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06-16 01:47:14

숙용 전씨


조선의 후궁
[[틀:조선의 후궁(환조 ~ 연산군)|{{{#!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ackground: #ffd400; border-radius: 3px; font-size: .8em"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6E1D55, #89236A 20%, #89236A 80%, #6E1D55); color: #ffd4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이자춘|{{{#!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400; font-size: .7em"]]
[[덕종(조선)|{{{#!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400; font-size: .7em"]]
국왕 · 추존 국왕 · 왕비 · 추존 왕비 · 왕세자 · 왕세자빈
후궁 : 환조 ~ 연산군 · 중종 ~ 고종
왕자 : 목조 ~ 연산군 · 중종 ~ 고종
왕녀 : 익조 ~ 연산군 · 중종 ~ 철종
※ 정식 후궁 첩지가 있는 사람만 기재
}}}}}}}}}


<colbgcolor=#89236A><colcolor=#ffd400>
조선 연산군의 후궁
숙용 전씨 | 淑容 田氏
출생 미상
사망 1506년 9월 28일(음력 9월 2일)
한성부 군기시 앞
재위기간 조선 숙원
미상 ~ 1505년 5월 31일
조선 숙용
1505년 5월 31일 ~ 1506년 9월 28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89236A><colcolor=#ffd400> 본관 담양 전씨
전비(田非)
부군 연산군
자녀 슬하 1녀
딸 - 왕녀(요절)
봉작 숙원(淑媛) → 숙용(淑容)
}}}}}}}}} ||
1. 개요2. 생애

[clearfix]

1. 개요

조선 연산군후궁. 연산군의 총애를 받았으며, 또한 연산군의 많은 여자들 중 그를 이해한 후궁이었다. 중종반정이 일어나기 열흘 전에 연산군이 후원에서 노닐다가 "인생은 초로와 같아서 만날 때가 많지 않는 것"이라고 읊자 장녹수와 더불어 유일하게 눈물을 흘렸다고 한다.

2. 생애

1505년(연산군 11) 숙원에서 숙용(淑容)으로 품계가 올랐다. 이러한 기록으로 볼 때, 이미 그 전에 연산군의 후궁이 되었을 것으로 추측된다.[1]

연산군 재위 기간 동안 다른 후궁들과 마찬가지로 부정부패의 온상이었다. 달성군 서거정의 서자 서복경(徐福慶)[2]은 그녀에게 뇌물을 주고 벼슬을 얻었고[3], 외삼촌인 전동(田同)은 조카딸의 권력을 믿고 백성들의 재물을 빼앗고 횡포를 부리는데 오히려 지방 수령들은 전동을 접대하며 잘 보이려고 노력하였다.[4] 그러나 1506년(중종 1) 중종반정이 일어나면서 연산군이 폐위되자 권세를 잃고 몰락하여 장녹수, 김귀비 등과 함께 군기시 앞에서 참수되어 죽었다.
[1] 연산군일기 57권, 연산 11년 4월 18일 계유 6번째기사. #[2] 서복경을 낳은 어머니는 능직(陵直)을 지낸 이영근(李寧根)의 딸이다.[3] 연산군일기 58권, 연산 11년 7월 24일 정미 3번째기사. #[4] 연산군일기 62권, 연산 12년 6월 1일 기유 8번째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