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02 15:41:20

메달리스트/애니메이션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메달리스트
파일:메달리스트 로고.png파일:메달리스트 로고

파일:메달리스트 아이콘.png 등장인물 (FSC) 파일:메달리스트 아이콘.png 발매 현황 파일:메달리스트 아이콘.png 대회 순위 파일:메달리스트 아이콘.png 애니메이션 파일:메달리스트 아이콘.png
'''[[디즈니+/오리지널 시리즈 목록/동시 방영#s-4.2|{{{#!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display: inline; color: transparent; background: text linear-gradient(to bottom, #00C4B5, #00D0D7, #005CB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display: inline; color: transparent; background: text linear-gradient(to bottom, #00C4B5 20%, #00D0D7, #005CB2)"''' (2025)
メダリスト

Medalist
파일:메달리스트_애니키비주얼_한글.jpg
{{{#006eb2,#10c4ff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colbgcolor=#ffffff,#2d2f34><colcolor=#006eb2,#10c4ff> 장르 스포츠, 피겨 스케이팅, 성장
원작 츠루마 이카다
감독 야마모토 야스타카
시리즈 구성 하나다 줏키
각본
캐릭터 디자인 카메야마 치나츠(亀山千夏)
총 작화감독 카메야마 치나츠
이토 요스케
쿠리하라 마나부(栗原 学)
타나카 시오리(田中栞莉)
야마모토 료스케(山本亮友)
프롭 디자인 사와다 토모요(澤田知世)
요시카와 쿠미코(吉川久美子)
피겨 스케이팅 감독 코지(こうじ)
3D CG 디렉터
3D CG 비주얼 디렉터 토다 타카유키(戸田貴之)
3D CG
애니메이션 슈퍼바이저
호리 쇼타로(堀 正太郎)
3D CG 프로듀서 이이지마 사토시(飯島 哲)
색채 설계 야마가미 아이코(山上愛子)
미술 감독 나카오 요코(中尾陽子)
미술 설정 히루마 타카시(比留間 崇)
오노데라 리에(小野寺里恵)
촬영 감독 요네야 신이치(米屋真一)
편집 나가사카 토모키(長坂智樹)
음악 하야시 유키
음향 감독 이마이즈미 유이치(今泉雄一)
음향 효과 코야마 켄지(小山健二)
모션 캡쳐 스즈키 아키코
요코이 유하나
이소베 히나노(磯邉雛乃)
안무 협력
이그제큐티브 프로듀서 타나카 쇼(田中 翔)
후루카와 신(古川 慎)
오노 히토시(小野 仁)
프로듀서 야마시타 신페이(山下愼平)
야마토 마사에(大和雅恵)
사와다 아이리(澤田愛理)
이와타 사츠키(岩田皐希)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칸베 코키(神戸幸輝)
라인 프로듀서 미우라 타카스미(三浦孝純)
애니메이션 제작 ENGI
제작 메달리스트 제작위원회
방영 기간 2025. 01. 05. ~ 방영 중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 테레비 아사히(NUMAnimation)
(일) 01:30
스트리밍
[[디즈니+|
Disney+
]]
독점
,
편당 러닝타임 23분
화수 13화 (예정)
시청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영등위_12세이상_2021.svg 12세 이상 관람가
관련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

1. 개요2. 공개 정보
2.1. PV
2.1.1. 본편2.1.2. 캐릭터
2.2. 키 비주얼
3. 줄거리4. 등장인물 및 주요 성우진5. 주제가
5.1. OP5.2. ED
6. 회차 목록7. 회차별 WEB 예고편8. 평가
8.1. 방영 전8.2. 방영 후
9. 원작과의 차이점10. 응원 일러스트11. 기타

[clearfix]

1. 개요

일본의 만화 메달리스트를 원작으로 하는 TV 애니메이션. 감독은 야마모토 야스타카, 방영 시기는 2025년 1월.

2. 공개 정보

  • 2023년 5월 18일, 티저 비주얼 공개와 함께 애니메이션화가 발표되었다. # 원작자인 츠루마 이카다의 축전 일러스트도 공개되었다.
    파일:메달리스트_애니화.jpg
  • 2023년 10월 19일, 아케우라지 츠카사유이츠카 이노리의 페어 비주얼과 성우가 공개되었다.
  • 2024년 3월 22일, PV 1탄과 요다카 쥰카미사키 히카루의 성우가 공개되었다.
  • 2024년 3월 24일, 요다카 쥰카미사키 히카루의 페어 비주얼이 공개되었다.
  • 2024년 8월 16일, 나치 마리오미케타 료카의 페어 비주얼과 PV 2탄이 공개되었다. 그리고 추가 성우진이 4명이 공개되었다. #
  • 2024년 11월 8일, 쟈쿠즈레 유다이야마토 에마의 페어 비주얼과 PV 3탄, 그리고 엔딩 주제가의 정보가 공개되었다.
  • 2024년 12월 6일, 키 비주얼과 함께 메인 PV과 오프닝 주제가의 정보가 공개되었다.
  • 2024년 12월 14일, 소니도리 신이치로소니도리 리오우의 페어 비주얼이 공개되었다. 그리고 카모토 스즈의 성우와 함께 총 5명의 성우진이 추가적으로 공개되었다. # #
  • 2024년 12월 16일, BD/DVD 발매일을 공개되었다. 1탄은 2025년 3월 26일, 2탄은 2025년 4월 25일, 3탄은 2025년 5월 28일에 발매된다. #

2.1. PV

2.1.1. 본편

PV 제1탄
PV 제2탄
PV 제3탄
메인 PV

2.1.2. 캐릭터

[include(틀:글자 테두리, w=1px, s=#ff5d8a, c=#ffffff, t=유이츠카 이노리)]
[include(틀:글자 테두리, w=1px, s=#ef9300, c=#ffffff, t=아케우라지 츠카사)]
[include(틀:글자 테두리, w=1px, s=#360078, c=#ffffff, t=카미사키 히카루)]
[include(틀:글자 테두리, w=1px, s=#000000, c=#ffffff, t=요다카 쥰)]
[include(틀:글자 테두리, w=1px, s=#124444, c=#ffffff, t=소니도리 리오우)]
[include(틀:글자 테두리, w=1px, s=#ff6600, c=#ffffff, t=미케타 료카)]
[include(틀:글자 테두리, w=1px, s=#c47517, c=#ffffff, t=나치 마리오)]
[include(틀:글자 테두리, w=1px, s=#0d6d00, c=#ffffff, t=야마토 에마)]
[include(틀:글자 테두리, w=1px, s=#591f28, c=#ffffff, t=쟈쿠즈레 유다이)]
[include(틀:글자 테두리, w=1px, s=#6f008d, c=#ffffff, t=카모토 스즈)]
[include(틀:글자 테두리, w=1px, s=#006f6c, c=#ffffff, t=타카미네 히토미)]

===# CM #===
방송 홍보 CM
Blu-ray&DVD CM

2.2. 키 비주얼

파일:메달리스트_애니티저비주얼.jpg
파일:메달리스트_애니키비주얼.jpg
<rowcolor=#006eb2,#10c4ff> 티저 비주얼[1] 키 비주얼[2]
파일:메달리스트_애니페어비주얼1탄.jpg
파일:메달리스트_애니페어비주얼2탄.jpg
<rowcolor=#006eb2,#10c4ff> 페어 비주얼 1탄[3] 페어 비주얼 2탄[4]
파일:메달리스트_애니페어비주얼3탄.jpg
파일:메달리스트_애니페어비주얼4탄.jpg
파일:메달리스트_애니페어비주얼5탄.jpg
<rowcolor=#006eb2,#10c4ff> 페어 비주얼 3탄[5] 페어 비주얼 4탄[6] 페어 비주얼 5탄[7]

3. 줄거리


파일:메달리스트_애니소개타이틀.png

파일:메달리스트_애니소개눈그림.png

피겨 스케이팅의 높은 벽에 좌절한 청년 아케우라지 츠카사는 마찬가지로
피겨 스케이터를 꿈꾸는 소녀 유이츠카 이노리를 만난다.

이노리의 열정에 감화된 츠카사는 코치를 맡기로 하고,
덕분에 두 사람은 스승이자 제자로서 꽃을 피우기 시작한다.

그리고 영광스러운 메달리스트를 목표로 함께 노력한다.

4. 등장인물 및 주요 성우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메달리스트/등장인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메달리스트 로고.png파일:메달리스트 로고
파일:메달리스트 아이콘.png 등장인물 및 주요 성우진 파일:메달리스트 아이콘.pn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10px)"
{{{#006eb2,#10c4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 width=100%><rowcolor=#c0ab03> 코치 선수
<colbgcolor=#ffffff,#2d2f34> 파일:아케우라지 츠카사 프로필.png
아케우라지 츠카사

CV: 오오츠카 타케오
<colbgcolor=#ffffff,#2d2f34> 파일:유이츠카 이노리 프로필.png
유이츠카 이노리

CV: 하루세 나츠미
파일:요다카 쥰 프로필.png
요다카 쥰

CV: 우치다 유우마
파일:카미사키 히카루 프로필.png
카미사키 히카루

CV: 이치노세 카나
파일:나치 마리오 프로필.png
나치 마리오

CV: 토다 메구미
파일:미케타 료카 프로필.png
미케타 료카

CV: 키노 히나
파일:쟈쿠즈레 유다이 프로필.png
쟈쿠즈레 유다이

CV: 미야케 타카히로
파일:야마토 에마 프로필.png
야마토 에마

CV: 코이와이 코토리
파일:소니도리 신이치로 프로필.png
소니도리 신이치로

CV: 반 타이토
파일:소니도리 리오우 프로필.png
소니도리 리오우

CV: 코이치 마코토
파일:타카미네 히토미 프로필.png
타카미네 히토미

CV: 카토 에미리
파일:카모토 스즈 프로필.png
카모토 스즈

CV: 이토 아야사
}}}}}}}}}}}}

5. 주제가

5.1. OP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BOW AND ARROW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OP / 1화 ED
BOW AND ARROW
TV ver.
Full ver.
<colbgcolor=#ffffff,#2d2f34><colcolor=#006eb2,#10c4ff> 노래 요네즈 켄시
작사
작곡
편곡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fffff,#2d2f34><colcolor=#006eb2,#10c4ff> 콘티 코지(こうじ)
연출 쿠리하라 마나부(栗原 学)
작화감독 카메야마 치나츠(亀山千夏)
타모리 유키(田守優希)
이토 요스케
}}}}}}}}} ||
||<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ffffff,#1c1d1f><table width=650><bgcolor=#ffffff,#1c1d1f><color=#006eb2,#10c4ff>오프닝 주제가 아티스트
요네즈 켄시
━━━━━━━━━━
저는 전적으로 원작의 팬입니다. 애니화한다는 정보를 보고, 가능하면 곡을 만들어 볼 수 없을까, 라고 타진한 것이 BOW AND ARROW 를 만들기에 이르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아무튼 훌륭한 만화이니 전 인류가 읽어보길 바랍니다. 애니메이션도 여느 시청자로서 기대됩니다. 곡도 잘 부탁드립니다. ||

5.2. ED

ED
アタシのドレス
나의 드레스
TV ver.
MV ver.
Full ver.
<colbgcolor=#ffffff,#2d2f34><colcolor=#006eb2,#10c4ff> 노래 네구세.
작사 료타치(りょたち)
작곡
편곡 네구세.
카와구치 케이타(川口圭太)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fffff,#2d2f34><colcolor=#006eb2,#10c4ff> 콘티 야마모토 야스타카
연출
작화감독 타모리 유키(田守優希)
}}}}}}}}} ||
||<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ffffff,#1c1d1f><table width=650><bgcolor=#ffffff,#1c1d1f><color=#006eb2,#10c4ff>엔딩 주제가 아티스트
네구세.
━━━━━━━━━━
『메달리스트』 애니메이션화를 축하합니다! 그리고 이런 멋진 작품의 엔딩 주제가에 참여하게 되어 진심으로 기쁘게 생각합니다.
저희도 처음으로 악곡을 담당하게 되는 애니메이션이기 때문에, 저희들의 아티스트 인생에 있어서도, 추억에 강하게 남는 한 곡이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힘차게 마음을 두근거리게 하는 사운드, 고양감 있는 멜로디, 꿈을 향해 노력하는 사람들에게 향한 강한 메시지를 담은 가사가 이 곡의 매력입니다. 꼭 전 세계 메달리스트 팬들에게 이 곡이 전달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6. 회차 목록

<rowcolor=#006eb2,#10c4ff> 회차 제목[8] 각본 콘티 연출 작화감독 총작화감독 방영일
score01 氷上の天才
빙상의 천재
하나다 줏키 야마모토 야스타카 타모리 유키
(田守優希)
요코야마 카즈키
(横山香月)
마스이 요시노리
(増井良紀)
아오누마 히카리
(青沼ひかり)
카메야마 치나츠
(亀山千夏)
카메야마 치나츠 선행: 2024.12.14.
日/韓:
2025.01.05.
score02 初級バッジテスト
초급 배지 테스트
마스다 토시히코
(増田敏彦)
히라타 타카히로
(平田貴大)
야마모토 료스케
(山本亮友)
히로토미 마유
(廣冨麻由)
코타니 쿄코
(小谷杏子)
마츠카와 테츠야
(松川哲也)
카메야마 신야
(亀山進矢)
카메야마 치나츠
야마모토 료스케
日/韓:
2025.01.12.
score03 たい焼きとケーキ
붕어빵과 케이크
와타나베 신이치 후쿠모토 신이치
(福元しんいち)
타나카 시오리
(田中栞莉)
김현아
강현국
박서정
소은지
카메야마 치나츠
쿠리하라 마나부
(栗原 学)
日/韓:
2025.01.19.
score04 名港杯 初級女子FS (前)
메이코배 초급 여자 FS (전편)
쿠리하라 마나부 야마모토 리오리
(山本里織)
타나카 시오리
타테자키 히로시
(舘崎 大)
카메야마 치나츠
이토 요스케
카메야마 치나츠
日/韓:
2025.01.26.
score05 名港杯 初級女子FS (後)
우에하라 히데아키
(上原秀明)
후쿠모토 신이치 카메야마 치나츠
타나카 시오리
김현아
이성진
박서정
소은지
日/韓:
2025.02.02.
score06 日/韓:
2025.
score07 日/韓:
2025.
score08 日/韓:
2025.
score09 日/韓:
2025.
score10 日/韓:
2025.
score11 日/韓:
2025.
score12 日/韓:
2025.
score13 日/韓:
2025.

7. 회차별 WEB 예고편

<colbgcolor=#ffffff,#2d2f34><colcolor=#006eb2,#10c4ff>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3px)"
{{{#!folding score02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3px)"
{{{#!folding score03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3px)"
{{{#!folding score04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3px)"
{{{#!folding score05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8. 평가

8.1. 방영 전

원작이 차세대 만화대상 2022년도 부문에 뽑힐 만큼 인기작이라서 애니화 자체는 반가운 소식이지만, 피겨 스케이팅 장르라는 특성상 회전과 안무 등 작화로 그리기 어려운 고난이도 동작들이 많은데다[9] 감독 야마모토 야스타카와 제작사 ENGI도 각자의 필모작 중 작화가 특출났다는 평은 받지 못했던 만큼 퀄리티에 대한 우려가 많다.

일단 야마모토 야스타카 감독은 연출력과 감독 역량이 있으며 ENGI도 하시모토 류키라는 실력 있는 애니메이터가 한 명 있으므로 중요한 에피소드는 하시모토에게 몰아주는 방식으로 만든다면 일부 에피소드는 괜찮게 나올 가능성은 있다.

다행히 첫 PV가 공개되자 걱정했던 것보다 퀄리티가 좋은 것 같다는 의견이 많아지면서 기대감이 상승하고 있다.

8.2. 방영 후

프리티 리듬 시리즈[10], 유리!!! on ICE 이후 오랜만에 피겨 스케이팅을 소재로 한 애니메이션으로서 화제가 되었다. 본편 방영 직전에 공개된 특별 영상에서 13화 전부 사전제작되어 이미 납품까지 끝마친 상태라는 사실이 밝혀져, 제작사의 필모그래피에 불안해하는 팬들에게 주목을 받기도 했다.

ENGI의 CG 쪽 실력이 형편없어 CG 쪽에 우려가 많았지만 CG는 폴리곤 픽처스에 하청을 주어서 큰 문제가 없다.[11]스케이팅의 모션 연출을 애니만의 특징인 3D CG로 구현하여 퍼포먼스를 더욱 극대화시켰다. 2D와 3D를 혼합하여 사용했음을 감안하더라도, 스케이팅에 대한 고증이 철저하고 카메라 앵글을 적재적소로 활용하여 다채로운 연출을 선사하였다. 원작에서도 그렇듯이 작중에서 피겨 스케이팅 기술이나 육성 제도 등을 친절하게 설명해 주기 때문에 피겨 입문자에게도 호평을 받았다. 야마모토 야스타카 감독의 연출력이 돋보였다는 반응.

특히 4, 5화는 ENGI에 대한 이미지가 완전히 뒤바뀔 수준의 초고퀄리티 피겨신이 롱테이크로 몇번이나 나와 큰 호평을 받았다. 4화 이노리의 피겨신과 어머니와의 갈등 해결 묘사 부분에서 ENGI의 고질적인 문제점이었던 작화, 각본문제가 굉장히 잘 다듬어졌고 5화 히카루의 롱테이크 피겨신은 대사 하나 없이 오죽 관객들의 박수소리만 나게하는 정적인 연출을 사용해 시청자들의 몰입도를 더욱 끌어올렸다.

원작의 세부적인 내용과 대사들이 다수 생략되는 등 스토리 전개 속도는 원작보다 상당히 빠르다는 특징이 있으며, 특정 대사들을 위주로 임팩트 있는 그 부분까지 장면을 나누었다는 점에서 각본을 맡은 하나다 줏키의 특징이 엿보였다.

방영 전에는 우려스러운 모습을 보였지만, 1화 방영 후 일본 현지 X에서 실시간 트렌드 1위에 오르는 등 좋은 반응이 많이 보여 앞으로의 기대가 커지며 만족스러운 스타트를 보였다.

오프닝은 이시타니 메구미가 호평했다. #

9. 원작과의 차이점

원작은 코치 아케우라지 츠카사와 제자 유이츠카 이노리 더블 주인공 구도로 진행하지만, 애니메이션에선 츠카사의 이야기를 거진 들어내고 이노리의 서사에 집중해서 한 사람의 이야기로 전개하고 있는 게 가장 큰 차이점이다. 때문에 남들보다 더 늦은 나이에 부모를 설득해 늦깎이 피겨 스케이트 선수가 된 이노리의[12] 성장기를 십분 반영해 전개하는 반면, 원작의 또 다른 키 포인트인 츠카사의 과거사와 스케이트 세계에 남기 위한 현재의 발버둥이 대부분 생략된 건 아쉬운 부분.

여하튼 이러한 각본 덕분에 두 사람이 선수와 코치로서 서로에게 불가분한 원작의 스토리보다는 한 소녀의 피겨 스케이트 입문기 같은 느낌의 서사로 전개가 이뤄지고 있지만, 아직 애니메이션이 방영 되고 있는 중이기 때문에 츠카사 쪽에 특별히 서사를 분배할 가능성도 있으므로 좀 더 두고 봐야 할 듯 하다.
  • score01
    • 원작과 달리 1화부터 카코 코이치와 요우 부녀가 등장하지 않았다. 그에 따라 츠카사의 은퇴 예체능인으로서의 환경과 이노리에게 어머니를 설득하라고 강하게 설득하는 감정선 또한 생략됐다.
    • 타카미네 히토미가 츠카사에게 어시스턴트 코치를 제안할 때 너무 심하게 스스로를 비하하는 모습을 보이자 정색하는데, 애니메이션에선 너도 이제 곧 26살인데 제대로 된 수입 없이 아르바이트만 할 수는 없지 않느냐며 현실적인 문제로 설득하는 장면으로 대체되었다.
    • 유이츠카 이노리의 어머니인 노조미가 딸이 피겨 스케이팅 선수를 꿈꾸는 걸 포기 시키기 위해 나고야 곳곳의 FSC를 함께 돌아다녔던 건 원작과 동일하지만, 지나치게 딸에게 냉정한 태도였던 원작과 달리 방향성에는 문제가 있지만 엄마 나름대로 딸을 걱정하기 때문에 반대한다는 뉘앙스의 말을 하는 것으로 적당히 각색 되었으며, 학교에서도 이노리가 반 아이들과 잘 어울리지 못하고 겉돌고 있다는 설정은 유지되었으나 지렁이를 모으는 것 때문에 아이들에게 놀림을 당하는 장면은 삭제되었다.
  • score02
    • 요다카 쥰이 스마트폰을 박살 낼 때 걸려온 통화의 발신자가 누구인지 확실하게 묘사되지 않았던 원작과 달리, 애니메이션에서는 스마트폰 화면에 Hikaru KAMISAKI라고 발신자 이름이 뜬 모습이 나온다.
    • 히카루가 운동복으로 갈아입으려고 옷을 벗는 장면에서 원작은 속옷이 노출되었지만, 애니메이션에서는 겉옷 안에 운동복 상의를 미리 입고 있었기에 노출이 전혀 없다. 다만 목이 드러나는 원피스를 겉에 / 목깃이 위로 올라오는 타입의 운동복을 안에 입고 있는데도 목쪽에 전혀 드러나지 않게 묘사된 점은 작화 오류로 지적되고 있다.
    • 원작에서는 이노리가 히카루와 함께 스케이트를 타면서 그녀가 그 유명한 천재 피겨 스케이팅 선수 히카루라는 걸 알아보지만, 애니메이션에서는 탈의실에서 옷을 갈아 입은 히카루에게 이끌려 빙판으로 나가는 과정에서 알아본다.
    • 원작에서는 클럽의 다른 학부모들이 자신에 대한 험담을 하는 걸 들은 이노리가 문 뒤에서 쭈그리고 울지만, 애니메이션에서는 울지는 않는다.
  • score03
    • 미케타 료카가 이노리와 친구가 되어 케이크를 먹을 때 원작과 달리 애니메이션에서는 나치 마리오가 그 자리에 동석하여 자기 소개를 한다.
  • score04
    • 원작에서는 이노리의 피겨 의상을 보고 예쁘다고 하며 지나가는 아이와 이노리가 언니의 연기를 보며 동경했던 자신의 어린 시절을 떠올린 관중석의 아이는 다른 아이였으나 애니메이션에서는 둘을 같은 아이로 연출하여 서사를 한층 강화했다.
    • 미케타 료카가 이노리의 연기 후 점수 결과만 확인했던 원작과 달리 직접 이노리의 연기를 관전했다.
  • score05
    • 원작에서는 제대로 묘사되지 않았던 미케타 료카의 과거사가 단편적으로 묘사되었다.
    • 원작에서는 간단하게 분위기만 보여줬던 히카루의 죽음의 무도 연기를 풀버전으로 묘사하면서 압권의 연출을 보여주었다.
  • score06
  • score07
  • score08
  • score09
  • score10
  • score11
  • score12
  • score13

10. 응원 일러스트

<colbgcolor=#ffffff,#2d2f34><colcolor=#006eb2,#10c4ff>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3px)"
{{{#!folding 제1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메달리스트_애니응원일러스트1탄.jpg
아마가쿠레 기도달콤달콤 & 짜릿짜릿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3px)"
{{{#!folding 제2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메달리스트_애니응원일러스트2탄.jpg
안도 마사키 「야토가메짱 관찰일기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3px)"
{{{#!folding 제3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메달리스트_애니응원일러스트3탄.jpg
사쿠라이 노리오내 마음의 위험한 녀석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3px)"
{{{#!folding 제4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메달리스트_애니응원일러스트4탄.jpg
시로만타 「선배가 짜증나는 후배 이야기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3px)"
{{{#!folding 제5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메달리스트_애니응원일러스트5탄.jpg
타카마츠 미사키스킵과 로퍼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3px)"
{{{#!folding 제6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메달리스트_애니응원일러스트6탄.jpg
나모리유루유리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3px)"
{{{#!folding 제7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메달리스트_애니응원일러스트7탄.jpg
하라 유이금빛 모자이크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3px)"
{{{#!folding 제8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메달리스트_애니응원일러스트8탄.jpg
하루하라 로빈슨 「공주님 "고문"의 시간입니다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3px)"
{{{#!folding 제9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메달리스트_애니응원일러스트9탄.jpg
야마구치 츠바사 「블루 피리어드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3px)"
{{{#!folding 제10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메달리스트_애니응원일러스트10탄.jpg
요시오카 키미타케 「그랑블루 }}}}}}}}}

11. 기타

  • 피겨 경기 장면은 모션 캡쳐를 이용해 연출했으며, 피겨 스케이팅 여자 싱글 선수 출신인 스즈키 아키코요코이 유하나, 이소베 히나노가 캡쳐에 참여했으며, 특히 스즈키 아키코는 현역 은퇴 후 안무가로 활동 중인 경력을 살려 작중에 나오는 안무를 직접 만든 것으로 알려졌다. #
  • 우타이테 출신 버튜버 나나미 우라라가 X를 통해 메달리스트 애니메이션의 메인 테마곡 코러스를 맡았다고 인증했다.#
  • 실제 일본의 피겨 스케이팅 선수들인 코즈카 타카히코, 고마츠바라 미사토, 타카하시 나루미, 다나카 케이지, 홍고 리카, 미야하라 사토코, 무라 타카히토, 무라카미 카나코가 응원 메시지를 보냈다. # # # # # # # #
  • 원작자인 츠루마 이카다는 주인공인 유이츠카 이노리의 성우인 하루세 나츠미의 열혈 팬이다. 이후 메달리스트의 발매를 알리는 광고(CM)에서 하루세 나츠미가 직접 CV를 맡았으며, TVA에서도 그대로 이노리 CV로 확정되었다. 코단샤 만화상 시상식에서 말한 하루세 나츠미의 비하인드에 따르면 츠루마 이카다는 만화가가 되기 전 사회인 시절 매번 하루세 나츠미에게 팬 레터를 보냈는데 마지막 팬 레터 끝부분에 "하루세 씨한테 주인공 목소리를 연기하도록 하는 게 꿈입니다"라고 적혀 있었다고 한다. 그리고 그 시상식 츠루마 이카다는 하루세 나츠미 옆에서 눈물을 흘리며 하루세 나츠미한테 마이크를 이어받아 수상 소감 이어나갔다고 한다.
  • 메인 PV 공개 전까지는 기존 PV의 평균 조회수가 20~30만 수준일 정도로 메달리스트 애니메이션에 대한 대중적 관심도가 크지 않았으나 메인 PV에서 요네즈 켄시가 부른 오프닝곡이 공개되자 메인 PV의 조회수만 일주일 만에 100만을 돌파할 정도로 큰 관심을 끌었다.#

[1] 파일:메달리스트 티저 비주얼.webp[2] 파일:메달리스트 키 비주얼.webp[3] 파일:메달리스트 페어 비주얼 1탄.webp[4] 파일:메달리스트 페어 비주얼 2탄.webp[5] 파일:메달리스트 페어 비주얼 3탄.webp[6] 파일:메달리스트 페어 비주얼 4탄.webp[7] 파일:메달리스트 페어 비주얼 5탄.webp[8] 한국어 번역 제목은 정식 스트리밍사인 디즈니+ 송신판을 기준으로 한다.[9] 최고급 애니메이터를 썼던 유리!!! on ICE조차 제작 스케줄이 무너졌는데 애니메이터 섭외력이 떨어지는 ENGI가 이를 감당할 수 있을지 의문이다. 이 때문에 안무 동작은 3D CG로 대체할 가능성이 매우 높으나 문제는 ENGI는 3D 쪽도 특별한 인맥이 없어서 결국 이전작 가메라: 부활에서 퀄리티 논란을 빚었다.[10] 첫 번째 작품인 오로라 드림부터 꿈의 보석 프리즘 스톤, 꿈의 라이브 프리즘스톤까지 피겨스케이팅을 소재를 기반으로 하였으며, 이후 프리파라부터는 정통 아이돌 장르 스타일로 이야기가 전개되었다.[11] 3D CG 슈퍼바이저나 3D CG 프로듀서 등 ENGI의 3D CG 직원도 참여는 했다. 다만 폴리곤 픽처스가 기존의 명성과는 달리 핵심 멤버였던 세시타 히로유키 퇴사 후 2023년부터는 저질의 CG나 딱딱한 움직임 등 그 실력이 예전만 못하다는 평가가 주를 이루고 있었기에, 이는 제작진의 꼼꼼한 감수가 빛을 발한 것이라고도 볼 수 있다.[12] 피겨 스케이팅이 유연성과 점프력, 회전력, 지구력이 강하게 요구되는 스포츠인 만큼 5세 정도 즈음에 입문해 기초를 닦지 못하면 제대로 된 실력이 붙지 않는다는 디메리트를 가지고 있으며, 그래서 은퇴하는 나이도 오래하면 30세 최악일 때는 20세까지 현역으로 뛸 만큼 선수로서 활동할 수 있는 기간이 굉장히 짧다. 그 유명한 피겨 스케이터 김연아아사다 마오도 각각 24세, 27세라는 젊은 나이에 은퇴한 게 좋은 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