안타깝게 여겼다 한다.[57] 헌종이 사망했을 당시 그녀는 17살의 어린나이[58] 궁녀 출신. 1848년 딸을 하나 낳았지만 출산 당일 사망함. 1814년생으로 헌종보다 13살이나 연상.[59] 1854년 철종의 서장자를 낳음.[60] 1859년 서2남 출산, 1861년 서3남 출산[61] 1862년 서4남 출산[62] 1851년 서장녀 출산, 1853년 서차녀 출산[63] 1856년 서3녀 출산[64] 서6, 7녀 출산[65] 서5녀 출산[66] 보통 '엄귀비'라 불리는데, 그녀는 '귀비'가 아니라 '황귀비'였기 때문에 원칙적으로는 잘못된 호칭이다.[67] 완화군 이선의 생모이나, 아들인 완화군은 어린 나이에 요절했다.[68] 의친왕 이강의 생모이다. 생몰년도가 정확하지 않으나 궁인으로 있다가 아들 의친왕이 10살 때 사망했다고 전해지며, 1906년(광무 10년)에 귀인으로 봉작되었다. 아들도 낳았으나 당호를 받지 못했다.[69] 고종의 서4남인 이육을 낳았다. 왕자는 3살의 어린나이로 사망한다[70] 고종의 막내아들 이우를 낳았다. 이우 왕자는 어린시절을 넘기지 못하고 사망한다[71] 명성황후가 살아있던 시절 고종의 딸을 하나 낳는데 역시 어려서 사망한다. 딸은 낳은 그녀도 당호를 받았는데 의친왕의 생모인 귀인 장씨가 당호를 못받은 것은 견제라고 볼수 있다[72] 덕혜옹주의 생모이다.[73] 1890년 ~ 1970년. 마지막 승은 상궁이라고 할 수 있는 인물이다. 자식을 낳지는 못했지만 고종 사후 순종(당시 창덕궁 이왕)에 의해 삼축당이라는 당호를 하사 받았다.[74] 인터넷을 찾아보면 고종의 후궁 중에 상궁 염씨가 기재되어 있는 정보가 많은데,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는다. 참고로 고종의 딸을 자처한 '문용옹주' 이문용이 생모라고 주장한 사람이 바로 염씨.[75] 실록에 후궁의 이름이 등장하는 경우는 보통 후궁이 죄를 지어 언급 될 때가 많다.[76] 이름이 금영인지 성이 김씨인지 금씨인지는 모름[77] 기생 출신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이 이름은 본명이 아니라 기명(예명)일 가능성도 있다.[78] 《상교정본자비도량참법》[79] 《조선왕조실록》[80] 《조선왕조실록》[81] 《조선왕조실록》[82] 《조선왕조실록》[83] 《조선왕조실록》[84] 《조선왕조실록》[85] 《조선왕조실록》[86] 《조선왕조실록》[87] 《조선왕조실록》[88] 《조선왕조실록》, 《계축일기》, 《공사견문록》, 《연려실기술》[89] 《선원록》[90] 《계해정사록》[91] 《조선왕조실록》, 《승정원일기》[92] 《한숙원전》[93] 공식적으로는 후궁이 아니다.[94] 《조선왕조실록》[95] 삼복과 간통했다는 혐의로 받아 유배를 갔다.(홍수의 변)[96] 《단암만록》[97] 《한중록》[98] 《한중록》[99] 《이재난고》[100] 《경향신문》[101] 《조선일보》[102] 왕비 중 가장 장수한 신정왕후(83살)와 왕녀 중 가장 장수한 정명공주(83살)[111]와 비교해도 5년이나 더 오래 살았다.[103] 다만, 후궁은 생몰년이 기록되어있지 않은 경우가 많아 희빈 홍씨와 폐숙의 윤씨보다 더 오래산 후궁이 있을 가능성도 있다. 이 두명과 비슷하거나 더 오래 살았던 것으로 추측되는 후궁 중 한명이 선조의 후궁인 순빈 김씨이다.[104] 정빈 고씨의 아들인 근녕군이 신빈 신씨의 아들이 아닌것이 밝혀져 신씨가 총 2남7녀를 낳은 것으로 알려져있지만 《태종신도비문》에서 신빈 신씨가 3남7녀를 낳았고 정빈 고씨가 1남을 낳았다고 기록되어있다. 함녕군과 온녕군 외에 봉작을 받은 신씨의 아들이 없는 것으로 보아 일찍 사망한것으로 보인다.[105] 정현왕후, 장경왕후 등 후궁 출신 왕비들은 최종 지위가 왕비였음으로 제외[106] 공빈 김씨의 경우 생전에 왕비가 되지 못하고 사후 왕후로 추존되었다가 다시 강등 당한 경우이므로 해당되지 않는다.[107] 승은궁녀에서 종2품 숙의로 시작[108] 승은궁녀에서 정3품 소용으로 시작[109] 승은궁녀에서 종2품 숙의로 시작[110] 승은궁녀에서 종1품 귀인 혹은 종2품 숙의로 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