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라키 테츠로 X IG Port 오리지널 시리즈 | ||||||
길티 크라운 | → | 갑철성의 카바네리 | → | 갑철성의 카바네리: 해문결전 | → | 버블 |
버블 (2022) バブル BUBBLE | |
{{{#!wiki style="margin: -6px -10px" | |
장르 | 액션, 포스트 아포칼립스, SF, 판타지, 로맨스 |
감독 | 아라키 테츠로 |
조감독 | 타카하시 켄지 카타기리 타카시 |
각본 | 우로부치 겐 오오키 렌지 사토 나오코(佐藤直子) |
콘티 | 아라키 테츠로 히라카와 테츠오 카마쿠라 유미 코마츠다 다이젠 카타기리 타카시[1] 테시마 마이 타카하시 켄지 |
연출 | 아라키 테츠로 타카하시 켄지 카타기리 타카시 야마시로 치에(山城智恵) |
출연 | 시손 쥰 리리아 미야노 마모루 카지 유우키 하타나카 타스쿠 히로세 아리스 센본기 사야카 이노우에 마리나 미키 신이치로 외 |
캐릭터 디자인 원안 | 오바타 타케시 |
캐릭터 디자인 | 카도와키 사토시 |
총 작화감독 | |
메인 애니메이터 | 아사노 쿄지 치바 타카아키 미야모토 사와코(宮本佐和子) 오치 신지 소우자키 노부요시(宗崎暢芳) 타카베 미츠아키(高部光章) 스기타 슈 |
작화감독 | 카도와키 사토시 치바 타카아키 아사노 쿄지 시모죠 유미(下條祐未) 사이토 치히로(齋藤千尋) 장 샤오웨이(張紹偉) 타무라 야스호(田村恭穂) 소우자키 노부요시(宗崎暢芳) 미야모토 사와코(宮本佐和子) 오치 신지 야마우치 료(山内 遼) 무라카미 타츠야 미노와 아야코(簑輪愛子) 아오키 슌스케 |
원화 | 사사키 요헤이, 아오키 슌스케, 토미오카 카이토, 타카하시 유이치, 우사미 코이치(宇佐美皓一), spike, 슈 히로마츠, 코마츠다 다이젠, 토쿠마루 마사히로, 미와 카즈히로, 사카이 사토시, 나카타니 세이이치, 카와노 타츠로, 야마다 나츠키, 시미즈 유지, 오오쿠라 케이스케, 스기타 슈, 츠지 아야카 등 |
미술 감독 | 요시하라 슌이치로(吉原俊一郎) |
촬영 감독 | 야마다 카즈히로 |
CG 감독 | 히로즈미 시게노리(廣住茂徳) |
VFX 슈퍼바이저 | 카토 미치야(加藤道哉) |
색채 설계 | 하시모토 사토시(橋本 賢) |
편집 | 히다 아야(肥田 文) |
음향 감독 | 미마 마사후미 |
음향 효과 | 쿠라하시 시즈오(倉橋静男) 야마타니 나오토(山谷尚人) |
음악 | 사와노 히로유키 |
주제곡 | Bubble feat. Uta - Eve |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 야마나카 카즈키 하야시 카즈에 |
프로듀서 | 카와무라 겐키 카세 미라이(加瀬未来) 나카타케 테츠야 |
제작 | 후루사와 요시히로(古澤佳寬) 와다 죠지 |
제작 총괄 | 카와무라 겐키 |
제작사 | WIT STUDIO |
음악 프로듀서 | 나루카와 사요코(成川沙世子) |
제작위원회 | 「버블」 제작위원회[2] |
기획 | STORY inc. |
배급사 | 워너 브라더스 재팬 넷플릭스 |
개봉일 | 2022년 4월 28일 2022년 5월 13일 2022년 4월 28일 |
화면비 | 비스타비전 |
상영 시간 | 101분 (1시간 41분) |
독점 스트리밍 | 넷플릭스 ▶ |
상영 등급 | 12세 이상 관람가 |
공식 홈페이지 | | |
[clearfix]
1. 개요
파일:bubble chara.png일본의 애니메이션 영화. 감독은 아라키 테츠로, 각본은 우로부치 겐, 제작사는 WIT STUDIO. 2022년 4월 28일에 넷플릭스에서 선행으로 전세계 독점 송신하며, 극장 개봉일은 2022년 5월 13일이다.
버블이라고만 치면 인터넷 검색이 잘 안 되므로 공식에서는 '영화 버블(映画 バブル)'로 주로 부른다.
2. 개봉 전 정보
아라키 테츠로 감독이 2019년부터 여러 인터뷰와 매체에서 WIT STUDIO와 함께 오리지널 신작을 준비중이라 밝혀왔으며, 3년간 준비한 작품이라고 한다.오랫동안 아무런 정보없이 그저 준비중이라고만 밝혔던 작품으로, 오랜시간 동안 그 어떤한 소재와 정보도 밝히지 않고 비밀스럽게 다루고 가끔씩 신작이 있긴 있다고 WIT와 감독 모두 말을 아끼다가 결국 2021년 12월 7일에서야 정보가 공개되었다. 넷플릭스에서 전세계 2022년 4월 28일에 선공개, 일본에서는 5월 13일에 극장 개봉을 진행한다.
길티 크라운, 갑철성의 카바네리, 갑철성의 카바네리: 해문결전에 이은 아라키 테츠로 감독의 4번째 오리지널 애니메이션이자 해문결전에 이은 2번째 극장 오리지널이다. 이번에도 길티 크라운부터 계속 해왔던 장르인 포스트 아포칼립스이며, 기존 길티 크라운, 카바네리에 비해 더 밝은 느낌의 색감과 분위기를 표방하고 있다.
각본의 경우 이번 작품은 그동안 함께 해왔던 각본가 오코우치 이치로가 아닌 우로부치 겐이 참여했다. 다만 공개된 비주얼과 PV를 보면 전체적인 세계관과 큰 틀의 플롯은 우로부치보다는 아라키 테츠로 감독의 색깔이 강할 것으로 추측된다. 아라키 감독은 대부분 각본가보다는 본인의 성향을 강하게 드러내는 작품들을 만들어왔기 때문에 더욱 그럴 것으로 보인다.
캐릭터 원안에는 만화가 오바타 타케시가 참여했으며, 오바타 타케시는 아라키 감독의 TVA 데뷔작이자 출세작인 데스노트의 원작 만화의 그림을 맡았던 사람이다. 16년만에 재회하게 된 것.
음악에도 감독의 페르소나 사와노 히로유키가 참여하였다.
감독에 따르면 작품에 자신과 친한 사람들을 대부분 불러왔으며, 상당한 야심작이라고 한다. 성우진을 비롯해 사와노 히로유키, 오바타 타케시, 야마다 카즈히로, 미마 마사후미 같은 친분이 두터운 인물들은 대부분 참여했다.
우려사항이라면 아라키 감독의 오리지널 작품들은 좋은 의미로든 나쁜 의미로든 호불호가 워낙 극단적으로 갈린다는 점과, 동시기 제작사 WIT STUDIO가 준비하는 작품 수가 많다는 것과 감독 사단 애니메이터 다수가 참여하기 힘든 상황이라는 것이다.[3] 실제로 감독도 여성 스태프나 신인 애니메이터들이 많이 참여했다고 밝혔다. 그래도 아라키 테츠로 작품에 여러 차례 참여했던 카도와키 사토시가 총 작화감독으로 공개되었고, 아사노 쿄지, 치바 타카아키를 비롯한 진격의 거인에 참여했던 스태프들 다수가 왔다.
감독 인터뷰에 따르면 자신이 하려고 하지 않았던 것을 목표로 잡은 작품이라고 한다. 그동안 생명의 위협을 느끼고 발버둥 치는 무겁고 암울한 작품을 만들었던 반면, 이번에는 더 사랑스럽고 아름답고 밝은 테마의 작품을 만드는 것이 목표였다고 한다.[4] 기존의 무겁고 어두웠던 감독 작품들과는 다른 분위기를 띌 것으로 보인다.
다른 관점에서는 그동안 자신의 작품에서 한 축을 담당한 친한 사람들과 함께했고, 배경 설정과 세계관, 인물 구도는 기존 작품들과 유사하다는 점에서 자신의 집대성이라고도 언급하였다.
아라키 감독에 따르면 어마어마한 스탭들이 참여했다고 자신이 아니메쥬에서 연재하는 대담에서 언급하였다. 프로듀서[5] 야마나카 카즈키가 이끄는 제작팀이 정말 엄청나고, 감독 생활 20년[6]동안 이보다 더 완벽할 수 없다고 하였다.
2.1. 성우 캐스팅
주연 성우 중 시손 쥰은 본래 배우로 본작에서 첫 애니메이션 성우에 도전하며, 리리아는 유튜버 출신 가수[7]로 이번에 처음 연기에 도전하고 엔딩 주제가 또한 맡게 되었다.미야노 마모루와 카지 유우키 2명은 아라키 테츠로 감독의 페르소나로 배역 수로는 미야노 마모루는 5번째, 카지 유우키는 4번째 캐스팅이다. 이 중 미야노 마모루는 데스노트에서 야가미 라이토를, 카지 유우키는 길티 크라운에서 오우마 슈와 진격의 거인에서 엘런 예거 등의 주인공도 맡았었다. 하타나카 타스쿠도 갑철성의 카바네리에서 주인공 이코마 역을 맡고 진격의 거인 3기에서 플레겔 리브스 역을 맡은 이후로 3번째 캐스팅이다.
여성진 성우인 센본기 사야카는 갑철성의 카바네리의 여주인공 무메이를 맡았으며, 이노우에 마리나도 학원묵시록 HIGHSCHOOL OF THE DEAD의 여주인공인 미야모토 레이, 진격의 거인의 아르민 알레르토에 이은 3번째 캐스팅이다.
추가 공개된 성우 미키 신이치로도 쿠로즈카, 갑철성의 카바네리: 해문결전에 이은 3번째 캐스팅이다.
넷플릭스에서 한국어 더빙을 지원한다. 히비키 역은 심규혁이 우타 역은 장예나가 맡았다.
2.2. 예고편
티저 |
예고편 |
30초 특보 |
30초 예고1 |
30초 예고2 |
30초 예고3 |
3. 시놉시스
중력도, 운명도 넘어서라. 그래비티 액션 새로운 체험!
중력이 망가진 도쿄에서, 소년과 소녀의 마음이 이끌린다――.
본작의 무대는 세계에 쏟아진 거품 <버블>로
중력이 망가져버린 도쿄.
생활 시설이 폐쇄된 도쿄는
가족을 잃은 일부 젊은이들의 놀이터로 변했고,
빌딩과 빌딩을 가로지르는 파쿠르 팀 배틀의 전장이 되었다.
어느 날, 위험한 플레이 스타일로 주목을 받는 에이스 히비키는
궤도가 없는 플레이를 하다가 중력을 왜곡시키는 바다에 빠지고 만다.
그곳에서 갑자기 나타난 불가사의한 힘을 가진 소녀 우타가 히비키의 목숨을 구했다.
그리고, 두 명에게만 특별한 소리가 들려온다...
어째서 우타는 히비키 앞에 나타났는가.
두 명의 만남은 세상을 바꾸는 진실로 이어진다.
중력이 망가진 도쿄에서, 소년과 소녀의 마음이 이끌린다――.
본작의 무대는 세계에 쏟아진 거품 <버블>로
중력이 망가져버린 도쿄.
생활 시설이 폐쇄된 도쿄는
가족을 잃은 일부 젊은이들의 놀이터로 변했고,
빌딩과 빌딩을 가로지르는 파쿠르 팀 배틀의 전장이 되었다.
어느 날, 위험한 플레이 스타일로 주목을 받는 에이스 히비키는
궤도가 없는 플레이를 하다가 중력을 왜곡시키는 바다에 빠지고 만다.
그곳에서 갑자기 나타난 불가사의한 힘을 가진 소녀 우타가 히비키의 목숨을 구했다.
그리고, 두 명에게만 특별한 소리가 들려온다...
어째서 우타는 히비키 앞에 나타났는가.
두 명의 만남은 세상을 바꾸는 진실로 이어진다.
4. 등장인물
- 히비키(ヒビキ) - 성우: 시손 쥰 / 심규혁 / 잭 아귈라[8]
주인공. 포스터에 나오는 남성이다. 청각장애[9]를 앓고 있다. 팀 블루 블레이즈의 에이스이며 파쿠르 실력이 발군이다.
- 우타(ウタ) - 성우: 리리아. (りりあ。)[10] / 장예나 / 에미 로
포스터에 나오는 파란색 짧은 머리의 여성. 히비키를 구해준 은인. 본래는 거품의 모습이였으나 히비키가 물 속에서 내뱉은 공기방울과 접촉하면서 인간의 모습을 가지게 되었다.[11] 귀여운 외모와는 다르게 허당끼가 있지만 히비키에도 밀리지 않는 파쿠르 실력을 가지고 있다. 거기에 거품을 조종하는 능력도 있어서 그야말로 호랑이에게 날개가 달린 수준의 파쿠르를 할 수 있다.
- 마코토(マコト) - 성우: 히로세 아리스 / 이지현 / 에리카 린드벡
도쿄의 버블 현상을 조사하기 위해 파견된 여성 연구원. 아름다운 외모와 상당한 몸매의 소유자이며 맥주를 좋아한다. 블루 블레이즈 팀과 함께 생활하고 있으며 매니저 역할을 하고있다. 신에게 마음을 두고 있는 듯.
- 신(シン) - 성우: 미야노 마모루 / 표영재 / 키스 실버스틴
블루 블레이즈 팀과 함께 생활하며 조력자이자 보호자 역할을 하고 있는 성인 남성. 작 중 묘사상 과거의 파쿠르 레전드 선수였던 걸로 추정되나 불의의 사고로 인해 현재 한쪽 다리가 의족이며 파쿠르를 하고 있진 않다. 명성이 꽤나 높았던지 다른 파쿠러들이 존경심과 경외감을 보인다. 현재는 블루 블레이즈 팀의 보호자/코치 역할을 하며 동시에 비공식 파쿠르 경기인 "도쿄 배틀쿠르"의 개최/심판 등을 맡은 듯. [12]
- 카이(カイ) - 성우: 카지 유우키 / 이호산 / 로비 데이먼드
"블루 블레이즈", 줄여서 "BB"의 리더이며 주황 장발이 특징이다. 마코토를 짝사랑한다. 리더답게 파쿠르 실력이 뛰어나며 오더능력과 리더십, 팀워크가 훌륭한 것으로 묘사되나, 주인공 버프에 밀려 히비키보다는 한 수 아래의 실력. 팀워크를 중시하는 리더 답게 단독행동과 돌발행동이 디폴트인, 그러나 실력으로는 깔 수 없는 주인공 히비키를 마음에 들어 하지 않으며 약간의 열등감과 질투심이 있는 듯 하다.[13] 허나 이런 역의 조연들이자 라이벌이 으레 그렇듯, 내용이 전개됨에 따라 중반부 부터는 누구보다 든든한 주인공의 조력자이자 절친이 되며 팀 리더 다운 의리를 보여주는 명품 조연이다.성우가 성우인지라 주인공보다 더 주인공같다.. 주인공이 워낙 말 수가 적은 역이기도 하고.
- 우사기(ウサギ) - 성우: 센본기 사야카 / 박리나 / 로라 스탈
블루 블레이즈 크루에서 가장 어린 멤버. 파쿠르 실력 자체는 재능있는 편. 우사기는 토끼라는 뜻이며 이게 실명인지 혹은 별명, 닉네임인지는 불명.
- 언더테이커 리더(アンダーテイカー・リーダー) - 성우: 이노우에 마리나 / 장미 / 크리스티나 발렌주엘라[14]
통칭 "장의사". 잠수함과 외부에서 후원을 받은, 부스터가 장착된 부츠[15][16]를 소유하고 있으며 마코토를 인질로 삼아 블루 블레이즈의 배를 노린다. 그러나 거품을 타고 변환자재의 이동을 선보인 우타의 대활약 때문에 시합에서 패배한다. 그리고 도쿄 타워의 거품들이 폭주할 때 표류하다가 블루 블레이즈의 배에 승선해 구출된다. 그 후, 히비키를 포함한 블루 블레이즈가 도쿄 타워의 거품들을 향해 간 우타를 구하러 갈 때 자신들의 부스터 부츠를 넘겨주고는 행운을 빌어줬다.
- 간토 매드 랍스터 리더(関東マッドロブスター・リーダー) - 성우: 미키 신이치로 / 최한 / 크리스 자이 알렉스
5. 설정
- 버블
5년 전, 전 세계에 발생한 '버블 현상' 으로 인해 흩뿌려진 거품들. 보통은 바닥에 흩뿌려 진 뒤, 그냥 물이 되지만 일부 중력이나 물리법칙을 무시하며 공중에 떠 다니는 개체가 있다. 밟아도 터지지 않고 사람을 튕겨 낼 정도의 내구력을 가지기도 한다.[17] 전 세계의 학자들이 정체를 밝히려 표본을 채취하여 연구 해 보았으나 성과는 없었다.
- 버블 현상
5년 전 전 세계에 발생한 현상으로, 물로 이루어진 거품들이 어딘가에서 생성돼 전 세계에 뿌려지거나 일부 지역을 뒤덮었다. 보통은 시간이 지나 그냥 물로 변하여 사라졌지만, 도쿄에서는...
- 강포 현상
5년 전 버블 현상 직후에 일본 도쿄에서 발생한 이상현상. 테러를 연상시키는 거대한 폭발 이후 일반 버블 현상에 더해 '강포' 라고 부르는 이상하고 커다란 거품들이 발생과 더불어, 중력 이상 현상이 발생하여 도쿄를 불모지로 만든 원인이다. 진원지는 도쿄 상공 도쿄 타워 꼭대기 부근.
- 도쿄
강포 현상으로 도쿄 시내 곳곳은 물로 변한 버블들에 의해 침수되었으며 곳곳에 강포들과 중력 이상 현상으로 인해 시가지가 파괴되었으며 정부의 결정에 따라 접근금지/거주금지 구역이 되었다. 더 이상 일본의 수도가 아니며 버려진 유령도시 가 되었다. 그러나 이후 일부 노숙자, 가출 청소년 들이 모여들어 살고 있으며 그 중 파쿠르를 즐기는 이들의 놀이터 화 되었다.
- 도쿄 배틀쿠르
버려진 도쿄 내 불법으로 이루어지는 비공식 파쿠르 경기. 5대5 팀전으로 진행되며 전직 파쿠르 선수인 '신' 이 총괄/기획자로 보인다. 룰은 대략 정해진 루트를 따라 다섯명의 크루원이 협동을 하여 상대 크루원 전원을 탈락시키거나[18] 먼저 결승점에 도달해 깃발을 뽑으면 승리. 보통 도쿄 내 크루끼리 생필품을 걸고 내기한다. 다른 파쿠르 크루나 도쿄 내에 거주하는 홈리스들은 각각 돈을 베팅하는 도박도 즐기는 듯.담배도 아니고 돈은 어따 쓰냐?생명의 위험이 난무하기에 경기는 당연히 불법이며 애초에 도쿄 내 출입 자체가 금지이기 때문에 도쿄 바깥의 사람들은 경기의 존재조차 모르고 있으나 당연히 어딘가에서 동영상 등이 유출돼 일부 관심을 가지는 사람들이 존재하는듯 하다. 명칭의 어원은 도쿄+배틀+파쿠르 인 듯.
- 개미지옥
침수된 도쿄 지면에 발생한 중력 이상 현상. 묘사로는 해저에 발생한 미니 블랙홀이다. 수면이 소용돌이 치며 공기와 함께 약하게 빨려들어가는 모양새. 주변의 물에 빠지면 빠져나오기 힘들어 위험하다.
- 거미집
도쿄 상공에 발생한 중력 이상 현상. 묘사로는 허공에 발생한 미니 블랙홀이다.
6. 음악
6.1. 주제가
OP BUBBLE feat. Uta | |||
Movie ver. | |||
Full ver. | |||
TeddyLoid Remix ver.[N] | |||
<colbgcolor=#B2CCFF,#B2CCFF><colcolor=#ffffff,#ffffff> 노래 | Eve, 우타(CV 리리아.) | ||
작사 | Eve | ||
작곡 | |||
편곡 | Numa TeddyLoid[20]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B2CCFF,#B2CCFF><colcolor=#ffffff,#ffffff> 디렉터 | 요다 노부타카 | |
편집 |
{{{#!folding 가사 ▼ | はりぼての飛行船の正体を | |
하리보테노 히코센노 쇼타이오 | ||
그럴듯한 비행선의 정체를 | ||
心の中に描き映した | ||
코코로노 나카니 에가키 우츠시타 | ||
마음 속에 그려 넣었어 | ||
抗うように思い出のアイロニー | ||
아라가우요우니 오모이데노 아이로니 | ||
겨루는듯한 추억의 아이러니 | ||
明日を正しく迎える為 | ||
아시타오 타다시쿠 무카에루타메 | ||
내일을 올곧게 맞이하고자 | ||
立ち止まることも知らない | ||
타치토마루 코토모 시라나이 | ||
멈추는 것도 알지 못해 | ||
この軌道上に居なくとも | ||
코노 키도오조오니 이나쿠토모 | ||
이 궤도상에 다다르지 않아도 | ||
道しるべになるような | ||
미치시루베니 나루요우나 | ||
길잡이가 될 것만 같은 | ||
この旗は折れることはない | ||
코노 하타와 오레루 코토와 나이 | ||
이 깃발은 부숴지지 않아 | ||
遠い過去の情景を | ||
토오이 카코노 조오케에오 | ||
먼 옛날의 정경을 | ||
いつまでも見れるよう | ||
이츠마데모 미에루요우 | ||
언제나 볼 수 있도록 | ||
叫んでいこうぜ 飛び越えて 舞って | ||
사켄데이코우제 토비코에테 맛테 | ||
외치며 나아가보자 뛰어 넘어 춤춰 | ||
弾けるこの想いも泡になって | ||
하지케루 코노 오모이모 아와니 낫테 | ||
터지는 이 마음도 거품으로 바뀌며 | ||
君となら僕はまだ | ||
키미토나라 보쿠와마다 | ||
너와 함께하면 나는 아직 | ||
この夜も超えてみせると | ||
코노 요루모 코에테미세루토 | ||
이밤도 넘겨 보일 것이라며 | ||
確かな声で 大地を蹴って | ||
타시카나 코에데 다이치오 켓테 | ||
뚜렷한 목소리로 대지를 벅차며 | ||
引力は僕たちを離さないまま | ||
인료쿠와 보쿠타치오 하나사나이 마마 | ||
인력은 우리를 놓아주지 않는 채 | ||
恐れないで 手を振るよ | ||
오소레나이데 테오 후루요 | ||
두려워하지마 손을 흔들 꺼야 | ||
銀河の隅っこから応答して | ||
긴기노 스밋코카라 오오토오시테 | ||
은하의 어느 구석에서 응답하여 | ||
探してゆけるから | ||
사카시테 유케루카라 | ||
찾아서 나갈테니까 | ||
触れることもできなくて | ||
후레루코토모 데키나쿠테 | ||
닿는 것도 할 수 없어서 | ||
引かれ合う心はなぜ | ||
히카레아우 코코로와 나제 | ||
끌려 당기는 마음은 왜일까 | ||
夢の中を彷徨って | ||
유메노 나카오 사마욧테 | ||
꿈속에서 헤매고 | ||
ただ歌うことをやめないで | ||
타다 우타우 코토오 야메나이데 | ||
그저 노래 부르는 걸 멈추지마 | ||
特別なことなんていらない | ||
토쿠베츠나 코토난테 이라나이 | ||
특별한 것 따위 없어도 돼 | ||
伝えなくてもわかるように | ||
츠타에나쿠테모 와카루요우니 | ||
전하지 않아도 알 수 있게 | ||
二人だけの音が | ||
후타리 다케노 오토가 | ||
둘 만의 소리가 | ||
この心を一つにした | ||
코노 오모이오 히토츠니시타 | ||
이 마음을 하나로 모았어 | ||
想い描いた情景を | ||
오모이 카이타 조오케에오 | ||
떠올리며 그리워하던 그 정경을 | ||
いつまでも見れるよう | ||
이츠마데모 미에루요우 | ||
언제까지나 볼 수 있게 | ||
叫んでこうぜ | ||
사켄데이코우제 | ||
외쳐 나가보자 | ||
確かにある 目に映る | ||
타시카니아루 메니우츠루 | ||
뚜렷하며 눈에 비치는 | ||
僕たちを繋ぐコンパスが | ||
보쿠타치오 츠네구 콘파스가 | ||
우리들을 이어주는 컴퍼스가 | ||
不確かな 目に見えない | ||
후타시카나 메니 미에나이 | ||
뚜렷하지 않고 눈에 보이지 않는 | ||
心の奥をノックした | ||
코코로노 오쿠오 놋쿠시타 | ||
마음 속을 노크 했어 | ||
まだ (ただ) 怖いから (君と) | ||
마다 (타다) 코와이카라 (키미토) | ||
아직 (그저) 두려우니까 (너와) | ||
離さないでね (手を伸ばして) ずっと (ずっと) | ||
하나사나이데네 (테오노바시테) 즛토 (즛토) | ||
놓지말아줘 (손을 뻗으며) 줄곧 (줄곧) | ||
合図を待って 声の呼ぶ方へ | ||
아이즈오 맛테 코에노 요부 호오에 | ||
신호를 기다리며 소리가 부르는 녘에 | ||
今ゆけ 惹かれあう引力で | ||
이마 유케 히카레아우 인료쿠데 | ||
지금 가 끌어 당기는 인력으로 | ||
叫んでいこうぜ 飛び越えて 舞って | ||
사켄데이코우제 토비코에테 맛테 | ||
외쳐 나가보자 뛰어넘어 춤춰 | ||
弾けるこの想いも泡になって | ||
하지케루 코노 오모이모 아와니 낫테 | ||
터지는 이 마음도 거품이 되어 | ||
君となら僕はまだ | ||
키미토나라 보쿠와 마다 | ||
너와 함께하면 나는 아직 | ||
この夜も超えてみせると | ||
코노 요루모 코에테미세루토 | ||
이 밤도 넘겨 보일 것이라며 | ||
確かな声で 大地を蹴って | ||
타시카나 코에데 다이치오 켓테 | ||
뚜렷한 목소리로 대지를 박차며 | ||
引力は僕たちを離さないまま | ||
인료쿠와 보쿠타치오 하나사나이 마마 | ||
인력은 우리를 놓아주지 않은채 | ||
恐れないで 手を振るよ | ||
오소레나이데 테오 후루요 | ||
두려워 하지마 손을 흔들 거야 | ||
銀河の隅っこから応答して | ||
긴가노 스밋코카라 오오토오시테 | ||
은하의 저 구석에서 응답하여 | ||
探してゆけるから | ||
사카시테 유케루카라 | ||
찾으로 나갈 테니까 | ||
''' |
ED Bye Bye, See You. じゃあね、 またね。 안녕, 또 봐. | |||
Music Video | |||
Full ver. | |||
<colbgcolor=#B2CCFF,#B2CCFF><colcolor=#ffffff,#ffffff> 노래 | 리리아. (りりあ。) | ||
작사 | |||
작곡 | |||
편곡 | 이타이 나오키(板井直樹), 세츠네 사토시(瀬恒啓)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B2CCFF,#B2CCFF><colcolor=#ffffff,#ffffff> 콘티 | 아라키 테츠로 | |
연출 | |||
작화감독 | 카도와키 사토시 | ||
원화 | 카도와키 사토시, 오치 신지 |
{{{#!folding 가사 ▼ | じゃあねまたね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じゃあねまたね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じゃあねまた明日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があなたに言えなくなった日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じゃあねまたね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じゃあねまたね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それは私の恋が終わった日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変にツボが浅くて笑い合って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あの映画はあなたと観たいって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誕生日は何あげようかなって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新しい服着て会いたいなって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あなたの好みに近づきたいって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考えて眠る日も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全部全部なくなって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全部全部なくなって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しまった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じゃあねまたね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じゃあねまたね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じゃあねまた明日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があなたに言えなくなった日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じゃあねまたね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じゃあねまたね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それは私の恋が終わった日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同じ時間を過ごす事も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お決まりの毎日の電話も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なくなったはずなのに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君の匂い忘れちゃうのかな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あの約束は誰と叶えて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寂しい夜を分かち合うのかな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でももう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全部全部なくなって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全部全部なくなって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しまった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この曲を聴いたら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思い出してくれるかな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約束守れなくてごめんって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思ってくれるかな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でもね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思い出さなくていいから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約束はまたすればいいから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戻って来て…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じゃあねまたね。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じゃあねまたね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じゃあねまたね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じゃあねまた明日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があなたに言えなくなった日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じゃあねまたね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じゃあねまたね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これからも好きは募ってく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心(ここ)から消えずずっと憶ってる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원어 가사 출처: Lyrical Nonsense |
6.2. 삽입곡
Insert Song Shikisai 色彩 색채 | ||
Full ver. | ||
<colbgcolor=#B2CCFF,#B2CCFF><colcolor=#ffffff,#ffffff> 노래 | 리리아. (りりあ。) | |
작사 | ||
작곡 | 사와노 히로유키 | |
편곡 | ||
{{{#!folding 가사 ▼ | 色もなく透明で消えそうな私に | |
이로모나쿠 토메이데 키에소오나 와타시니 | ||
색도 없고 투명해 사라질 것 같은 나에게 | ||
あなたは彩(イロドリ)と強さをくれた | ||
아나타와 이로도리토 츠요사오쿠레타 | ||
네가 빛깔과 힘을 주었고 | ||
とてもキレイで儚く特別なその色は | ||
토테모 키레이데 하카나쿠 토쿠베츠나 소노 이로와 | ||
무척이나 아름답고 덧없고 특별한 그 빛깔은 | ||
壊れてた心にさえ花を描き | ||
코와레테타 코코로니사에 하나오 에가키 | ||
부서진 마음마저 꽃을 그리고 | ||
光を差し私たちを輝かせる | ||
히카리오 사시 와타시타치오 카가야카세루 | ||
빛을 내서 우리들을 빛나게 해 | ||
あなたがくれる言葉も | ||
아나타가 쿠레루 코토바모 | ||
네가 해줬던 말도 | ||
優しい手の温もりも | ||
야사시이 테노 누쿠모리모 | ||
상냥한 손끝의 따스함도 | ||
笑顔も声も仕草も | ||
에가오모 코에모 시구사모 | ||
그 미소, 목소리, 행동도 | ||
全てが愛おしすぎて | ||
스베테가 이토오시스기테 | ||
전부가 사랑스러워서 | ||
あなたに抱きしめてもらう事が | ||
아나타니 다키시메테 모라우 코토가 | ||
너에게 안겨 있는 것이 | ||
何かを失ってしまうとしても | ||
나니카오 우시낫테 시마우토싯테모 | ||
무엇을 잃어버린다고 해도 | ||
ただあなたに触れる事それが | ||
타다 아나타니 후레루코토 소레가 | ||
그저 네게 닿고만 싶은 그것이 | ||
誰かを傷つけてしまうとしても | ||
다레카오 키즈츠케테 시마우토 싯테모 | ||
누군가를 상처 입히고 말아버린다 해도 | ||
許されないとしても | ||
유루사레나이토 싯테모 | ||
용서 받을 수 없는 것일지라도 | ||
この想いは消せないから | ||
코노 오모이와 케세나이카라 | ||
이 마음만은 지울 수 없으니까 | ||
あなたに届け想いが | ||
아나타니 토도케 오모이가 | ||
네게 전해지는 이 마음이 | ||
この音この歌声が | ||
코노 오토 코노 우타고에가 | ||
이 소리, 이 노랫말이 | ||
優しく温かい記憶が | ||
야사시쿠 아타타카이 키오쿠가 | ||
상냥하고 따스한 기억이 | ||
消えないように | ||
키에나이 요오니 | ||
사라지지 않도록 | ||
愛おしいと想う相手は | ||
이토오시이토 오모우 아이테와 | ||
사랑스럽다고 생각한 그 상대는 | ||
あなただけ | ||
아나타다케 | ||
그저 너 뿐 | ||
今よりもっと | ||
이마요리못토 | ||
지금보다도 더 | ||
ずっとあなたのそばがいい | ||
즛토 아나타노 소바가 이이 | ||
계속 네 곁에 있는 게 좋아 | ||
永遠に(いつまでも) | ||
이츠마데모 | ||
언제까지라도 | ||
あなたがいい | ||
아나타가이이 | ||
네가 좋아 | ||
悲しくて辛く涙する | ||
카나시쿠테 츠라쿠 나미다스루 | ||
슬퍼서 괴롭고 눈물이 나기도 하고 | ||
幸せで心熱くなる | ||
시아와세데 코코로 아츠쿠나루 | ||
행복해서 마음이 따스해지기도 해 | ||
どれもがあなたとだから | ||
도레모가 아나타토 다카라 | ||
어느 것이든 너와 함께하니까 | ||
すべてがとてもキレイで特別だと | ||
스베테가 토테모 키레이데 토쿠베츠다토 | ||
전부가 무척 아름답고 특별하다고 | ||
気づいたから | ||
키즈이타카라 | ||
깨달았으니까 | ||
二人で育てた花が | ||
후타리데 소다테타 하나가 | ||
둘이서 피운 그 꽃이 | ||
いつの日か枯れてしまっても | ||
이츠노 히카카레테 시맛테모 | ||
언젠가는 말라버릴지언정 | ||
また新しい芽が出て | ||
마타 아타라시이 메가데테 | ||
다시 새로운 싹이 움트고 | ||
そんなふうにずっとずっと | ||
손나 후우니 즛토 즛토 | ||
그래 그렇게 계속 계속 | ||
永遠に(いつまでも) | ||
이츠마데모 | ||
언제까지나 | ||
あなたのとなりがいい | ||
아나타노 토나리가 이이 | ||
네 곁에 남는 게 좋아 | ||
원어 가사 출처: Lyrical Nonsense |
Insert Song UTAtoHIBIKI 우타와 히비키 | |
Full ver. | |
<colbgcolor=#B2CCFF,#B2CCFF><colcolor=#ffffff,#ffffff> 노래 | 리리아. (りりあ。) |
작곡 | 사와노 히로유키 |
편곡 | 사와노 히로유키, 야마모토 코타, 이타이 나오키(板井直樹) |
Insert Song PARKOUR 파쿠르 | ||
Full ver. | ||
<colbgcolor=#B2CCFF,#B2CCFF><colcolor=#ffffff,#ffffff> 노래 | 리리아. (りりあ。) | |
작사 | cAnON. | |
작곡 | 사와노 히로유키 | |
편곡 | 사와노 히로유키, 야마모토 코타, 이타이 나오키(板井直樹) | |
{{{#!folding 가사 ▼ | (원어 가사)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원어 가사)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원어 가사 출처: |
6.3. OST
<colbgcolor=#B2CCFF> | ||
<colcolor=#fff> 01 | BUBBLE | |
02 | BATTLEKOUR | |
03 | BB | |
04 | JU-RYOKU ver.2 | |
05 | BB2 | |
06 | MERMAID | |
07 | HIBIKI | |
08 | UTAtoHIBIKI[21] | |
09 | UNDERTAKER | |
10 | BB×UT | |
11 | PARKOUR[22] | |
12 | UTA | |
13 | 2ndBUBBLE | |
14 | TOWER | |
15 | NE-SAMA[23] | |
16 | BUBBLE-cho. | |
17 | BUBBLE-THEME | |
18 | Bubble feat.Uta | |
19 | Bubble feat.Uta (TeddyLoid Remix)[N] | |
20 | Shikisai (色彩) | |
21 | Bye Bye, See You. (じゃあね、またね。) | |
22 | BUBBLE-outtake1 | |
23 | BUBBLE-outtake2 | |
24 | BUBBLE-outtake3 | |
25 | BUBBLE-outtake4 | |
26 | BUBBLE-outtake5 | |
27 | BUBBLE-outtake6 | |
28 | BUBBLE-outtake7 | |
29 | BUBBLE-outtake8 |
7. 줄거리
8. 수상 및 후보
- 제72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 제너레이션 14plus 장편 부문, 수정곰상 후보(아라키 테츠로)[25]
9. 평가
||<-3><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bgcolor=#333><tablebordercolor=#333> ||
메타스코어 56 / 100 | 점수 6.3 / 10 | 상세 내용 |
||<-2><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f93208><bgcolor=#f93208> ||
신선도 50% | 관객 점수 72%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f6c700><tablebordercolor=#f6c700><tablebgcolor=#fff,#191919><:> [[IMDb|]]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14181c><tablebordercolor=#14181c><tablebgcolor=#fff,#191919><:> ||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fc0><bgcolor=#fc0> ||
전문가 별점 없음 / 5.0 | 관람객 별점 3.5 / 5.0 |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005><bgcolor=#005> ||
별점 6.7 / 10 |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f00><#fff,#ddd> ||
별점 2.6 / 5.0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000000><tablebordercolor=#000000,#FFFFFF><tablebgcolor=#FFFFFF,#191919><:> ||
별점 3.0 / 5.0 |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333><bgcolor=#333> ||
평점 없음 / 10 |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6699cc><#edf4ec> ||
별점 5.7 / 10 |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ff0558><bgcolor=#ff0558> ||
별점 2.6 / 5.0 |
||<-2><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ordercolor=#101322><#101322><tablebgcolor=#fff,#191919> ||
지수 44.83% | 별점 / 5.0 |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bgcolor=#03cf5d><tablebordercolor=#03cf5d><tablebgcolor=#fff,#191919> ||
{{{#!wiki style="display:214161" {{{#!wiki style="display:none; display: inline-block; display: 214161; margin:-5px -9px" [[https://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214161|{{{#!wiki style="display:inline-block; vertical-align:middle" {{{#!wiki style="margin:-10px 0; width:calc(100% + 16px - 1em)" | 기자·평론가 없음 / 10 | 관람객 없음 / 10 | 네티즌 7.20 / 10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5px -9px"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영화++평점|{{{#!wiki style="display:inline-block; vertical-align:middle" {{{#!wiki style="margin:-10px 0; width:calc(100% + 16px - 1em)" | <table width=100%><tablebordercolor=#fff,#191919><tablebgcolor=#fff,#191919><tablecolor=#000,#fff> 기자·평론가 없음 / 10 | 관람객 없음 / 10 | 네티즌 7.20 / 10 | }}}}}}]]}}}}}}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6393f9><tablebgcolor=#fff,#191919> ||
평점 8.2 / 10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032541><tablebordercolor=#032541><tablebgcolor=#fff,#191919><:> ||
점수 75%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fff,#bbb><tablebordercolor=#2d2338><tablebgcolor=#FFFFFF,#191919><:> ||
평점 6.2 / 10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tablebordercolor=#2f51a2><bgcolor=#2f51a2> ||
평점 7.33 / 10.0 |
한국과 서양에서는 호불호가 심하게 갈리고 있고 그나마 서양 관객평은 괜찮은 편이나, 일본의 경우 업계인들의 호평과는 대조적으로 관객평이 매우 좋지 않다. 감독의 전작 길티 크라운이 현재 받는 평가와 똑같다.
특히 야후 재팬에서 2점대를 기록할 정도로[26] 일본 관객의 평은 굉장히 나쁜 편. 오히려 한국과 서양에서 더 고평가 받는다.
한국에서도 스토리에 대한 평가는 불호~무난 정도의 평가를 받지만, 엄청난 영상미와 어우러져서 그래도 볼만했다는 반응이 있으며, 서양에서도 평론가들은 한국의 반응과 비슷하지만 일반 관객 평은 높은 편이다.
아라키 테츠로의 평소 스토리텔링 성향과 연출 특징을 아는 팬들은 나름 분석은 해도 감독의 전작들에 비해서 깊이가 얕아졌다는 비판을 하는 편이다.[27] 또한 또 똑같은 플롯을 반복하는 것이냐면서 질린다는 평도 있다.[28] 이 작품은 아라키 테츠로가 자신의 스타일과 대중성 2가지를 다 잡으려고 절충한 작품이긴 하나 아라키 특유의 화법과 연출면에서는 깊이가 얕고 대중성으로 본다면 애매해진 점이 문제인 작품이다.[29]
결국 아라키 테츠로 감독 본인도 2024년 인터뷰에서 스스로 만족한 오리지널 애니메이션은 갑철성의 카바네리: 해문결전이 유일하다고 밝히면서 감독 스스로 본작이 실패작임을 간접적으로 인정했다.
9.1. 스토리
스토리는 고전 동화 인어공주 이야기[30]를 각색해서 전형적인 아라키 테츠로식 보이미츠걸 세카이계 로맨스로 재탄생 시킨 작품이다. 전반적인 플롯이 감독의 전작 길티 크라운과 거의 일치한다.[31]포스트 아포칼립스 상황에서 노래하는 신비로운 히로인을 만난 주인공이 서로의 만남이 성장의 포인트가 되어 사랑에 빠지고 위기에서 히로인이 남주를 구하고 희생하는 전개까지 완전히 판박이이다.다만 길티 크라운보다 훨씬 단순하고 쉬운 구조의 각본과 적은 등장인물과 단순한 인간관계 묘사 덕분에 난해함이 없으며, 아라키 테츠로 특유의 암시적인 메타포도 세계관 설명과 관계 묘사에 추가적인 이해만 돕는 복선 정도로 사용되고 있어서 스토리와 세계관 자체를 이해하기는 쉽다.
포스트 아포칼립스를 배경으로한 직선적인 세카이계 구도로 만들어진 보이미츠걸 로맨스를 길티 크라운, 갑철성의 카바네리에 이어서 3번째로 선보였지만 앞선 두 작품에 비해 플롯상 거의 차이가 없어서 신선함이 적다. 이 점은 사람에 따라 좋아하는 사람도 있고, 매너리즘이라고 비판하는 사람도 있다. 또한 기본적으로 주인공 히비키에 대한 심리 묘사가 적은 편이라 여주인공 우타를 귀찮게 생각했던 히비키가 우타에게 어째서 호감을 느끼게 되었는지에 대한 설명과 연출도 없다. 이런 묘사를 고속 몽타주나 메타포로 해결하던 아라키 테츠로 답지 않게 이런 연출도 이번 작품에서는 여주인공 우타를 묘사할 때만 활용하였고, 히비키에게는 사용하지 않았다. 그렇기 때문에 감독의 전작들에 비해서도 인물의 감정선을 따라가기가 힘든 편이다.
또한 버블의 정체가 밝혀지지 않는 것, 마지막에 우타가 버블이 되어서 히비키를 따라가는 것[32] 에 대한 맥거핀들에 대한 비판도 있지만, 이 부분은 다분히 의도된 요소로 작중 미장센에 수많은 복선들과 마코토의 해설 등에서 유추할 수 있는 부분들이 많다. 이 부분은 의도 된 열린 결말로 볼 수 있다.[33]
실질적으로 이 작품은 로맨스 자체보다는 인어공주라는 소재를 활용해서 로맨스를 우주의 순환과 버블에 빗대서 은유를 하는 것이 목적인 작품으로 장르적으로 이 작품을 본다면 혹평할 요소가 많고, 문학적으로 작품을 본다면 흥미로운 요소가 많은 작품이다. 어떻게 보면 이 또한 전형적인 아라키 테츠로식 아방가르드 작품이다.
각본가 라인업에 우로부치 겐이 있기 때문에 우로부치 느낌의 우울한 전개나 그의 특징이 스토리에 반영될 것이라는 기대를 한 사람들도 있었으나, 결과물은 세계관부터 인물 설정, 플롯, 주제의식 게다가 내러티브 까지 전부 아라키 테츠로의 특징만 반영된 스토리로 나왔다. 대신 도쿄가 버블로 가득해진 곳에서 파쿠르를 하고 여주인공 우타가 버블로 이루어져있다는 설정은 우로부치의 아이디어였다고 한다.[34]
아라키 테츠로는 인터뷰에서도 자신하면 떠오르는 죽음과 관련된 어둡고 우울한 이미지를 탈피한 순수한 러브 스토리를 그리고 싶었음을 언급했다. 자신의 강점과 로맨스를 결합시키는 것과 더불어 어둡고 우울했던 자신의 이미지를 넘어서는데 집중한 작품이다 보니 아라키 테츠로 감독 커리어 중에서는 실험작이라고 할 수 있는 포지션이다. 작화와 연출, 세계관을 암시하는 메타포를 중점으로 봐야되는 작품이며, 스토리 적으로는 감독도 깊게 고민한 작품이 아니다.
본래 우로부치 겐의 각본은 이보다 더 복잡한 스토리에 더 많은 설정을 가진 장황한 각본이였다고 한다. 아라키 테츠로는 이런 요소를 전부 가지치기하고 순전히 분위기와 감성적인 면만을 살리고 싶었기에 작품의 전달하고자 하는 메세지는 화면에 숨겨두고 관객들이 로맨스에 집중하도록 했다고 한다.
대부분의 아라키 테츠로 팬들은 이 작품을 실험작 내지 습작으로 취급하고 있다. 작품 세계는 비슷하지만 톤과 분위기 자체가 너무 변해서 길티 크라운에 이은 2차 과도기가 아닐까 하는 분석도 존재한다.
아라키 테츠로와 절친한 후배 감독 이토 토모히코도 액션도 좋고 로맨스를 하고 싶었다는게 잘 느껴졌지만, 스토리가 더 복잡했다면 좋았을거라는 아쉬움을 드러냈다. 이토 토모히코는 신카이 마코토와 엮에서 두 사람 최근작 모두 개성이 있긴 하지만 프로듀서 카와무라 겐키가 너무 대중성을 치중시키게 한 것이 아닐까는 분석을 내놨다.
본작의 제작자이자 WIT STUDIO 회장 와다 죠지는 아라키 테츠로가 카와무라 겐키를 전적으로 받아들여서 나온 결과물이라고 했다. 물론 아라키 감독이 애초에 카와무라와 일하기를 원했다고 한다.
9.2. 작화 및 연출
작화나 연출 부분에서는 과연 아라키 테츠로 답게 최고 수준으로, 특히 정적인 장면에서는 아라키 테츠로의 전매 특허라고 할 수 있는 빛과 입사광을 극도로 활용해서 미장센을 강조하는 아름다운 화면 구성을 보여주었으며, 거기에 전보다 더 발전된 메이크업 기법까지 가세해서 대부분의 정적인 장면들은 일러스트같은 화면 구성을 보여준다. 액션 장면에서는 카와노 타츠로, 스기타 슈, 사카이 사토시같은 실력자들과 WEB계 애니메이터들 까지 가세해서 애니메이터들을 기용해서 뛰어난 움직임의 파쿠르 액션을 선보였다. 다만 데생과 그림체를 중시하는 아라키 테츠로 특성상 WEB계를 기용했음에도 카도와키 사토시 같은 데생력 좋은 작화감독을 필두로, 데포르메 보다는 미려한 그림체를 주로 선보였다.움직임이나 파쿠르 액션에서는 WEB계 애니메이터들의 능력이 제대로 발휘되어있고, 반대로 드라마 장면에서는 움직임을 거의 줄이고 마치 하나의 일러스트를 보는 수준으로 배경 미술과 촬영 효과, 채색을 극도로 강조하는 기법을 사용했다.
9.3. 평론가/업계인 평가
- 애니메이션 감독 이토 토모히코가 호평했다. # 주로 칭찬한 것은 연출과 액션. 다만 스토리에 대해서는 같이 진행한 인터뷰에서 아라키 테츠로 면전에다가 대놓고 "이야기가 좀 더 복잡하면 더 좋았을거 같아요"라고 아쉬웠음을 밝혔다.#[35]
- 애니메이션 감독 토미노 요시유키가 이 작품을 혹평했다. 공개적으로 하지는 않았으나, 아라키 테츠로에게 시사회를 초대받고 감상평을 직접 아라키 테츠로에게 전달했는데, 아라키 테츠로에 따르면 7할은 거의 욕이였다고 한다. 그에 따르면 날카로운 지적과 더불어 모든걸 꿰뚫어 본 평이였다고. 그래도 3할은 격려와 조언이였다고 한다.[36]
10. 흥행
출처: 박스오피스 모조 | |||
국가 | 개봉일 | 총수입 (단위: 미국 달러) | 기준일 |
전 세계 | (최초개봉일) | $(세계누적) | (기준일자) |
개별 국가 (개봉일 순, 전 세계 영화 시장 1, 2위인 북미, 중국은 볼드체) | |||
북미 | 미정 | 미개봉 | 미정 |
중국 | 미정 | 미개봉 | 미정 |
호불호가 갈리는 평가와 감독 본인이 스스로 실패작임을 인정한 것과 별개로 정작 I.G Port 재무보고에서 9800만 엔의 순수익을 내면서 흑자를 본 작품이 됐다.
10.1. 넷플릭스
넷플릭스 시청 시간 | |||
<rowcolor=#fff> 날짜 | 전체 순위 | 비영어 순위 | 주간 시청 시간 |
2022-04-25(월) ~ 2022-05-01(일) | 13위 | 3위 | 4,450,000시간 |
2022-05-02(월) ~ 2022-05-08(일) | 16위 | 6위 | 4,380,000시간 |
누적 시청 시간 | 8,830,000시간+α | ||
Netflix Top 10 집계 기준 |
10.2. 대한민국
<colbgcolor=#000000,#000000><colcolor=#ffffff,#ffffff> 대한민국 누적 관객 수 | ||||||
<rowcolor=#ffffff,#ffffff> 주차 | 날짜 | 일일 관람 인원 | 주간 합계 인원 | 순위 | 일일 매출액 | 주간 합계 매출액 |
개봉 전 | -명 | -명 | 미집계 | -원 | -원 | |
1주차 | 20XX-XX-XX. 1일차(수) | -명 | -명 | -위 | -원 | -원 |
20XX-XX-XX. 2일차(목) | -명 | -위 | -원 | |||
20XX-XX-XX. 3일차(금) | -명 | -위 | -원 | |||
20XX-XX-XX. 4일차(토) | -명 | -위 | -원 | |||
20XX-XX-XX. 5일차(일) | -명 | -위 | -원 | |||
20XX-XX-XX. 6일차(월) | -명 | -위 | -원 | |||
20XX-XX-XX. 7일차(화) | -명 | -위 | -원 | |||
2주차 | 20XX-XX-XX. 8일차(수) | -명 | -명 | -위 | -원 | -원 |
20XX-XX-XX. 9일차(목) | -명 | -위 | -원 | |||
20XX-XX-XX. 10일차(금) | -명 | -위 | -원 | |||
20XX-XX-XX. 11일차(토) | -명 | -위 | -원 | |||
20XX-XX-XX. 12일차(일) | -명 | -위 | -원 | |||
20XX-XX-XX. 13일차(월) | -명 | -위 | -원 | |||
20XX-XX-XX. 14일차(화) | -명 | -위 | -원 | |||
3주차 | 20XX-XX-XX. 15일차(수) | -명 | -명 | -위 | -원 | -원 |
20XX-XX-XX. 16일차(목) | -명 | -위 | -원 | |||
20XX-XX-XX. 17일차(금) | -명 | -위 | -원 | |||
20XX-XX-XX. 18일차(토) | -명 | -위 | -원 | |||
20XX-XX-XX. 19일차(일) | -명 | -위 | -원 | |||
20XX-XX-XX. 20일차(월) | -명 | -위 | -원 | |||
20XX-XX-XX. 21일차(화) | -명 | -위 | -원 | |||
4주차 | 20XX-XX-XX. 22일차(수) | -명 | -명 | -위 | -원 | -원 |
20XX-XX-XX. 23일차(목) | -명 | -위 | -원 | |||
20XX-XX-XX. 24일차(금) | -명 | -위 | -원 | |||
20XX-XX-XX. 25일차(토) | -명 | -위 | -원 | |||
20XX-XX-XX. 26일차(일) | -명 | -위 | -원 | |||
20XX-XX-XX. 27일차(월) | -명 | -위 | -원 | |||
20XX-XX-XX. 28일차(화) | -명 | -위 | -원 | |||
합계 | 누적관객수 -명, 누적매출액 -원[37] |
넷플릭스 영화 콘텐츠 순위 5위를 찍는 등, 스트리밍에서 순항 중이다.
11. 기타
- 본국인 일본에서도 넷플릭스로 먼저 공개되고 그 후에 영화관에서 개봉하는 특이하다면 특이하다고 할 수도 있는 사례다. 심지어 배급사도 워너 브라더스이며, 제한개봉도 아닌 와이드 릴리즈 상영이 될 예정이다.
- 조연 캐릭터 3명의 이름을 합치면 신 / 카이 / 마코토가 된다. 신카이 마코토는 아라키 테츠로 감독이 존경한다고 언급한 적이 있으며 이 작품의 기획 프로듀서 카와무라 겐키가 밀어주는 감독이다.
- 황금비와 피보나치 수열에 대한 장면이 나온다. 우타가 읽던 책에서 황금비에 대한 설명이 나오고, 또한 우타의 노트에 피보나치 수열이 적혀 있다. 그리고 그 밑에 암모나이트를 닮은 성망형 곡선이 그려져 있다. 감독의 의도가 다분히 드러나는 컷에 해당한다.
[1] D파트 콘티.[2] STORY, WIT STUDIO, 워너 브라더스 재팬, 니트로플러스, 로손 엔터테인먼트, 스트레이트 엣지[3] 이마이 아리후미는 임금님 랭킹에서 부감독을 맡고 있고, 에바라 야스유키는 슬램덩크의 신작 극장판에서 캐릭터 디자인과 총 작화감독을 맡았으며, 에비스 타쿠마는 얼마전에 Vivy -Fluorite Eye’s Song-에서 메카닉 디자인과 총 작화감독을 맡았었고, 카토 히로미는 달과 라이카와 흡혈공주에서 캐릭터 디자인과 총 작화감독을 맡았다.[4] 극단적으로 자신은 캐릭터가 놀고있는 모습 조차도 그린적이 없었다고 한다. 실제로 아라키는 개별 콘티가 아닌 감독작에서는 그런 장면이 전무하다.[5] 인터뷰에서는 제작 데스크라고 언급했으나 크래딧에는 프로듀서로 올라왔다.[6] 본인은 이렇게 말하였으나 실제 아라키의 감독 경력은 17년이다.[7] 浮気されたけどまだ好きって曲。라는 노래로 유명하다.[8] 한일 모두 열차전대 토큐저에서 라이토 / 토큐 1호를 맡았다.[9] 청각민감증. 일반인에 비해 청각이 지나치게 뛰어난 만큼 소음도 많이 탄다.[10] 일본의 여성 싱어송라이터. 등장인물 우타 명의로 Eve와 함께 오프닝 곡인 '버블' 을 불렀고 본인 명의로 삽입곡인 '색채', 엔딩곡인 '그럼 다음에 봐' 를 불렀다.[11] 이 때 우타가 거품에서 인간의 모습이 되는 과정이 수정란을 연상케한다.[12] '신'은 일본에 흔히 쓰이는 이름이긴 하나 작 중 이름보다는 성씨처럼 불리는데 '신' 씨는 일본에선 흔치 않고 한국에서 흔한 성이기 때문에 재일 한국인이나 한국계 인물로 설정되었을 가능성도 있다.[13] 특히 짝사랑 대상인 마코토가 히비키를 귀여워 할 때면 질투심이 폭발한다...[14] 리더의 성우가 아니라 손에 장비한 자동 음성 장치의 성우이며 리더 본인은 단 한 마디의 말도 하지 않는다.[15] 여담으로 이 부츠는 엄청난 오버 테크놀로지이다. 하이힐처럼 생겼고 묘사 상 힐의 굽 부분에서 순간적으로 고압수가 사출 되며 착용자를 밀어 내는 추진력을 발휘한다. 착용자의 점프력을 배가시켜주거나 공중에서 추진력을 받기도 하는데 문제는 부츠만 달랑 있어도 멀쩡히 발동하며 다른 어딘가에 연결 된 부분이 없는데도 물이 무한정 나온다. 또, 그렇게 강하게 물을 사출 하는 원리도, 그걸 가능케 하는 동력원이 무엇인지도 의문이며 원하는대로 조작하는 방법 또한 불명이다. 사실상 진격의 거인에 등장하는 입체기동장치보다 몇 배는 심하게 말이 안 되는 오버 테크놀로지 장비이며 마지막 도쿄타워 장면만을 위한 데우스 엑스 마키나 같은 존재[16] 굳이 포장하자면 작 중 물리 법칙을 완전하게 무시하는 버블들이 나타난 지 5년이 지난 시점이며, 세계의 수많은 학자들이 이것의 발생 원인이나 원리 자체는 밝혀내지 못 했을지언정 연구를 통해 어떻게든 활용하려 했을 지 모르고 그 연구의 결과물일지도 모른다. 스파이더맨의 웹 슈터와 거미줄 용액을 떠올리면 된다. 즉, 현실성은 떨어지나 개연성이나 핍진성은 끼워 맞추자면 어느 정도 납득 가능한 수준이다. 다만 작 중에서 이에 대한 내용은 나오지 않는다는 점이 아쉽긴 하다.[17] 개중에는 의지를 가지고 움직이는 개체가 존재하기도 한다.[18] 물에 빠지면 탈락[N] 넷플릭스 버전 오프닝 테마[20] TeddyLoid Remix ver.[21] 44:33~ 삽입곡[22] 53:50~ 삽입곡[23] 1:20:21~ 삽입곡[N] 넷플릭스 버전 오프닝 테마[25] 수상 실패(무관).[26] 다만 야후 재팬 영화 별점은 신뢰성이 부족하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27] 이쪽은 길티 크라운이나 쿠로즈카 같은 작품도 호평하는 팬층이며, 아예 아라키 테츠로식 화법 조차 없이 평이했던 갑철성의 카바네리보다는 평가가 나은 편이긴 하다. 그래도 앞서 이들이 호평하는 두 작품에 비해서는 비판의 목소리가 있는 편.[28] 아라키 테츠로식 메타포와 상징적 연출도 길티 크라운에 비해 밀도와 깊이 얕고 적어서 사실상 영상만 더 화려할 뿐 스토리적으로도 길티 크라운의 하위호환이다.[29] 쿠로즈카와 길티 크라운이 너무 대중성을 배제하고 자신의 스타일대로만 만든 작품이고 카바네리는 너무 대중성만을 추구한 결과물이라 몰개성해졌다면 이 작품은 자신의 개성과 대중성을 모두 챙기려다가 이도저도 아니게 된 결과물이다.[30] 디즈니 애니메이션이 아닌 원작 고전 동화다.[31] 모티브가 성경과 인어공주라는 차이만 있을 뿐 발단 전개 위기 절정 결말 까지 가는 내용이 완전히 똑같다.[32] 이 부분은 동화 인어공주에서 마지막에 인어공주가 바다에 빠져 희생하고, 공기의 정령이 되어서 왕자님에게 축복을 내리고 승천하는 것에 모티브를 따온 것으로 보인다.[33] 아라키 테츠로가 원래 작품 감상 후에도 계속 이야기하고 논하는 작품을 만드는 것을 목표라고 할 정도로 열린 결말과 맥거핀을 좋아한다.[34] 사실 우로부치가 어두운 소재만 주구장창 쓰는 건 아니다. 우로부치의 어두운 스토리가 돋보이는 이유는 이야기가 본 궤도에 들기까지의 빌드업 때문이고, 이 과정에서 시청자들이 흥미를 가질만한 유쾌한 소재들을 쓰기 때문에 부각되는 것이다.[35] 아라키 테츠로와 이토 토모히코는 절친한 사이다. 감독과 조감독 관계도 맺어봤고, 서로의 신인시절을 같이 보낸 사이라서 거리낌 없이 아쉬운 점에 대해서도 편하게 의견을 말한 것이다.[36] 출처:2022년 7월호 아니메쥬 연재 아라키 테츠로 × 히라오 타카유키 바리우타.[37] ~ 20XX/XX/XX 기준[38] 물론 오바타 타케시는 데스노트에서 그림작가였으므로, 실질적으로 이 작품에서의 관계와 같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