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04 09:51:02

제21대 대통령 선거


파일:Document_Protect.svg   편집 보호된 문서입니다.
#!if 문서명 != null
문서의 [[https://namu.wiki/acl/제21대 대통령 선거|{{{#!html <span style="color: var(--espejo-link-color, var(--text-color))">ACL 탭</span>}}}]]을 확인하세요.

파일:대한민국 투표 도장 문양(흰색 테두리).svg 대한민국의 주요 선거·투표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f,#fff> 종류 지난 선거 다음 선거
대통령 선거 제21대
2025년 6월 3일
제22대
2030년 3월 27일
{{{#!folding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국회의원 선거 제22대
2024년 4월 10일
제23대
2028년 4월 12일
{{{#!folding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전국동시지방선거 제8회
2022년 6월 1일
제9회
2026년 6월 3일
{{{#!folding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재보궐선거 2025년
2025년 4월 2일
2026년
2026년 6월 3일
{{{#!folding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부통령 선거 제5대
1960년 3월 15일
폐지[1]
{{{#!folding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국민투표 제6차
1987년 10월 27일
시행 불가[2]
{{{#!folding [ 역대 투표 펼치기 · 접기 ]

[1] 1960년 6월 15일 제3차 개헌으로 부통령직 폐지[2] 2014년 7월 24일 헌법재판소가 국민투표법 제14조 제1항 내용 중 일부에 대해 헌법불합치 결정을 내렸으나 이후 법률 개정이 이뤄지지 않아 2016년 1월 1일자로 효력을 상실하여 시행 불가능
}}}}}}}}}

<colkeepall> 대한민국 제21대 대통령 선거
파일:제21대 대통령선거 틀 이미지.svg파일:제21대 대통령선거 틀 이미지 화이트.svg
<colbgcolor=#f0f0f0,#191919><colcolor=#005ba6,#59b3ff> 후보 대권주자 · 후보 경선 (더불어민주당 / 후보 · 국민의힘 / 후보 · 민주노동당) · 후보 선거 (국민의힘 · 개혁신당) · 최종 후보
여론조사 여론조사 (가상대결) · 후보 확정 후 여론조사 · 출구조사
변수 변수 (지역별 · 정당별 · 세대별)
결과 개표 결과 (지역별 · 정당별 · 세대별)
지역별 (수도권 · 강원도 · 충청권 · 호남권 · 대경권 · 동남권 · 제주도 · 재외선거)
정당별 (더불어민주당 · 국민의힘 · 개혁신당 · 민주노동당)
기타 타임라인 · TV 토론회 · 친명 빅텐트 (내란종식 원탁회의 · 이재명-김재연 단일화) · 반명 빅텐트 (김문수-한덕수 단일화론 · 김문수-이준석 단일화론) · 사회대전환 연대회의
사건 사고 논란 및 사건 사고 · 김문수 후보 교체 시도 사건 · 투표용지 외부 반출 논란
대한민국의 주요선거

<colkeepall> 대한민국 제21대 대통령 선거
파일:제21대 대선 벽보 8번 투명.png
후보자들의 선거 벽보[1]
{{{#!wiki style="margin: -5px -10px" 2022년 3월 9일
20대 대선
2025년 6월 3일
21대 대선
2030년 3월 27일
22대 대선
}}}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005ba6,#59b3ff> 투표율 79.38% ▲ 2.30%p
선거 결과
후보 [[더불어민주당|
더불어민주당
]]
이재명
[[국민의힘|
국민의힘
]]
김문수
득표율
49.42% 41.15%
득표수 17,287,513 14,395,639
대통령 당선인
<nopad> 파일:이재명 21대 대선 선관위 프로필.jpg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1. 개요2. 선거의 성격3. 선거권·피선거권 획득 연령4. 선거 일정5. 타임라인6. 후보7. 대통령 선거 공약8. 선거 방송9. 여론조사10. 출구조사 및 예측조사11. 변수12. 투표율
12.1. 부재자 투표율12.2. 사전 투표율12.3. 투표율12.4. 시군구별 투표율
13. 개표 결과14. 관련 자료15. 논란 및 사건 사고16. 기타
16.1. 선거 징크스
17. 둘러보기

1. 개요

대한민국 제20대 대통령 윤석열파면으로 대통령 궐위가 발생함에 따라 2025년 4월 8일한덕수 당시 대통령 권한대행이 선거일을 공고하여[2] 2025년 6월 3일 실시된 제21대 대한민국 대통령 선거이다.

헌정 사상 최초의 6월 장미 대선이다.[3]

궐위로 인한 선거는 사유가 발생한 날로부터 60일 이내에 선거를 진행해야 하는데, 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규정상 임기만료에 의한 선거가 아니므로 선거일이 대체공휴일 적용을 받을 수 없는 문제가 생겼다. 이에 2025년 4월 8일에 대한민국 정부에서 국무회의를 통해 6월 3일을 대통령 선거일로 결정됨에 따라 임시공휴일로 지정했다. 이 선거에서 선출된 당선인은 대통령직인수위원회를 출범하지 않고 바로 대통령직을 수행한다.[4]

개표 결과 기호 1번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가 49.42%를 득표하면서 41.15%를 득표한 기호 2번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를 2,891,874표, 8.27%p 차이로 제치고 대한민국 제21대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2. 선거의 성격

  • 제19대 대통령 선거와 마찬가지로 대통령의 탄핵 이후 치러진 궐위로 인한 선거다. 이번 선거에 선출되는 대통령은 원칙적으로 5년의 임기 동안 업무를 수행한다. 대통령 궐위로 인한 선거는 공직선거법상 '보궐선거'라고 규정하지는 않으나 다른 공직선거의 보궐선거에 적용되는 규정이 거의 대부분 적용된다. 많은 사람들이 '보궐선거 = 잔여 임기 재임'이라고 인식하고 있는 것은 공직선거법에서 국회의원, 지방자치단체의 장, 지방의회의원의 보궐선거에 있어서는 전임자의 잔여임기 동안만 재임한다고 규정하고 있기 때문이지 절대적인 보궐선거의 성격이 아니다. 따라서 대통령 궐위로 인한 선거에는 임기에 관한 규정을 하고 있지 않으므로[5] 헌법에 따라 5년의 임기 동안 재임하는 것이다. 즉 대통령 궐위로 인한 선거는 공직선거법상 보궐선거의 성격을 띄고 있어 많은 규정이 적용되지만 임기에 대한 별도의 규정을 하고 있지 않으므로 헌법에 따른 5년 임기를 갖는 것이다.
  • 더불어민주당12.3 비상계엄의 해제를 주도한 세력으로서 정권 교체론을 이어나가며 윤석열 정부 반대 여론을 흡수할 서사를 가지고 있는 이재명[6]을 대선후보로 내세워 선거 구도에서 우세를 점하고 있다. 대법원의 2022년 이재명 허위사실공표 혐의 사건 유죄 취지 파기환송으로 선거 기간 중 위기를 맞았지만[7] 이후 환송심의 공판 일정이 대선 이후인 6월 18일로 연기되면서 대선 기간 내 피선거권 박탈의 가능성은 사라졌다. #[8] 대법원이 내린 이 판결에 대한 반응은 첨예하게 갈리고 있으나[9], 대선 후보 지지도 조사에서는 판결 이전과 이후에 별다른 변화가 없었다.
  • 국민의힘지난 대선에 비해 상황이 굉장히 불리해졌다. 가장 큰 원인이라면 역시 자당 소속 윤석열 전 대통령탄핵을 당한 것으로, 이번 대선이 윤석열의 탄핵 심판 이후 고작 2달 뒤에 시작되는 대선인만큼 더불어민주당을 지지하는 국민들에게는 물론이고 중도층에서도 표를 얻기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이후 국민의힘은 한덕수 대망론을 기반으로 김문수-한덕수 단일화를 추진하였다. 하지만 무리한 단일화 추진으로 인해 김문수-국민의힘 지도부 갈등이 발생하였고 무리한 후보 교체 시도 끝에 한덕수 후보로의 재선출이 부결되고, 김문수 후보가 최종 입후보되었다. 선거 후반에는 이낙연과의 연대 선언에 이어 이준석에게 단일화를 요구하는 등 반명 빅텐트를 시도해 이재명에 대한 반감을 기반으로 한 지지층 확장에 몰두하고 있다.
  • 3번이 될 예정이던 조국혁신당[10]은 후보를 내지 않고 이재명을 지지하기로 결정하며 존재감이 옅어졌다. 창당 이래 쭉 더불어민주당을 서포트해주는 포지션인 데다가 당의 지주 격인 조국이 실형이 확정됨에 따라 일정 기간 피선거권을 박탈당하고 형집행 중에는 선거권까지 박탈당해 당적을 상실하여 마땅한 후보가 없어졌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번 선거는 후보자가 3명 이상인 대선 중 처음으로 기호 3번이 결번인 선거이다.
  • 개혁신당윤석열 탄핵 확정 이전에 경선에 돌입하여 이준석을 후보로 확정했다.[11] 양당제로 고착된 대한민국 정치 역학상 제3지대 정당 후보의 당선은 어렵기 때문에 국민의힘으로부터 줄기차게 단일화 요구를 받았으나 이준석은 완주 의사를 거듭 명확하게 밝히고 있다.[12] TV 토론에서 이재명 후보를 향한 공격 전략이 성과를 거두면서 20대 남성을 중심으로 지지를 받고있다.[13]
  • 22대 총선에서 비례위성정당 더불어민주연합에 참가했던 진보당, 기본소득당, 사회민주당 중 기본소득당과 사회민주당은 사실상 더불어민주당 후보로의 사전 단일화와 같은 개념으로 후보를 내지 않기로 했고, 진보당김재연 후보를 선출하였으나 최종 입후보 이전에 이재명 후보 지지를 선언하고 사퇴하면서 후보 등록을 하지 않았다.
  • 민주노동당[14]신호등 연대민주노총 등 진보단체들과 함께 선거연합을 구성하고 연대회의 경선을 통해 권영국 대표를 후보로 선출하였다. 정의당은 지난 총선에서 녹색당과의 연합에도 불구하고 원외로 추락한 만큼, 이번 선거가 지지를 회복하고 이미지를 쇄신할 수 있는 중요한 기회이다. 지난 지방선거에서 정의당의 득표율이 3%를 넘었기 때문에 권영국 후보는 원내정당 후보들과 함께 정책토론회에 초청받는다. 민주당의 우클릭과 진보당의 단일화 이후 평등 의제에 집중하고 독자적 진보 정치를 추구하는 세력이라는 점을 어필하고 있다. # #
  • 새미래민주당이낙연을 후보로 내세우며 국민의힘과 한덕수 전 총리가 추진하는 반명 빅텐트 참가를 저울질하였으나 5월 10일 최종 불출마를 결정했다. 이후 5월 27일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와의 공동정부 연대를 발표했다.
  • 후보 등록이 마감되는 5월 11일까지 국회 원내 의석 수나 후보 등에 변동이 없으면 원내 다수당부터 기호를 배정하는 공직선거법 제150조에 따라 기호 1번은 더불어민주당, 기호 2번은 국민의힘, 기호 3번은 조국혁신당, 기호 4번은 개혁신당이 받는다. 기호 5번부터는 원내 군소정당과 원외정당, 무소속 후보의 기호가 되는데 나머지 원내정당인 진보당, 기본소득당, 사회민주당이 모두 후보를 내지 않기로 하면서 원외정당 중에서 정당명 가나다순에 따라 기호가 배정된다. 무소속 후보자는 원외정당 후보 이후의 순번을 받으며 만약 무소속 후보자가 둘 이상이라면 관할 선거구선거관리위원회인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서 추첨하여 결정한다.
    • 4월 11일, 조국혁신당이 후보를 내지 않기로 결정하면서 조국혁신당에 부여될 기호 3번은 그대로 결번이 됐다.
    • 진보당(원내 3석), 기본소득당, 사회민주당(각 원내 1석)이 모두 후보를 내지 않기로 하면서 원외정당과 무소속 후보자들의 기호 배정은 5번부터 시작한다. 이에 따라 원외정당 중 가나다순에서 앞서는 민주노동당 권영국 후보가 기호 5번, 자유통일당 구주와 후보가 기호 6번을 받았고 무소속 후보 2명은 추첨을 통해 황교안 후보가 기호 7번, 송진호 후보가 기호 8번을 받았다.
  • 이번 선거일은 궐위에 의한 선거이므로 다른 대통령 선거일과 달리 원칙적으로는 법정 공휴일이 아니어서, 임시 공휴일로 지정되었다. 「공휴일에 관한 법률」에 따르면 임기 만료에 의한 선거에만 선거일을 공휴일로 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제19대 대통령 선거 당시에도 생겼던 문제로, 일반적인 재보궐선거가 아닌 국가원수인 대통령을 선출하는 선거가 공휴일이 아닌 것에 대한 논란이 있어, 당시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은 국무회의에서 대통령 선거일을 임시 공휴일로 지정했다. 이번에도 그 선례를 따라 지정된 것이다.
    • 비슷한 이유로 선거일의 투표시간은 일반적인 임기 만료에 의한 선거와 달리 보궐선거의 투표시간을 적용하기 때문에 평소보다 2시간 더 연장되어 06시부터 20시까지 실시된다. 반면 사전투표기간 중 투표시간은 06시부터 18시까지로 동일하다.
    • 한편, 사전투표 제도 도입 이후 최초로 사전투표가 평일에만 열린다. 제19대 대통령 선거는 마찬가지로 화요일에 본투표를 실시하고 목, 금요일에 사전투표를 실시하였으나, 금요일이 5월 5일 어린이날에 걸려서 공휴일이었다. 이번 선거에는 토요일이 사전투표일이 아니므로, 투표권 행사에 지장을 겪는 유권자가 발생할 수 있고, 이것이 투표율 하락과 같은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실제로 사전투표 첫째날에는 투표율이 20%에 근접하여 20대 대선 같은 날보다 2%p 상승하였으나, 둘째날에는 시간이 갈수록 투표율 상승폭이 둔화되어 결국 20대 대선에 비해 2.19%p 낮아진 채 사전투표를 마쳤다.
    • 또한 본투표일 3일 후가 현충일이자 금요일이므로 6월 4, 5일에 연차 등을 사용한다면 6월 3일부터 8일까지 휴무할 수 있다. 여름 휴가철을 피해 이때 여행 등을 다녀오는 유권자가 일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것이 투표율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대통령 선거 역사상 최초로 성사된 전직 경기도지사 간의 맞대결이다. 민선 7기 경기도지사 출신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와 민선 4·5기 경기도지사 출신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 둘 다 경기도지사가 가장 상징적인 커리어다. 이에 따라 선거 구도가 서로의 경기도지사 시절 정책, 업적을 비교하는 양상으로 흐르기도 했다.[15]
  • 직전 대통령 선거와는 달리 원내정당의 후보들이 모두 정치권 출신이다. 실제로 지난 제20대 대통령 선거에서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가 유일하게 비정치권 출신이었다.

3. 선거권·피선거권 획득 연령

제21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2007년 6월 4일[16] 출생자까지 선거권이 주어진다. 또한 피선거권은 1985년 6월 3일[17]까지 부여된다.

전임자인 윤석열 전 대통령이 5년 임기를 다 채웠다면, 원래 2009년 3월 4일생까지 선거권이, 1987년 3월 3일생까지 피선거권이 부여될 예정이었으나, 대통령의 파면으로 인한 궐위 발생으로 획득 연령이 변동되었다.

이 선거는 기존 선거 일정에서는 투표가 가능했던 2007년 6월 5일생부터 2009년 3월 4일생까지는 투표권이 부여되지 않는다. 2007년 6월 5일생부터 2008년 6월 4일생까지는 이듬해의 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첫 투표권을 행사할 수 있으며, 2008년 6월 5일생부터 2009년 3월 4일생까지는 3년 후 제2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행사할 수 있다. 이들은 모두 5년 뒤 치러질 제22대 대통령 선거에서 대선 투표권을 행사할 예정이다.

처음으로 투표권을 가지는 대상은 2006년 4월 12일생부터 2007년 6월 4일생까지이며[18] 투표권, 처음으로 대선에 참여하는 대상은 2004년 3월 11일생부터 2007년 6월 4일생까지다.[19]

4. 선거 일정

<rowcolor=#fff,#fff> 날짜 (2025년) 실시 사항 기준일
4월 4일 사유 확정 헌법재판소의 파면결정에 따른 대통령 궐위
4월 4일부터 예비후보자 등록 사유가 확정된 때부터
4월 7일부터 무소속후보자 추천장 검인·교부 시작 사유가 확정된 후 3일부터
4월 14일까지 선거일 공고 선거일 전 50일까지
4월 20일까지 당내경선 위탁 실시기한 후보자등록 신청개시일 전 20일까지[20]
4월 24일까지 국외부재자 신고 선거일 전 40일까지
재외선거인 등록신청
4월 30일​~5월 4일 국외부재자신고인명부 및 재외선거인명부 작성 선거일 전 34일부터 30일까지
5월 4일 재외선거인명부등 확정 선거일 전 30일
5월 4일까지 입후보 제한을 받는 자의 사직 선거일 전 30일까지[21]
<nopad> 5월 6일​~5월 10일 선거인명부 작성 선거일 전 28일부터 5일 이내
거소·선상투표 신고
거소·선상투표​신고인명부 작성
군인 등 선거공보 발송신청
5월 10일, 5월 11일 후보자등록 신청
(매일 09시~18시)
선거일 전 24일부터 2일간
5월 11일 거소·선상투표​신고인명부 확정 선거인명부​작성기간 만료일 다음 날
5월 12일 선거기간개시일 후보자등록 마감일의 다음 날
5월 14일까지 선거벽보 제출 후보자등록 마감일 후 3일까지
5월 17일까지 선거벽보 첩부 제출 마감일 후 3일까지
책자형 선거공보 제출 후보자등록 마감일 후 6일까지
5월 18일 1차 후보자토론회(경제) 선거운동기간 중
5월 19일 비초청대상 후보자토론회 선거운동기간 중
5월 20일까지 책자형 선거공보 발송 제출 마감일 후 3일까지
5월 20일​~5월 25일 재외 투표
(매일 08시~17시)
선거일 전 14일부터 9일까지
기간 중 6일 이내
5월 21일까지 전단형 선거공보 제출 후보자등록 마감일 후 10일까지
5월 22일 선거인명부 확정 선거일 전 12일
5월 23일 2차 후보자토론회(사회) 선거운동기간 중
5월 24일까지 투표소의 명칭과 소재지 공고 선거일 전 10일까지
거소투표용지 발송
투표안내문(전단형 선거공보 동봉) 발송 선거인명부확정일 후 2일까지
5월 26일​~5월 29일 선상투표 선거일 전 8일부터 5일까지 중
선장이 정한 일시
5월 27일 3차 후보자토론회(정치) 선거운동기간 중
5월 28일 여론조사 공표 금지 기간 선거일 6일 전
5월 29일까지 개표소 공고 선거일 전 5일까지
<nopad> 5월 29일, 5월 30일 사전 투표
(매일 06시~18시)
선거일 전 5일부터 2일간
6월 3일 투표
(06시~20시[궐위]보궐선거등에 있어서는 오후 8시에 닫는다는 규정에 따라 20시까지 투표한다.])
선거일 당일
(선거의 실시사유가 확정된 때부터 60일 이내)
개표
(투표 종료 후 즉시)
6월 4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전체위원회의를 통한 당선 확정
당선 확정 즉시[23] 제21대 대통령 취임 (오전 6시 21분 임기 시작)

4.1. TV 토론회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제21대 대통령 선거/TV 토론회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제21대 대통령 선거/TV 토론회#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제21대 대통령 선거/TV 토론회#|]]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타임라인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제21대 대통령 선거/타임라인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제21대 대통령 선거/타임라인#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제21대 대통령 선거/타임라인#|]]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후보

6.1. 대권주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제21대 대통령 선거/대권주자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제21대 대통령 선거/대권주자#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제21대 대통령 선거/대권주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2. 후보 경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제21대 대통령 선거/후보 경선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제21대 대통령 선거/후보 경선#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제21대 대통령 선거/후보 경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3. 최종 후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제21대 대통령 선거/후보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제21대 대통령 선거/후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제21대 대통령 선거/후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대한민국 투표 도장 문양(흰색 테두리).svg 제21대 대통령 선거 후보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rowcolor=#005BA6,#FFC224> 기호 정당 이름 비고
1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당선
2 국민의힘 김문수
4 개혁신당 이준석
5 민주노동당 권영국
6 자유통일당 구주와 사퇴
7 무소속 황교안 사퇴
8 무소속 송진호
1 · 2 · 3 · 4(3.15) · 4 · 5 · 6 · 7 · 8 · 9 · 10 · 11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

7. 대통령 선거 공약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분야별 공약과 후보별 공약 비교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제21대 대통령 선거/변수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제21대 대통령 선거/변수#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제21대 대통령 선거/변수#공약 대결|공약 대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대한민국 투표 도장 문양(흰색 테두리).svg 제21대 대통령 선거 후보별 공약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005BA6,#FFC224> 정당 후보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국민의힘 김문수
개혁신당 이준석
민주노동당 권영국
자유통일당 구주와1
무소속 황교안2
무소속 송진호
1: 2025년 5월 18일 후보 사퇴. 김문수 후보 지지.
2: 2025년 6월 1일 후보 사퇴. 김문수 후보 지지.
}}}}}}}}}}}} ||

8. 선거 방송

파일:대한민국 투표 도장 문양(흰색 테두리).svg 제21대 대통령 선거 개표방송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white"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KBS 1TV 로고.svg파일:KBS 1TV 로고 화이트.svg 내 삶을 바꾸는 선택 2025 대선
파일:MBC 로고.svg파일:MBC 로고 화이트.svg 선택 2025
파일:SBS 텍스트 로고.svg파일:SBS 텍스트 로고 화이트.svg 2025 국민의 선택
파일:JTBC 로고.svg파일:JTBC 로고_White.svg 2025 우리의 선택 - We대한민국
파일:MBN 로고.svg파일:MBN 로고 화이트.svg 더 나은 내일 제21대 대통령선거
파일:채널A 로고.svg파일:채널A 로고 컬러 화이트.svg 나의 선택 2025
파일:TV CHOSUN 로고.svg파일:TV CHOSUN 로고 화이트.svg 결정 2025
[[YTN|
파일:YTN 로고.svg
]]
대선 2025 우리의 선택 공동제작
파일:국회방송 CI_좌우.svg
파일:연합뉴스TV 로고.svg 대선 2025: 선택, 우리의 내일
파일:OBS경인TV 로고.svg 공감 2025
파일:B tv 로고.svg 우리의 선택
파일:LG헬로비전 로고.svg 선택 2025 나는 후보자다
파일:딜라이브 로고.svg 6.3 대선
파일:JCN 울산중앙방송 로고.svg 2025 울산의 선택
파일:중앙선거관리위원회 시그니처.svg 대통령 선거방송
}}}}}}}}} ||

9. 여론조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제21대 대통령 선거/여론조사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제21대 대통령 선거/여론조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제21대 대통령 선거/여론조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1. 가상대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제21대 대통령 선거/여론조사/가상대결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제21대 대통령 선거/여론조사/가상대결#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제21대 대통령 선거/여론조사/가상대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2. 후보 확정 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제21대 대통령 선거/여론조사/후보 확정 후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제21대 대통령 선거/여론조사/후보 확정 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제21대 대통령 선거/여론조사/후보 확정 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 출구조사 및 예측조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제21대 대통령 선거/출구조사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제21대 대통령 선거/출구조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제21대 대통령 선거/출구조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출구조사 카운트다운 영상
방송사공동예측조사위원회(KEP)가 발표한 제21대 대통령 선거 출구조사 인용 보도 기준에 따르면, 당선인 예측 및 예상 득표율은 투표 마감 10분 뒤인 6월 3일 오후 8시 10분 이후부터 인용 가능하다. 기준을 적용받는 매체는 종편, 보도전문 채널, 인터넷신문, 포털 사이트뿐 아니라 유튜브 채널 및 1인 방송 크리에이터까지도 해당한다. 인용 시에는 화면에 '방송3사(KBS, MBC, SBS) 공동 예측(출구) 조사'라고 출처를 표기해야 한다. #
||<-5><tablewidth=400px><tablealign=center><tablebgcolor=transparent><tablebordercolor=#005ba6,#005ba6><bgcolor=#005ba6,#005ba6> 제21대 대통령 선거 출구조사 및 예측 조사 ||
최종 투표율: 79.38%
방송3사 JTBC MBN 채널A
1 이재명 51.7% 50.6% 49.2% 51.1%
2 김문수 39.3% 39.4% 41.7% 38.9%
4 이준석 7.7% 7.9% 7.8% 8.7%
5 권영국 1.3% 미공표
8 송진호 0.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조사 개요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iki style="margin: -10px 0"
파일:지상파 방송3사 출구조사 로고.svg
제21대 대통령 선거
방송 3사 공동 출구 조사
}}}
<colbgcolor=#eee,#333> 의뢰기관 제21대 대통령 선거 방송사 공동예측조사위원회
(한국방송협회, KBS, MBC, SBS)
수행기관 한국리서치, 코리아리서치인터내셔널, 입소스
수행기간 2025년 6월 3일 06:00~20:00[24]
조사대상 전국 325개 투표소 유권자 약 80,146명
(매 5번째 투표자 등간격 추출)
표본오차 95% 신뢰수준 ±0.8%p
{{{#!wiki style="margin: -10px 0"
파일:JTBC 로고_White.svg
제21대 대통령 선거
JTBC 예측조사
}}}
의뢰기관 JTBC
수행기관 메타보이스
수행기간 2025년 5월 30일~6월 3일
조사대상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2,000명
표본오차 95% 신뢰수준 ±0.9%p
{{{#!wiki style="margin: -10px 0"
파일:MBN 로고 화이트.svg
제21대 대통령 선거
MBN 예측조사
}}}
의뢰기관 MBN
수행기관 넥스트리서치
수행기간 2025년 5월 31일~6월 2일
조사대상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
표본오차 95% 신뢰수준 ±3.1%p
{{{#!wiki style="margin: -10px 0"
파일:채널A 로고 컬러 화이트.svg
제21대 대통령 선거
채널A 예측조사
}}}
의뢰기관 채널A
수행기관 리서치앤리서치
수행기간 2025년 5월 30일 ~ 6월 3일
조사대상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1,221명
표본오차 95% 신뢰수준 ±0.93%p
<nopad> 그 밖의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

모든 방송사의 출구조사 및 예측조사 결과 이재명 후보의 당선, 1위 후보와 2위 후보 간 큰 격차를 예측하는 데 성공했다.

방송3사를 비롯한 대다수 방송사의 출구조사 및 예측조사 결과에서 이재명 후보가 과반 득표를 할 것으로 예측되었으나, 이 선거가 윤석열 대통령 탄핵이라는 특수한 상황에서 열렸다는 점이 작용했는지 1~2% 정도의 샤이 보수를 잡아내지 못해[25] 지난 대선과는 다르게 득표율 예측 수치가 오차범위 밖으로 벗어나며 결과적으로 적중에 실패했다. 방송사들 중에서는 거의 유일하게 MBN만이 거대 양당 후보의 득표율 수치를 오차범위 내[26]로 예측해내는 데 성공했다.[27]

방송3사 출구조사는 제20대 대통령 선거 때 후보 간 격차를 정확하게 잡아냈지만 이번 대선에서 4%p 이상의, 역대 대선 출구조사 중 가장 큰 수치의 오차가 발생했으며, 2012년 제18대 대통령 선거 이후 13년만에 오차범위 바깥으로 후보 간 격차가 빗나간 결과가 나왔다.[28]

박성민 정치컨설팅 민 대표가 밝힌 뒷이야기에 따르면, 출구조사에서 사전투표 보정 시의 예측치[29]와 실제 개표결과 사이에 어느 정도 차이가 있었고, 이 때문에 출구조사의 오차가 커졌다고 한다. 실제로 출구조사에서 대다수 지역에서는 이재명 후보의 득표율이 실제보다 높게 예측된 반면 유독 호남 지역에서는[30] 김문수 후보의 득표율이 과대예측되고 이재명 후보의 득표율은 과소예측되었는데 이 또한 해당 설명을 뒷받침해주는 결과라 볼 수 있다.

11. 변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제21대 대통령 선거/변수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제21대 대통령 선거/변수#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제21대 대통령 선거/변수#|]]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1. 정당별 상황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제21대 대통령 선거/정당별 상황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제21대 대통령 선거/정당별 상황#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제21대 대통령 선거/정당별 상황#|]]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2. 지역별 상황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제21대 대통령 선거/지역별 상황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제21대 대통령 선거/지역별 상황#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제21대 대통령 선거/지역별 상황#|]]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3. 세대별 상황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제21대 대통령 선거/세대별 상황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제21대 대통령 선거/세대별 상황#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제21대 대통령 선거/세대별 상황#|]]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2. 투표율

12.1. 부재자 투표율

투표별 부재자 투표율
선거인 수: 261,305명[31]
투표 투표자 수 투표율 비고
<colbgcolor=#eee,#333> 재외국민 205,268 79.48% 역대 최고 투표율
선상 2,914 95.51%

12.2. 사전 투표율

일자·시간별 사전 투표율
선거인 수: 44,391,871명
5월 29일
시간 누적 투표자 수 누적 투표율
<colbgcolor=#eee,#333> 7시 536,215 1.21%
8시 995,261 2.24%
9시 1,575,916 3.55%
10시 2,328,108 5.24%
11시 3,107,164 7.00%
12시 3,861,415 8.70%
13시 4,666,252 10.51%
14시 5,476,054 12.34%
15시 6,235,304 14.05%
16시 6,978,426 15.72%
17시 7,771,218 17.51%
18시 8,691,711 19.58%
5월 30일
시간 투표자 수 누적 투표율
7시 9,062,156 20.41%
8시 9,405,982 21.19%
9시 9,828,859 22.14%
10시 10,358,501 23.33%
11시 10,899,306 24.55%
12시 11,450,121 25.79%
13시 12,063,051 27.17%
14시 12,689,868 28.59%
15시 13,302,330 29.97%
16시 13,931,865 31.38%
17시 14,625,746 32.95%
18시 15,423,607 34.74%
<nopad> 사전투표 상황은 해당 시각의 '10분 전'에 집계된 자료이다. (18시 제외)
지역별 최종 사전 투표율
지역 선거인 수 사전투표자 수 투표율
<colbgcolor=#eee,#333> 서울 8,293,885 2,843,337 34.28%
부산 2,865,552 870,147 30.37%
<rowcolor=#026,#9bf> 대구 2,049,078 525,257 25.63%
인천 2,619,348 858,899 32.79%
광주 1,194,471 622,587 52.12%
대전 1,241,882 420,753 33.88%
울산 934,509 299,135 32.01%
세종 307,067 126,398 41.16%
경기 11,715,343 3,852,191 32.88%
강원 1,327,019 485,739 36.60%
충북 1,379,142 465,011 33.72%
충남 1,839,339 595,661 32.38%
전북 1,510,908 800,975 53.01%
<rowcolor=#900,#f66> 전남 1,559,431 881,109 56.50%
경북 2,213,614 697,660 31.52%
경남 2,776,028 880,284 31.71%
제주 565,255 198,464 35.11%
투표율 최저 지역:
파란색
투표율 최고 지역:
빨간색
이전 선거 사전투표율과 비교
1일차
시간 <rowcolor=#373a3c,#c3c6c8> 2022
대선
2022
지선
2024
총선
2025
대선
<colbgcolor=#eee,#333> 7시 0.58% 0.48% 0.62% 1.21%
8시 1.20% 0.93% 1.25% 2.24%
9시 2.14% 1.59% 2.19% 3.55%
10시 3.64% 2.56% 3.57% 5.24%
11시 5.38% 3.59% 5.09% 7.00%
12시 7.11% 4.49% 6.56% 8.70%
13시 8.75% 5.32% 8.00% 10.51%
14시 10.48% 6.26% 9.57% 12.34%
15시 12.31% 7.25% 11.12% 14.05%
16시 14.11% 8.22% 12.60% 15.72%
17시 15.84% 9.20% 14.08% 17.51%
18시 17.57% 10.18% 15.61% 19.58%
2일차
시간 <rowcolor=#373a3c,#c3c6c8> 2022
대선
2022
지선
2024
총선
2025
대선
7시 18.29% 10.66% 16.17% 20.41%
8시 19.11% 11.16% 16.86% 21.19%
9시 20.17% 11.81% 17.78% 22.14%
10시 21.62% 12.67% 19.04% 23.33%
11시 23.36% 13.65% 20.51% 24.55%
12시 25.19% 14.61% 22.01% 25.79%
13시 26.89% 15.44% 23.41% 27.17%
14시 28.74% 16.37% 24.93% 28.59%
15시 30.74% 17.38% 26.53% 29.97%
16시 32.76% 18.39% 28.10% 31.38%
17시 34.69% 19.44% 29.67% 32.95%
최종 36.93% 20.62% 31.28% 34.74%

12.3. 투표율

시간별 투표율
선거인 수: 44,391,871명
시간 투표자 수(명) 누적 투표자 수(명) 누적 투표율
<colbgcolor=#eee,#333> 7시 1,084,008 1,084,008 2.44%
8시 1,451,287 2,535,295 5.71%
9시 1,558,330 4,093,625 9.22%
10시 1,909,562 6,003,187 13.52%
11시 2,100,248 8,103,435 18.25%
12시 2,065,562 10,168,997 22.91%
13시[A] 1,705,503[33] 27,565,241 62.10%
14시 1,532,230 29,097,471 65.55%
15시 1,413,564 30,511,035 68.73%
16시 1,223,690 31,734,725 71.49%
17시 1,070,896 32,805,621 73.90%
18시 962,516 33,768,137 76.07%
19시[궐위] 785,763 34,553,900 77.84%
20시[궐위] 706,516 35,236,497 79.38%
지역별 투표율
지역 선거인 수(명) 투표자 수(명) 총 투표율
서울 8,293,885 6,641,606 80.1%
부산 2,865,552 2,245,812 78.4%
대구 2,049,078 1,643,381 80.2%
인천 2,619,348 2,035,670 77.7%
<rowcolor=#900,#f66> 광주 1,194,471 1,002,166 83.9%
대전 1,241,882 977,624 78.7%
울산 934,509 748,514 80.1%
세종 307,067 255,100 83.1%
경기 11,715,343 9,298,035 79.4%
강원 1,327,019 1,029,463 77.6%
충북 1,379,142 1,065,541 77.3%
충남 1,839,339 1,397,768 76.0%
전북 1,510,908 1,246,122 82.5%
전남 1,559,431 1,303,392 83.6%
경북 2,213,614 1,747,489 78.9%
경남 2,776,028 2,180,455 78.5%
<rowcolor=#026,#9bf> 제주 565,255 421,645 74.6%
투표율 최저 지역:
파란색
투표율 최고 지역:
빨간색
<nopad> 투표 상황은 해당 시간의 정각에 집계된 자료이다.
(시간별 투표자 수: 잠정 투표자 수)
이전 선거 투표율과 비교
시간 2022
대선
2022
지선
2024
총선
2025
대선
<colbgcolor=#eee,#333> 7시 2.1% 1.7% 1.8% 2.4%
8시 5.0% 3.8% 4.2% 5.7%
9시 8.1% 6.0% 6.9% 9.2%
10시 11.8% 8.7% 10.4% 13.5%
11시 16.0% 12.0% 14.5% 18.3%
12시 20.3% 15.0% 18.5% 22.9%
13시[A] 61.3% 38.3% 53.4% 62.1%
14시 64.8% 40.7% 56.4% 65.5%
15시 68.1% 43.1% 59.3% 68.7%
16시 71.1% 45.4% 61.8% 71.5%
17시 73.6% 47.6% 64.1% 73.9%
18시 75.7% 50.0% 67.0% 76.1%
19시[궐위] 77.8%
20시[궐위] 79.4%
최종 77.1%[B] 50.9%[B] 67.0% 79.4%
2000년대 이후에 실시한 선거 중에서는 가장 투표율이 높은 선거로 기록되었다. 19시 경에 직전 대선 투표율을 넘어섰다는 보도가 나오면서 일부 언론에서는 역대급이라면서 투표율 80% 돌파 여부를 관전 포인트로 소개하기도 하였다. #1 #2

최종투표율은 79.4%를 기록하여 삼김시대 이후 28년만에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하였다. 이는 14번의 직선제 대선 중 9위, 현행 헌법으로 선거가 진행된 대한민국 제6공화국 9번의 대선 중 4위의 기록이다.

12.4. 시군구별 투표율

시·군·구별 투표율
최고 투표율 1 ~ 10위
순위 지역 투표율
<rowcolor=#900,#f66><colbgcolor=#eee,#333> 1위 전북 순창군 86.5%
2위 경기 과천시 85.7%
3위 전남 구례군 85.6%
4위 전남 완도군 85.5%
5위 전남 곡성군 85.4%
6위 전북 임실군 85.2%
7위 전남 해남군 84.9%
8위 전남 무안군 84.8%
9위 광주 남구 84.6%
10위 경기 안양시 동안구 84.5%
최저 투표율 1 ~ 10위
순위 지역 투표율
<rowcolor=#026,#9bf> 1위 경기 동두천시 73.4%
2위 제주 서귀포시 74.0%
3위 부산 중구 74.3%
4위 충북 음성군 74.4%
5위 인천 미추홀구 74.5%
6위 제주 제주시 74.8%
7위 충남 당진시 74.89%
8위 부산 영도구 74.9%
9위 강원 속초시 75.0%
10위 충남 논산시 75.1%

과천시와 안양시 동안구를 제외하고 투표율 상위 10위 중 8개 시군구를 호남이 쓸어갔다. 20대 대선에서 투표율 83.7%로 4위를 기록했던 군위군은 처음으로 대구광역시 소속으로 치른 대선에서 투표율 83.9%로 광역자치단체 내에서 1위를 하는데에 그쳤다.

한편 동두천시는 유일하게 73%대 투표율을 기록하며 지난 20대 대선에 이어 최저투표율을 기록하였다.

13. 개표 결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제21대 대통령 선거/개표 결과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제21대 대통령 선거/개표 결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제21대 대통령 선거/개표 결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대한민국 제21대 대통령 선거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이재명(李在明) 17,287,513 1위

49.42% 당선[41]
2 김문수(金文洙) 14,395,639 2위


41.15% 낙선[42]
4 이준석(李俊錫) 2,917,523 3위

8.34% 낙선[43]
5 권영국(權英國) 344,150 4위

[[민주노동당(2025년)|
민주노동당
]]
0.98% 낙선[44]
6 구주와(丘주와) 사퇴[45]

[[자유통일당|
자유통일당
]]
7 황교안(黃敎安)


8 송진호(宋鎭鎬) 35,791 5위


0.10% 낙선
선거인 수 44,391,871 투표율
79.38%
투표 수 35,236,497
무효표 수 255,881
  • 방송사별 이재명 후보 당선 유력[46] 예측 시각
    • 22:45경: MBC(개표율 19.7% 시점)
    • 22:50경: JTBC(개표율 22.1% 시점)
    • 23:08경: KBS(개표율 27.3% 시점)
    • 23:14경: SBS(개표율 30.2% 시점)
  • 방송사별 이재명 후보 당선 확실[47] 예측 시각
    • 23:31경: JTBC(개표율 37.4% 시점)
    • 23:36경: KBS(개표율 39.2% 시점)
    • 23:39경: MBC(개표율 39.8% 시점)
    • 23:40경: SBS(개표율 40.1% 시점)
  • 2025년 6월 4일 오전 2시 30분, 개표율 93.8% 시점에 이재명 후보의 당선이 확정되었다.[48]
  • 2025년 6월 4일 오전 5시 2분, 개표가 완료되었다.
  • 2025년 6월 4일 오전 6시 21분, 노태악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위원장이 이재명 후보를 대통령 당선인으로 공식 결정하는 선언을 하면서 중앙선관위에 의해 선거 결과가 공식 확정되었고 이재명 대통령의 임기가 시작되었다.

13.1. 지역별 결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제21대 대통령 선거/개표 결과/지역별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제21대 대통령 선거/개표 결과/지역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제21대 대통령 선거/개표 결과/지역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3.1.1. 격전지역

1위, 2위 표차 1,000표 차 이내 기초자치단체 기재, 표차가 적을수록 위에 기재한다.

13.2. 세대별 결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제21대 대통령 선거/개표 결과/세대별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제21대 대통령 선거/개표 결과/세대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제21대 대통령 선거/개표 결과/세대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3.3. 정당별 결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제21대 대통령 선거/개표 결과/정당별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제21대 대통령 선거/개표 결과/정당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제21대 대통령 선거/개표 결과/정당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4. 관련 자료

파일:1000018614.jpg
기뻐하는 이재명 대통령 당선인
파일:21 이재명 당선_한겨레.png
대통령 당선 확정을 알리는 한겨레 기사
대한민국 제21대 이재명 대통령 취임식 영상

15. 논란 및 사건 사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제21대 대통령 선거/논란 및 사건 사고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제21대 대통령 선거/논란 및 사건 사고#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제21대 대통령 선거/논란 및 사건 사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6. 기타

  • 대선일이 2025년 6월 3일[49]로 확정되면서 이미 같은 날짜로 정해져 있었던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6월 모의평가 및 2025학년도 6월 전국연합학력평가와 일정이 어쩌다 보니까 겹쳤다. 상술했듯 대선일이 임시 공휴일로 지정되었는데, 이러면 학교 역시 휴교 대상이 되므로 평가 날짜를 변경하였다. 결국 대통령 선거일 공표와 동시에 모의평가 및 학력평가일은 다음 날인 2025년 6월 4일로 변경되었다. # 즉, 6월 모의평가 및 학력평가는 제21대 대통령의 취임일에 치러진다.
  • 인천광역시중구, 동구서구의 아라뱃길 이북 지역은 선거 당시 행정체제에서 치르는 마지막 선거가 되었다. 2026년 7월 1일부터 중구 본토와 동구가 합쳐져서 제물포구로 개칭되고, 영종도 일대가 독립해서 영종구로 따로 개편되며, 서구의 아라뱃길 이북 지역이 검단구로 분구되기 때문이다. 남은 서구 지역도 대선 이후 서해구로 개명이 확정되면서 서구라는 이름으로 치르는 마지막 대한민국 대통령 선거가 되었다. 만약 윤석열 탄핵이 인용되지 않았다면 22대 총선이 마지막이 될 뻔했다. 21대 대선은 윤석열 대통령의 궐위가 생기지 않고 정석대로라면 2027년에 치러질 예정이었기 때문.
  • 역대 대통령 당선인들의 취임식은 한 번을 제외하면 전부 중앙청이나 국회의사당 앞마당에서 거행되었다. 반면 제21대 대통령 선거는 궐위로 인한 선거이기 때문에 취임식 준비 기간이 부족한 관계로 제21대 대통령 당선인의 취임식제19대 대통령 취임식과 동일하게 국회 로텐더홀 등지에서 약식으로 거행될 가능성이 높다고 점쳐졌다. 이에 2025년 6월 4일 카 퍼레이드 등의 일정도 가능성이 있어 대통령경호실 주도로 준비한 것으로 보도되었으나, 모두 진행하지 않고 국회 일정 이후 바로 집무를 시작하였다고 알려졌다.
  • 이 선거의 당선인이 윤석열 전 대통령의 주도로 이전한 대한민국 대통령실, 청와대, 대한민국 대통령 세종집무실 중 어디로 입성할 것인지도 주목된다. 크랩 영상 당초 윤석열 정부는 대통령 집무실을 청와대에서 용산 대통령실로 이전하는 명분으로 청와대가 불통의 상징이라는 부분을 내세웠으나, 정작 윤석열 전 대통령이 파면되면서 용산 대통령실에 부정적인 이미지가 씌워졌기 때문이다. 더불어 용산 대통령실 자체가 업무 효율성, 도청 사건 등 문제점이 많다는 지적이 윤석열 정부의 출범 초기부터 꾸준히 제기되기도 했다.

    일단 궐위로 인한 선거기에 어느 정당의 후보가 당선되더라도 시간적 여유가 아예 없어 처음에는 윤석열 정부의 뒤를 이어 그대로 대통령실을 사용할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더불어민주당은 윤석열 전 대통령이 독단적으로 단행한 용산 대통령실 이전에 관해 예부터 반발하였으며, 2025년 3월 들어서 더불어민주당의 대권 주자들이 대통령실을 세종특별자치시로 이전하는 방안을 거론하고 있다. #1, #2 2025년 4월 7일 더불어민주당은 세종시로 행정수도 이전 법안을 추진하며 대선 공약으로 검토할 전망이다. # 따라서 더불어민주당의 후보가 당선되어 정권 교체가 이루어진다면 용산 대통령실을 임시로 사용하다가 집권 기간 중 대통령 집무실을 세종특별자치시 대한민국 대통령 세종집무실로 이전할 가능성이 있다.

    다만 행정수도를 이전하려면 개헌국민투표[55] 필수적이라는 의견도 있고 걸리는 기간이 적지 않음을 감안하면 임시로 용산 대통령실을 사용하거나, 한시적으로 청와대의 대통령 집무실 기능을 복원시켜 이전할 수도 있다. 또는 만약 행정수도 이전과 관련하여 개헌이 이루어지면 제21대 대통령 임기 후반부나 제22대 대통령부터 세종집무실을 이용할 가능성이 높다.
  • 두 차례의 탄핵 심판이 인용되면서 4회 연속으로 대통령 선거를 치르는 달이 바뀌었으며, 그것도 모두 겹치지 않는 달에 치러진다. 제18대 대통령 선거까지는 12월 중순 경에 치러졌지만, 박근혜 대통령 탄핵 심판이 2017년 3월 10일에 인용되면서 제19대 대통령 선거는 5월 9일에, 문재인 전 대통령의 5년 임기 만료를 앞두고 치러진 제20대 대통령 선거는 3월에 치러졌다. 제21대 대한민국 대통령이 5년 임기를 모두 채우면, 제22대 대통령 선거는 2030년 3월 27일에 치러질 예정이므로 20대 대선과 같은 달이지만 5회 연속으로 직전 선거와 다른 달에 대선을 치른다.
  • 선관위는 방송사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4월 10일에 21대 대선 투·개표 시연회를 열어서 투표 및 개표 절차와 관리 방안, 보안 체계, 주요 선거 장비 및 작동 원리를 설명할 방침이다. SBS 또한 정치 관련 분야 학회들이 주도하는 '공정선거참관단' 역시 운영할 예정으로, 각계각층의 인사들이 사전투표, 본투표, 개표의 전 과정을 참관할 수 있도록 하기로 하였다. 연합뉴스 이러한 조치의 목적은 선관위가 21대 대선을 앞두고 먼저 부정선거 음모론을 종식하고 사회갈등 해소 및 국민 화합을 도모하기 위함이다.
  • 대선이 조기에 시행됨으로 인해 차기 대선인 제22대 대통령 선거는 2030년 3월 말에 치러지고[56] 곧바로 2개월여 뒤인 6월 초에 제10회 전국동시지방선거가 치러진다. 지방선거는 4년에 한 번씩[57] 돌아오기에 2030년, 즉 22대 대선과 동일한 연도에 치러지기 때문이다. 물론 동일한 연도에 치러진 선거의 사례는 더러 있었으나 이것이 실현된다면 헌정 사상 가장 짧은 간격을 두고 치러진 전국단위 선거가 된다.[58] 종전 기록은 제20대 대통령 선거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간의 84일이다. 선거일의 간격이 매우 짧으므로 두 선거를 통합해서 치르는 방안이 논의될 수 있다.
  • 6월 3일로 선거일이 지정되면서 5월 29일 목요일과 5월 30일 금요일 이틀간이 사전투표 기간으로 지정되었다. 이로 인해 사전투표 제도가 도입된 후 처음으로 사전투표 기간 전체가 평일인 선거가 되었다.[59]
  • 극히 일부였지만 윤석열 전 대통령의 지지자들이 윤석열 전 대통령이 헌법 파면으로 5년의 완전한 임기를 채우지 않았으므로 출마가 가능하다는 이른바 윤 어게인 운동이 느닷없이 잠시 급부상하기도 했다. 그들이 재출마가 가능하다는 근거는 다음과 같은데, 파면하는 데 그치기에 형사상의 책임이 없다면 아래 헌법 조항에 의하여 출마가 가능하다는 주장이었다.
    헌법 제65조 제3항

    탄핵심판은 재판관 6인 이상의 찬성이 있어야 하며,

    탄핵의 결정은 그 공직으로부터 파면하는 데 그친다.

    다만, 그로 인하여 민사상 또는 형사상의 책임이 면제되지는 아니한다.

    그러나 이는 헌법재판소법과 충돌하는 내용으로, 재출마는 사실상 불가능하다. 이외에도 헌법 제70조에 따르면 대통령은 단임제를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어떤 형태로든 대통령 자리에서 물러난 대통령은 대선에 절대 다시 출마할 수 없다.[60]
    대한민국헌법 제70조

    대통령의 임기는 5년으로 하며, 중임할 수 없다.


    헌법재판소법 제54조(결정의 효력)

    ① 탄핵결정은 피청구인의 민사상 또는 형사상의 책임을 면제하지 아니한다.

    ② 탄핵결정에 의하여 파면된 사람은 결정 선고가 있은 날부터 5년이 지나지 아니하면 공무원이 될 수 없다.

    만약 이 주장이 맞는다고 하더라도 윤석열 전 대통령은 엄밀히 탄핵을 당했기에 다시 당선되기도 절대 쉽지 않을 뿐더러 아직 내란죄 혐의의 형사 재판도 남아있었다.
  • 헌정 사상 처음으로 뱀띠 해에 치러지는 첫 대선이다. 본래 뱀띠 해 대선은 2037년에 치러질 예정이었으나, 윤석열 전 대통령이 파면당하면서 2025년으로 12년이나 앞당겨졌다. 이로써 대선이 치러지지 않은 해는 개띠 해만 남는데, 윤석열 대통령 파면으로 개띠 해 대선이 2042년에서 2030년으로 앞당겨지면서 탄핵이나 궐위 등의 변수가 없는 한 2030년 개띠 해에도 대선이 치러질 예정이다.[61] 반면 1979년 제10대 대선 이후 48년 만인 2027년에 제21대 대통령 선거가 치러질 예정이었으나 윤석열 전 대통령의 파면으로 조기 대선이 치러짐에 따라 양띠 해 대선은 볼 수 없게 되었다.[62][63]
  • 이번 선거와 함께 국회의원, 지방자치단체장, 지방의원의 재보궐선거를 함께 치르지 않으면서 1987년 제13대 대통령 선거 이후 38년 만에 재보궐선거를 함께 치르지 않은 대통령 선거가 되었다.[64]
  • 제7대 대통령 선거 이후 처음으로, 그리고 6공화국 최초로 거대 양당이 직전 대선과 동일한 당명으로 연속해서 맞붙는 선거이다.[65] 거대 양당 중 어느 한쪽이 승리한다면 6공화국 최초로 대선에서 2회 승리한 정당이 된다.
  • 제18대 대통령 선거 이후 약 13년 만에 후보자들의 수가 10명 미만의 한 자릿수인 동시에 제18대 대통령 선거와 마찬가지로 총 7명의 후보가 최종 후보로 출마했다. 또한 상술했듯이 총 5명의 최종 후보가 나오면서 민주화 이래 가장 적은 수의 최종 후보가 나온 대선이 되었다.
  • 1, 2, 3, 4등 후보의 득표율이 1996년 미국 대통령 선거와 매우 비슷하다. 심지어 정치적 포지션도 자유주의, 우익 보수주의, 제3지대, 좌익으로 넷 모두 매우 비슷한 편이다. 다만 빌 클린턴은 1996년 대선에서 재선으로 당선되었고, 2025년 대선은 이재명 후보가 정권교체를 이뤘다는 차이점이 있다.
  • 거대 양당의 후보 모두 경기도지사 출신이다.[67] 따라서 이번 제21대 대통령 선거는 거대 양당 후보 둘 중 한 명이 누가 당선돼도 최초의 경기도지사 출신 대통령[68]이라는 타이틀을 단다.[69] 이준석 등 제3의 후보가 당선되지 않는 한 경기도지사 출신이 대통령이 될 수 없다는 징크스가 깨진다.
  • 거대 양당의 후보 모두 대권 도전은 처음이 아닌 것도 흥미로운 점이다. 이재명은 제19대 대선에서 문재인 후보에 밀려 경선 탈락했으며, 제20대 대선에서 아슬아슬하게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에게 패해 낙선하였다. 김문수는 제18대 대통령 선거 새누리당 경선에 도전했다가 당시 박근혜에게 패해 경선 탈락한 바 있다. 즉 이 말은 둘 중 한 명이 재도전만에 당선이라는 쾌거를 이룰 수도 있다는 뜻이다.
  • 제15대 대통령 선거 이후 28년만에 대한민국의 대표 성씨 김씨, 이씨간의 대선 대결이 성사됐다. 당시 김대중, 이회창, 이인제 3자 구도로 대통령 선거가 치러졌는데 이번 제21대 대선도 이 같은 구도로 치러질 전망이다. 이로 인해 누가 되든 역대 대통령 중 2명씩은 성이 같은 징크스가 깨질 예정이다. 과거 이에 해당하는 경우로는 이승만 - 이명박, 윤보선 - 윤석열, 박정희 - 박근혜, 노태우 - 노무현, 김영삼 - 김대중으로 이어져 왔는데 이번 대선에선 유력 대권주자들이 모두 이씨이거나 김씨이므로 어느 쪽이 당선되든 징크스가 깨진다.
  • 대선 출마 후보들의 나이 차가 상당하게 나는 고연령과 저연령의 대선이 되었다. 특히 3자구도 후보 3인 중 이재명은 1963년생, 김문수는 1951년생, 이준석은 1985년생으로, 띠동갑을 넘어 3바퀴에 가까운 나이차가 난다.[70] 심지어 이준석 후보는 대통령 선거 출마 가능 최소 연령인 만 40세를 겨우 채워서 역대 최연소 대통령 선거 출마자라는 기록까지 달성했다.
  • 대통령 선거에 출마하는 거대 양당의 후보가 모두 경상북도 출생이다. 이재명안동시, 김문수영천시 출생이다. 두 후보 중 한 명이 당선된다면 역대 4번째 경상북도 출생 대통령이 탄생한다. 그러면 2012년 제18대 대통령 선거에서 당선된 박근혜[71] 이후 13년 만이며 남성 대통령으로는 1988년 제13대 대통령 노태우 이후 37년 만이다.[72]
  • 대선 후보들이 전부 남성임에도 불구하고 군필 후보보다 병역면제 후보가 더 많다. 군필 3명[73], 면제 4명[74]. 또한 장교 출신 후보는 아무도 없다.[75] 사실 옛날에는 병역면제 기준이 쉬운 편이었다. 송진호, 구주와, 이준석은 비교적 젊고, 이재명, 김문수, 권영국, 황교안은 비교적 나이가 많은 편이었기 때문이다.
  • 이준석송진호 후보를 제외한 모든 후보들이 평소에 안경을 착용하며, 이준석 또한 과거 안경을 착용하였다.
  • 2025년 5월 19일, 제21대 대통령 선거 책자형 1차 선거공보가 각 유권자들에게 발송되었다. 내용물은 각 후보별 홍보 안내문이 1부씩 첨부되었는데 양대정당 출마자들인 이재명김문수만 책자형 홍보 안내문이며 이준석은 조금 넓은 1장의 접이식 종이 홍보 안내문, 권영국은 A4용지 1장 크기의 홍보 안내문, 나머지(무소속) 후보들인 군소후보들은 손바닥 만한 크기의 홍보 안내문이 각각 첨부되었다.
  • 사퇴를 제외한 최종 후보가 총 5명으로, 이는 민주화 이후 제13대 대통령 선거와 함께 최소 기록이다.
  • 출구조사와 실제 결과 간 차이가 오차범위 바깥으로 벗어나 상당히 크게 난 선거였다. 출구조사에서는 민주당계 정당 후보로는 최초로 이재명 후보가 과반 득표를 달성할 것으로 예측되었고, 반대로 김문수 후보는 40%를 넘지 못할 것으로 예측되었으나 실제로는 이재명 후보가 50%에 미치지 못하는 득표율을 김문수 후보는 40%를 넘는 득표율을 거두었다. 이 선거가 윤석열 대통령 탄핵이라는 특수한 상황에서 치러졌기에 국민의힘 지지자들과 보수 성향의 유권자들이 여론조사와 출구조사에서 본심을 드러내지 않고 실제 투표로 본심을 드러낸 것이 가장 큰 이유다.[81]
  • 15대 대선 이후로 28년만에 9로 끝나는 날에 치러지지 않은 대선이다.[82][83]
  • 연예인 등 일부 유명인들이 특정 후보 및 정당을 공식 지지 선언한 게 아님에도 불구하고 복장이나 행적 면에서 특정 후보 및 정당을 연상케 한다며 공격을 받는 사례가 여럿 발생하였다. #
  • 대부분의 언론사가 개표 시작 전 '사전투표 먼저 개표한다'는 내용의 보도를 하였으나, 실제 개표 과정에서는 개표 후반부에 가서야 사전투표의 개표 결과가 전체 투표 수에 포함되기 시작하였다. ## 때문에 개표 초반에는 방송3사 출구조사 결과와 비교할 때 이재명 후보와 김문수 후보 간의 표차가 크지 않았으며, 극 초반에는 김문수 후보가 이재명 후보를 앞서기도 했다. 개표방송을 진행하던 언론도 '사전투표함보다 본투표함이 먼저 열리고 있다'는 정보를 전달하기는 하였으나, 개표 전 보도 내용과 다르게 왜 사전투표함이 먼저 열리고 있는지에 대한 이유를 전달하지는 않았다. #
    • 사실 투표함이 먼저 열린다고 해서 반드시 먼저 열린 투표함의 개표 결과가 전체 개표 결과에 먼저 집계되는 것은 아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전국단위 선거의 개표에서 개표 결과를 개표 단위별로 공표하는데, 여기서 개표 단위는 하나의 투표소를 의미한다. 때문에 우리가 개표방송 등에서 보는 개표 결과는 개표소에서 표를 하나씩 셀 때 마다 바로 업데이트 되는 것이 아니라, 한 투표소의 투표함에서 나온 표를 모두 개표한 뒤 그 결과를 선관위가 공표할 때마다 업데이트 된다. 예를 들어 서울 종로구 청운효자동 제1투표소에서 나온 표들은 청운효자동 제1투표소의 모든 표가 개표될 때까지 전체 개표 결과에 포함되지 않는다. 사전투표는 각 읍변동 별 관내사전투표소, 그리고 각 시군구별 관외사전투표 전체가 하나의 개표 단위가 된다. 관내사전투표는 읍변동별 사전투표소의 투표소가 각각 하나의 개표단위가 되며, 관외사전투표는 어디에서 투표했던 관계 없이 그 시군구 선거관리위원회로 접수된 모든 관외사전투표가 하나의 개표단위다.
    • 제21대 대선은 거의 절반에 육박하는 유권자가 사전투표를 하였고, 사전투표기간이 모두 평일이었던 탓에 관외사전투표의 비중도 상당히 높았다. 때문에 사전투표함을 먼저 개함했어도 개표해야할 표의 양 자체가 많다보니 사전투표 결과가 개표 후반부에 가서야 집계되기 시작했다. 표가 1,000표 들어 있는 투표함과 10,000표 들어있는 투표함을 비교하면 당연히 10,000표가 들어있는 투표함의 개표가 더 오래걸린다. 지역별로 편차가 크나 일반적인 투표소 투표함에 들어있는 표 수는 수천여표, 적게는 수백표 정도인 경우가 많다. 그러나 관외 사전투표는 대부분의 시군구에서 10,000표 이상이 나온다. 특히나 관외사전투표는 단순히 투표함을 개함하자마자 바로 개표를 시작할 수 있는게 아니라, 회송용 봉투를 뜯어서 그 안에 들어있는 표를 꺼내야 하고 그 과정에서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
    • 즉, 엄밀히 따질 때 일부 언론의 '사전투표함보다 본투표함이 먼저 열리고 있다'는 보도는 사실이 아니다. 투표 종료 후 개표소로 투표함을 옮겨야하는 본투표와 달리 사전투표는 투표마감 시간에 맞추어 표가 아미 개표소에 와있는데 먼저 개표를 시작하지 않을 이유가 없다. 정확히는 사전투표함보다 본투표함의 개표 결과가 먼저 집계되고 있었으며, 사전투표의 비중이 높아진 최근 전국단위 선거 특성상 앞으로도 이러한 추세는 계속 나타날 것으로 보인다.
  • 2025년 7월 22일, 선관위에서 제21대 대선 정당 후보자별 선거비용 지출액과 후원금 모금액을 공개했으며 대략적인 데이터는 다음과 같았다. (단위 : 백 만원)
    기호 후보명 선거비 지출액 후원금 모금액

    1 이재명 53,517 2,931

    2 김문수 44,996 1,162

    4 이준석 2,836 1,286

    5 권영국 990 2,216

    6 구주와 76 -

    7 황교안 861 1,149

    8 송진호 60 -

    여기서 이재명 후보와 김문수 후보는 선거비로 각각 535억과 449억원을 사용했으나 40%가 넘는 득표율을 받아 선거비 전액을 보전받았고, 권영국 후보와 황교안 후보는 낙선하고 사퇴하였으나 선거비 지출액을 넘는 후원금을 모금받은 사실이 알려졌다. 이준석 후보는 28억원을 선거비로 지출하고 12억원을 후원받아 약 15억 5천만원의 손해가 개혁신당에 발생했으나 원내정당의 대선 정당보조금[84]을 그만큼 선관위에서 따로 받았기 때문에 적자는 면한 것으로 알려졌다. #
  • 외국 불법 토토 사이트에서 한국 대선 후보들의 배당을 공개하였는데 배당 순으로 가장 낮은 순위는[85] 이재명, 김문수, 홍준표, 한동훈, 이준석, 나경원, 안철수, 김동연, 조국, 김경수, 권영국, 황교안, 송진호, 구주와, 김건희, 윤석열 순이었다. 배당이 가장 높은 건 윤석열 전 대통령으로 배당이 무려 1000배였다. 김건희도 900배로 높았으며 구주와는 890배의 배당, 송진호는 885배의 배당, 황교안은 860배의 배당, 권영국은 845배의 배당, 김경수는 820배의 배당, 조국은 800배의 배당을 받았으며 김동연은 720배의 배당을, 안철수는 130배의 배당을, 나경원은 116배의 배당을, 이준석은 90배의 배당을 받았다. 가장 낮은 이재명 후보는 3배, 김문수는 5배, 홍준표는 6배, 한동훈은 7배의 배당 등을 받았다.

16.1. 선거 징크스

{{{#!folding [한미 집권여당 및 대통령 비교표 펼치기 · 접기]
공화당/보수정당 민주당/민주당계 정당
미국 대한민국
1993년 빌 클린턴 김영삼
1994년 빌 클린턴 김영삼
1995년 빌 클린턴 김영삼
1996년 빌 클린턴 김영삼
1997년 빌 클린턴 김영삼
1998년 빌 클린턴 김대중
1999년 빌 클린턴 김대중
2000년 빌 클린턴 김대중
2001년 조지 W. 부시 김대중
2002년 조지 W. 부시 김대중
2003년 조지 W. 부시 노무현
2004년 조지 W. 부시 노무현
2005년 조지 W. 부시 노무현
2006년 조지 W. 부시 노무현
2007년 조지 W. 부시 노무현
2008년 조지 W. 부시 이명박
2009년 버락 오바마 이명박
2010년 버락 오바마 이명박
2011년 버락 오바마 이명박
2012년 버락 오바마 이명박
2013년 버락 오바마 박근혜
2014년 버락 오바마 박근혜
2015년 버락 오바마 박근혜
2016년 버락 오바마 박근혜
2017년 도널드 트럼프 문재인
2018년 도널드 트럼프 문재인
2019년 도널드 트럼프 문재인
2020년 도널드 트럼프 문재인
2021년 조 바이든 문재인
2022년 조 바이든 윤석열
2023년 조 바이든 윤석열
2024년 조 바이든 윤석열
2025년 도널드 트럼프 이재명
}}}
1990년대부터 한국과 미국의 집권여당의 성향이 교대로 나타났다. 즉 한국에서 보수정당이 집권하면 미국은 민주당이 여당이 되고, 미국 집권당이 보수정당인 공화당이면 한국에선 민주당계 정당이 집권한다는 뜻이다. 2024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공화당도널드 트럼프가 승리하고 해당 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의 이재명이 당선됨에 따라 이는 유지되었다.
  • 경기도지사 출신 후보는 대선에서 낙선한다 - 종료
    역대 경기도지사 중 대권에 도전한 인물들은 모두 경선[88]이나 본선[89]에서 고배를 마셔야 했다. 하지만 이재명의 당선으로 이 징크스는 깨졌다. 유력한 양당 모두 경기도지사 경력이 있는 후보를 앞세웠기 때문에 21대 대선에서 이 징크스가 깨지지 않는 게 더 어려웠다.
  • 현역 국회의원 신분으로 대선에 출마한 후보는 낙선한다 - 종료
    제14대 대통령 선거 이후 현직 국회의원 신분으로 대선에 출마했던 후보는 전부 낙선한다는 징크스다. 이 징크스에 희생됐던 인물로는 정주영, 문재인[90], 유승민, 심상정, 조원진 등이 있다. 이 징크스 때문에 대권주자로 꼽히는 정치인들은 대선 전 총선에 출마할 때 사퇴에 따른 부담이 없는 비례대표 의원직을[91] 가지고 있다가 선거 직전 사퇴하고 출마하거나[92] 심지어 지역구 의원직을 사퇴하고 선거에 출마하는 것이 전략으로[93] 받아들여져 왔다. 계양구 을 현역 의원인 이재명 후보와 화성시 을 현역 의원인 이준석 후보가 나란히 본투표일까지 의원직을 사퇴하지 않고 대선에 완주했는데 계양구 을 국회의원이던 이재명이 당선되면서 현역 국회의원 후보의 낙선 징크스가 깨졌다. 참고로 21대 대통령 당선에 따른 당연퇴직으로 궐위가 된 국회의원직 보궐선거는 1년 뒤에 치러진다.
  • 충청북도 옥천군·충청남도 금산군에서 승리한 후보가 당선된다 - 종료
    저 두 곳에서 이기면 대선에서 승리를 거둔다는 징크스다. 그러나 개표 결과 두 지역 다 김문수 후보가 승리했지만 전체 선거에서는 낙선하면서 1952년 이래 처음으로 징크스가 깨졌다. 이로서 기초자치단체 단위의 대한민국 직선제 대선 100% 적중지역은 모두 사라졌다.[94][95] 사실 옥천과 금산은 보수정당의 경합우위 지역으로서, 민주당 후보가 대선에서 이긴다면 얼마든지 징크스가 깨질 가능성이 있었다. 김대중, 노무현 후보가 승리를 거둔 15대, 16대 대선에서는 민주당이 대전-충남 쪽 표심을 휘어잡을 확실한 모멘텀들(DJP 연합, 행정수도 이전 공약)이 있었지만 이후 대선에서는 특별히 없던 점도 한몫하고, 문재인 후보가 대선에서 이길 때는 워낙에 득표율차가 컸고 보수 진영이 크게 분열되었기 때문에 징크스를 겨우 이어나갔다는 것을 보면, 사실 이 징크스는 언제 깨져도 이상하지 않았다. 이번 대선에서 이재명 후보가 예상보다 작은 득표율차로 이기면서 징크스가 깨진 것이다.[96]
  • 같은 성씨의 대통령은 최대 2명만 나온다 - 종료
    역대 대선에서 같은 성씨의 대통령은 세 명 이상 안 나온다는 징크스다. 만약 이재명 후보나 김문수 후보, 혹은 이준석 후보가 당선되면 이 징크스는 끝난다.[97] 이 징크스는 상술한 경기도지사 징크스보다 21대 대선에서 제일 깨질 가능성이 높다. 이재명 후보의 당선으로 이씨 성을 가진 대통령이 3명[98]이 되면서 파괴되었다. 부녀지간이라 당연히 본관이 같은 박정희-박근혜를 제외하고 모든 대통령의 본관이 다른 징크스도 있었는데,[99] 이재명이 당선되면서 경주 이씨는 최초로 혈연관계가 아닌 2명의 대통령을 배출한 가문이 되었다.[100] 한국의 성씨가 타국에 비해 다양하지 않은 만큼 이 징크스는 언젠가는 깨질 운명이었다.
  • 1961년 이후에는 19X0년대생마다 두 명씩 대통령이 배출된다 - 유지
    - 박정희, 최규하: 1910년대생
    - 김영삼, 김대중: 1920년대생
    - 전두환, 노태우: 1930년대생
    - 노무현, 이명박: 1940년대생
    - 박근혜, 문재인: 1950년대생
    - 윤석열, 이재명: 1960년대생

    1960년대생인 이재명 후보가 당선되면서 이 징크스는 유지되었다. 1963년생인 권영국 후보 및 1980년대생인 이준석 후보가 당선되었더라도 이 징크스는 유지됐다. 이때는 19X0대생마다 두 명씩 배출되므로 이준석 후보가 당선되었다면 후에 1960년대~1980년대생 대통령이 나와야 이 징크스가 유지된다.
  • 국무총리는 대권 도전에 실패한다. - 유지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래로 전·현직 국무총리가 직접선거를 통해서 대통령이 된 사례가 단 한 번도 없었다. 제10대 대통령 선거에서 당선된 최규하10.26 사건 이후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 자격으로 선거에 출마했으나 당시는 간접선거 체제인 체육관 선거로 당선됐다. 역대 국무총리 출신 후보 중 이회창은 3회 연속 대선에서 낙선했고, 대통령 권한대행까지 했던 고건과 한덕수는 출마조차 하지 못했다. 당내 경선까지 출마했던 주요 도전자들까지 합치면 김종필, 이한동, 이수성, 한명숙, 이해찬, 정세균, 이낙연 등도 포함된다. 낮은 확률로 21대 대선에서 황교안이 당선되면 이 징크스는 깨졌을 것이지만, 6월 1일 황교안 후보가 돌연 사퇴하면서 이론적인 가능성조차 없어졌다.
  • 대선 승리 경험이 있는 정당은 같은 당명으로 다시 승리하지 못한다 - 종료
    1987년 민주화 이후 같은 이름의 정당이 대선에서 2승을 거둔 사례는 없었다.[101] 그간 민주당계민자당계 모두 정당 명칭이 자주 바뀌곤 했으며, 그나마 10년이 넘는 역사를 지녀서 두 번 이상 대선을 치른 사례조차도 민주당계의 더불어민주당과 민자당계의 한나라당 뿐이나 두 정당 모두 1회만 승리하는 데 그쳤다.[102] 더불어민주당이 당명을 변경하지 않고 재집권에 성공하며 이 징크스는 깨졌다.[103]


[1] 기호 6번 구주와 후보, 기호 7번 황교안 후보는 사퇴.[2] 대통령공고 제361호. 본래 대한민국 대통령 선거공직선거법에 따라 법정화되어 공고는 필요하지 않게 되었다. 2017년 제19대 대통령 선거 이후 8년 만에 궐위로 인한 선거가 실시 됨에 따라 대통령 선거가 공고되었다.[3] 가장 비슷한 날짜에 치러진 선거는 1956년 5월 15일에 치러진 제3대 대통령 선거이다. 민주화 이후로는 마찬가지로 궐위로 인한 선거인 제19대 대통령 선거로, 탄핵 심판 선고가 3월 10일이었기에 5월 9일에 치러졌다. 이때는 보편적으로 '장미 대선'이라고 말했었다. #[4] 2017년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으로 치러진 제19대 대통령 선거에서 당선된 문재인 전 대통령도 당선 직후 인수위 구성 없이 바로 업무에 돌입했고, 그에 대한 보완책으로 정권 초기에 국정기획자문위원회를 운영한 적이 있어 이번에 출범하는 새 정부도 이런 전례를 참고하여 국정기획위원회를 설치하였다.[5] 애초에 대통령의 임기는 헌법에서 규정하고 있으므로 하위법인 공직선거법이 이를 거스르는 입법 자체를 할 수 없다.[6] 제20대 대통령 선거에서 윤석열 후보와 맞붙었으나 0.73%p 차이로 낙선했었다. 이후 2022년, 2024년 당대표 경선 승리로 연임 민주당 당대표가 되었는데, 김대중 전 대통령 이후 첫 연임 당대표다.[7] 이 파기환송 재판에서 만약 벌금 100만 원 이상의 형이 확정되면 이재명 후보는 피선거권이 박탈된다. 100만 원 미만 형이면 피선거권은 유지된다.[8] 당선 이후 6월 9일 담당 재판부에서 기일을 다시 추후에 지정하겠다고 하면서 대통령 임기 내 재판을 받을 가능성은 사실상 사라졌다.[9] 대법원의 판결이 대선 기간 중 짧은 시간에 갑작스럽게 선고된 것을 대선 개입으로 비판하는 입장과 정당한 선고라며 더불어민주당의 후속 조치를 삼권 분립 부정, 방탄입법으로 비판하는 입장이 치열하게 대립하고 있다.[10] 왜 조국혁신당이 3번이 되냐면 현재 공직선거법 규정에 따라 대한민국 대통령 선거 후보자의 기호는 국회 내 의석수를 기준으로 각 정당에 순서대로 배정되는데, 의석수가 3번째로 많은 곳이 조국혁신당이어서 자연히 3번은 조국혁신당 후보에게 부여될 예정이었기 때문이다.[11] 2월 2일 출마 선언, 3월 중순 선출, 선거일 확정 직후인 4월 9일부터 예비후보로 등록.[12] 이준석의 지지 기반이 민주당과 윤석열을 모두 거부하는 양비론자들임을 감안하면 당연하다. 실제로 여론조사상으로 이준석 후보 지지자의 표는, 이준석이 없다고 가정해도 국민의힘 쪽으로 딱히 쏠리지 않고 거의 반반으로 갈리는 양상을 보이고 있기에 실익이 없다는 분석이 있다. # 실제 2024년 22대 총선 출구조사 당시에도 비례대표 개혁신당 지지자의 지역구 표심은 거의 반반으로 갈라졌다.[13] 그러나 제3지대 특성상 높은 비호감도, 사표론 등 여러 문제 때문에 일정 수준 이상의 지지율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30대 이상부터는 남성들조차 기존 국민의힘 지지자 일부가 이동한 수준이며, 40대 이상부터는 남녀 불문 유의미한 지지세가 없다.[14] 정의당이 2025년 5월 5일에 당원 투표를 통해 선거용 당명을 민주노동당으로 변경하였다.[15] 참고로 나머지 전직 민선 경기도지사들은 현직인 김동연과 후보로 나온 이재명을 제외하면 모두 김문수 지지 선언을 하고 평택에서 유세까지 도와줬다. 이는 이재명과 김동연을 제외한 지사 역임자들이 모두 보수계열 출신이라 가능했던 것이다. 임창열은 1998년 2회 지선에서 새정치국민회의 소속으로 경기도지사에 당선되었지만, 문민정부에서 경제부총리를 지냈던 관료 출신이다.[16] 초일산입이므로 다음 날까지 포함한다.[17] 피선거권은 초일산입이 불가능하므로 그 당일 출생자까지만 가능하다. 피선거권을 새로 얻은 인물로는 1985년 3월 31일생인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가 대표적이다.[18] 2024년 하반기 재보궐선거, 2025년 재보궐선거를 한 지역들은 이들도 선거권을 가졌으나, 2007년 4월 4일생부터는 모든 지역에서 첫 선거다.[19] 2004년 3월 11일생부터 2004년 6월 2일생까지는 2022년에 실시된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가 첫 선거며, 2004년 6월 3일생부터 2006년 4월 11일생까지는 2024년에 실시된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처음으로 선거권이 주어졌다.[20]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당내경선 관리 업무를 위탁하는 경우에 한한다. 정당이 자체적으로 선거관리위원회를 꾸려서 실시하는 경선의 기한에 대해서는 공직선거법에서 규정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후보자등록마감일의 후보자등록마감 시각이 되기 전까지 할 수 있으며 어떤 식으로든 후보자 등록 시 '후보자추천서'를 제출하면 된다.[21] 공직선거법 제53조 제1항 단서에 따라 다음과 같은 직책을 보유한 자는 선거에 출마하려면 직책에서 사직해야 한다.

1) 국가, 지방공무원(정당 가입이 가능한 공무원(정당법 제22조 단서 참조)은 예외)
2) 각급선거관리위원회위원 또는 교육위원회의 교육위원
3) 기타 법령의 규정이 정한 공무원
4) 정부가 100분의 50 이상의 지분을 가지고 있는 공공기관의 상근 임원
5) 노동조합의 상근 임원과 조합의 중앙회장
6) 지방공사와 지방공단의 상근 임원
7) 정당 가입이 불가능한 사립학교교원
8) 신문, 정기간행물, 방송사업 경영자 또는 언론인
9)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출연 또는 보조를 받는 단체의 대표자

다만 현직 국회의원의 경우 해당 조항이 적용되지 않는다.(공직선거법 제53조 제1항 단서)
[궐위] 궐위로 인한 선거이므로 공직선거법 제155조 제1항[23]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6월 4일 오전 전체회의를 열어 당선자를 확정할 계획이다. 노태악 중앙선거관리위원장이 'OOO당의 OOO을 대통령 당선인으로 결정한다'고 선포하며 의사봉을 치는 순간 당선이 확정되며, 별도의 사건이 없는 한 앞으로의 대통령은 모두 6월 4일에 취임식을 열고 임기를 시작한다. 참고로 같은 궐위로 인한 선거였던 19대 대선 당시에는 5월 9일 선거 직후 5월 10일 오전 8시 9분부로 임기를 개시했고, 12시에 취임식이 열렸다.[24] 사전투표 조사 수행 기간은 2025년 5월 31일 ~ 6월 1일(예정). 11,500명 표본(이 중 약 4000~5000여 명 정도가 사전 투표자로 예상됨) 무선 가상번호 100% 전화 면접조사로 이루어졌다.[25] 특히 이 선거 조기 시행의 원인을 제공한 국민의힘세계 최초로 탄핵당한 대통령을 2명이나 배출한 정당이라는 오명을 뒤집어썼기 때문에 국민의힘 지지자들의 상당수가 자신의 본심을 여론조사 및 출구조사를 통해 드러내기가 더욱 꺼려졌을 수밖에 없었을 것으로 여겨졌다.[26] ±0.2%[27] 방송사 예측조사는 아니지만, 리얼미터 예측조사에서는 이재명 후보 50.1%, 김문수 후보 41.5%로 예상되어 상대적으로 실제 득표율과 근접한 예측치가 제시되었다. 다만 이 예측조사 역시 이재명 후보가 과반을 득표할 것이라는 수치를 발표해, MBN 예측조사에 비해 정확도가 떨어졌다.[28] 17대 대선의 이명박 후보(출구조사 50.3%, 실제 48.7%)나 18대 대선의 박근혜 후보(출구조사 50.1%, 실제 51.55%) 및 문재인 후보(출구조사 48.9%, 실제 48%)처럼 1~2%포인트 수준의 오차는 종종 발생해 왔다. #[29] 사전투표자를 대상으로 한 여론조사에서 대략 67(이재명) 대 20(김문수) 대 7(이준석) 정도의 수치가 나왔다고 한다. 사전투표는 현행법 상 직접 출구조사를 시행할 수 없기 때문에, 전화 여론조사 등을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출구조사 예측치에 반영할 수밖에 없다.[30] 고령층의 더불어민주당 지지율이 높은 지역 특성상 호남에서는 통념과는 달리 사전투표가 본투표보다 상대적으로 보수적인 성향을 나타낸다.[31] 투표 신청 재외국민 선거인단 258,254명, 승선 선거인단 3,051명[A] 사전투표, 선상투표, 거소투표, 재외선거 투표자 수 합산 시작. 누적 투표수에 포함되어 반영됨.[33] 사전투표, 선상투표, 거소투표, 재외선거 투표자 합산 시 17,396,244명[궐위] [궐위] [A] [궐위] [궐위] [B] 일반 투표 시간 종료 직후부터 19시 30분까지 진행된 코로나19 확진자 투표가 포함된 수치.[B] [41] 조국혁신당·진보당·기본소득당·사회민주당과 연대 및 후보 단일화. 가가국민참여신당·국민주권당·소나무당·미래당·한국농어민당의 지지.[42] 새미래민주당과 연대. 가나반공정당코리아·새누리당·우리공화당·자유민주당·자유통일당, 무소속 황교안 후보의 지지.[43] 국민연합의 지지.[44] 노동당·녹색당과 연대, 사회대전환 연대회의 구성 및 단일 후보 선출.[45]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 지지.[46] 당선 확률 95% 이상.[47] 당선 확률 99% 이상.[48] 남은 표를 모두 2위 후보가 가져가도 1위 후보를 넘어설 수 없을 때 확정 판결이 나온다. 또한 이때 이미 국민의힘 우세 지역이었던 TK, PK 지역의 개표가 모두 끝났기에 사실상 표차가 더 벌어질 일만 남은 상태였다.[49] 이 날은 비상계엄을 한 지 정확히 6개월이 되는 날이기도 하다.[50] 나라에 통째로 12.3 비상계엄 급의 변고가 발생하여 전국의 지방선거를 하지 않는 이상 이 일정에 변동이 생길 가능성이 거의 없다.[51] 강서구는 서울특별시장 선출, 남구는 구청장 선출.[52] 강서구는 2024년 하반기 재보궐선거에서 서울특별시교육감도 선출했다.[53] 울산광역시교육감 선출. 나 선거구(신정4동, 옥동) 주민들은 구의원까지 새로 선출했다.[54] 구청장 선출.[55] 국민투표는 시행 이전에 법률 개정을 통해 위헌 요지를 없애는 것이 우선으로 진행되어야 한다.[56] 공직선거법 제34조 제1항에 의해 임기 만료일 전 70일 이후 첫 번째 수요일(헌법 제68조 제1항에서는 대통령 임기 만료 40~70일 전)에 차기 대선을 치르도록 되어있다. 21대 대선일이 6월 3일이라 임기만료일 전 70일이 3월 25일인 관계로 이후 첫 번째 수요일인 3월 25~31일 사이 수요일, 3월 27일이 22대 대선일이 된다. 여담으로 직전 선거 기준으로는 2월 28일(평년)/2월 29일(윤년)~3월 6일 사이 수요일에 치러지는 것이었으나 3.1절 때문에 3월 3~9일 사이의 수요일이 되었고 실제로는 3월 9일밖에 없었다.[57] 4로 나누었을 때 나머지가 2가 되는 해며 동계올림픽과 FIFA 월드컵이 열리는 해이다.[58] 만약 개헌으로 인한 대통령 재임기간 변경이나 후임 대통령들의 탄핵, 사망, 궐위 등으로 인한 조기 대선이 없다면 2040년에는 3월 28일에 24대 대선이, 4월 11일에 26대 총선이 치러진다.[59] 8년 전 제19대 대통령 선거 때도 화요일이 선거일로 지정되고 목요일과 금요일이 사전투표일이었으나, 이 중 금요일은 어린이날로 공휴일이었다. 비단 대선 뿐만 아니라 총선, 지방선거, 재보선 등 다른 선거들도 모두 통틀어서 사전투표가 평일에만 치러지는 것은 이번 선거가 최초다.[60] 대한민국 역사에서 연임을 했던 것은 이승만박정희 뿐인데, 이들은 중임제(2선)이었던 것을 각각 사사오입 개헌3선 개헌/유신헌법으로 연임 횟수 제한을 철폐하기까지 했다. 의외로 전두환5공 헌법에 현직 대통령의 중임개헌을 막고 7년 단임제로 하는 조항을 넣었는데, 사실 6월 항쟁으로 물러나며 도입한 현행 6공 헌법에도 국가원로자문회의라는 기구를 넣는 등 막후에서 실권을 행사하려고 계획했다. 노태우에게 버려져 사문화되면서 물거품이 되었지만.[61] 여담으로 2022년에 치러진 20대 대선은 헌정 사상 첫 호랑이띠 해에서 치러진 대선이다.[62] 양띠 해 대선은 특별한 변수가 없는 한 빨라야 2075년이 되어야 가능할 전망이다.[63] 설날 전까지는 전년도와 띠가 같으나, 현재까진 설날 전에 대선이 치뤄진 적이 없고, 1981년 2월 25일이 가장 빠르다.[64] 2000년 2월 이전까지는 재보궐선거 일정이 정례화되지 않아 14, 15대 대선과 함께 치러진 재보궐선거는 확인되지 않았으며, 재보궐선거 일정의 정례화 이후의 16~20대 대선은 대통령 선거와 함께 재보궐선거가 치러졌다. 총선, 지방선거를 포함시킨다면 총선은 2008년 18대 총선, 지방선거는 2014년 6회 지방선거가 재보선을 치르지 않은 마지막 선거였다. 2008년 상반기 재보선은 6월에, 2014년 상반기 재보선은 7월에 따로 치러졌기 때문이다.[65] 6·7대 대선 당시 민주공화당과 신민당, 20·21대 대선의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 그리고 이 두 번 모두 한쪽의 후보가 2회 연속 출마했는데, 전자는 민주공화당 박정희, 후자는 더불어민주당 이재명이다.[66] 공교롭게도 16대 대선 당시 원외정당 후보 신분으로 참석한 후보는 같은 당명이자 민주노동당의 직계 전신의 권영길 후보였다.[67] 국민의힘 후보인 김문수는 2006년에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와 2010년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 재선되어서 2014년 6월까지 재임했고, 더불어민주당 후보인 이재명은 2018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경기도지사를 역임했다. 이에 따라 그 사이의 2014년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당선된 남경필 전 경기도지사는 전임 도지사와 후임 도지사가 맞붙는 장면을 보게 되었다.[68] 역대 경기도지사 출신으로 대선에 도전한 사람은 이인제, 손학규, 남경필이 있었는데 당시 이인제는 이회창한테 패해 경선탈락해 국민신당을 창당해 출마했지만 낙선했으며, 손학규는 17대 정동영, 18대 문재인, 19대 안철수에게 각각 패해 경선탈락한 바 있고, 남경필은 경선에 나왔으나 유승민에게 패해 탈락한 바 있다.[69] 일부 사람들은 '21세기에 제21대 선거가 되어서야 경기도지사 출신 대통령이 탄생하는구나'면서 말장난을 치기도 한다.[70] 즉 김문수는 이준석의 아버지뻘, 이재명은 이준석의 삼촌뻘이 될 정도로 나이차가 상대적으로 많이 난다. 물론 이게 거의 중요하지는 않지만 여담으로 보면 이준석은 아버지와 삼촌같은 사람들과 대결을 한 셈이다. 이들 양당 후보 모두 만 18세에 대학교에 들어갔기에 이재명과 김문수가 대학교에 들어갔을 때 이준석은 아직 태어나지도 않았다.[71] 박근혜는 대구 출생이지만 그 당시 대구는 경상북도 대구시였다.[72] 즉, 1993년생 이후는 첫 경상북도 출생 남성 대통령을 보는 것이다.[73] 이준석, 구주와, 송진호가 있다. 이조차도 현역 만기제대 출신자는 구주와 밖에 없고, 이준석과 송진호는 모두 보충역으로 병역을 마쳤다. 이준석은 산업기능요원, 송진호는 방위병으로 복무했다.[74] 이재명, 김문수, 권영국, 황교안이다. 이 중 이재명, 김문수, 황교안은 질병 및 신체장애로, 권영국은 산업기능요원 복무 중 수형으로 인해 면제받았다.[75] 다만 국민의힘 경선에 참가한 정치인 중 유정복안철수는 장교 출신이다.[76] 직전 당대표인 이재명의 대통령 선거 출마에 따른 사직[77] 직전 당대표인 한동훈12.3 비상계엄 직후 지도부 붕괴에 따른 사직[78] 직전 당대표인 허은아의 당대표 해임[79] 직전 당대표인 장경동의 기독교한국침례회 총회장 선거 출마로 인한 사직[80] 송영길 - 더불어민주당 전당대회 돈봉투 의혹 사건에 따른 책임으로 탈당, 이준석 -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 징계 사건을 비롯한 친윤과의 마찰로 탈당했다.[81] 이것이 대표적으로 또 드러난 것이 바로 지난 22대 총선이였는데, 당시 출구조사에서도 더불어민주당이 190여석을 가져가고, 국민의힘은 개헌저지선인 100석 아래로 내려갈 걸로 예측되었지만, 일부 경합지역에서 출구조사가 대부분 빗나가면서 틀린 곳들 중 울산 동구를 빼면 전부 민주당의 경합예측 지역구가 국민의힘 당선이었으며 심지어 서울 마포갑과 경남 창원진해 두 곳은 아예 민주당 우세 예측이였음에도 국민의힘이 이겼다. 결국 더불어민주당은 175석, 국민의힘은 108석을 가져갔고, 국민의힘은 가까스로 개헌 저지선 확보에 성공했다.[82] 16~18대 대선은 모두 12월 19일이였으며, 19대 대선은 5월 9일, 20대 대선은 3월 9일에 치러졌다.[83] 물론 윤석열 대통령이 탄핵되지 않았어도 2027년 3월 3일에 21대 대선이 치러질 예정이였다. 덤으로 박근혜 전 대통령도 탄핵되지 않았다면 2017년 12월 20일에 19대 대선이 치러질 예정이였다.[84] 15억 6500만원. 참고로 의석비례로 받았기 때문에 더불어민주당은 265억, 국민의힘은 242억원을 받았다. #[85] 배당이 낮을 수록 당선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하는 정배이다.[86] 더불어민주당, 국민의힘, 개혁신당[87] 16대(노무현-이회창), 18대(박근혜-문재인)[88] 이인제 - 제15대 대통령 선거 신한국당 경선 탈락, 제16대 대통령 선거 새천년민주당 경선 탈락, 제19대 대통령 선거 자유한국당 경선 탈락 / 손학규 - 제17~19대 대통령 선거 당내경선 탈락(각각 대통합민주신당, 민주통합당, 국민의당) / 김문수 - 제18대 대통령 선거 새누리당 경선 탈락 / 김동연 - 제21대 대통령 선거 더불어민주당 경선 탈락[89] 이인제 - 제15대 대통령 선거(신한국당 경선 탈락 후 신한국당을 탈당해 국민신당을 창당해 제15대 대통령 선거에 출마했지만 3위로 낙선한 것은 물론이고 신한국당의 후신인 한나라당 이회창 후보가 2위로 낙선하고 새정치국민회의 김대중 후보가 어부지리로 당선될 수 있게 해 주었다.), 제17대 대통령 선거 / 이재명 - 제20대 대통령 선거[90] 사상구 국회의원 신분으로 출마한 제18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낙선했고, 당선된 제19대 대통령 선거 때에는 현직 국회의원이 아니었다.[91] 비례대표는 본인이 사퇴하면 다음 순번으로 승계되므로 의석 수의 변화가 없다.[92] 김영삼박근혜가 각각 제14대 대통령 선거제18대 대통령 선거 직전 전국구 의원직과 비례대표 의원직에서 사임한 후 당선됐다. 비례대표 의원직을 사퇴했음에도 낙선한 사례가 있는데 15대와 16대 대선을 앞두고 의원직을 사퇴했던 이회창.[93] 제19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안철수노원구 병 의원직을 사퇴했으나 낙선했고, 제20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이낙연종로구 의원직을 사퇴했으나 당내 경선에서 탈락했다.[94] 일반구까지 범위를 넓힐 경우 청주시 흥덕구와 청주시 상당구가 남아있다.[95] 여담으로 광역자치단체까지 범위를 넓혀보면 제주도가 한때 직선제 대선 100% 적중지역이었지만 20대 대선에서 윤석열이 당선될 때 제주도는 이재명의 손을 들어주어 100% 적중 타이틀을 상실했다.[96] 여담으로 비호남권 군 지역으로만 한정 시, 100% 적중은 실패했지만 이 둘은 군청사가 있는 읍내 지역(군 지역의 이름을 딴 읍)에서 이재명 후보가 승리한 몇 안되는 지역이다. 다른 지역들로만 봐도 옥천군, 금산군 이외에 증평군, 진천군 이외에는 없다. 음성군은 이재명 후보가 승리하며 맞추긴 했으나 음성읍에서는 김문수 후보가 승리하였고 더 큰 금왕읍에서 승리하였다. 홍성과 서천 또한 홍성읍, 서천읍에서는 패배하였으나, 더 큰 홍북읍, 장항읍에서 승리하였다. 다만 전체로 보면 김문수 후보에게 패배했지만.[97] 승만, 명박 / 영삼, 대중[98] 이승만, 이명박, 이재명.[99] 본관 징크스는 만약 김문수 후보가 승리했다면 유지되었다. 김영삼은 김녕 김씨, 김대중은 김해 김씨, 김문수는 경주 김씨로 3명의 본관이 모두 다르다.[100] 다른 경주 이씨 대통령은 이명박이다. 이승만은 전주 이씨다.[101] 13대 민주정의당, 14대 민주자유당, 15대 새정치국민회의, 16대 새천년민주당, 17대 한나라당, 18대 새누리당, 19대 더불어민주당, 20대 국민의힘[102] 더불어민주당은 2017년 제19대 대선에서 문재인 후보가 당선됐으나 2022년 제20대 대선에서는 이재명 후보가 낙선했다. 한나라당은 1997년 제15대 대선과 2002년 제16대 대선에서 이회창 후보가 둘 다 낙선하고 2007년 제17대 대선에서 이명박 후보가 당선됐다. 박근혜 후보가 당선될 때에는 새누리당이었다.[103] 그나마 차이점이라 한다면 당 색깔이 살짝 바뀌었는데, 바로 문재인 정부 시기와 이재명 정부의 당 색깔은 다르다. 본래 2015년부터 2024년까지 쓰였던 당 색깔은 연한 파란색이었으나 2024년 초부터 당명 로고가 바뀌는 동시에 당 색깔은 더더욱 진한 색깔로 바뀌면서 만약 지난 20대 대선에서 이재명이 당선되었다면 이것마저 유지되었을 것이다.

#!if version2 == null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제20대 대통령 선거|제20대 대통령 선거]]}}}{{{#!if external != "o"
[[제20대 대통령 선거]]}}}}}}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제20대 대통령 선거?uuid=fd87bd69-fd04-4754-ae62-0e76ce87aa2e|r2997]]}}}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제20대 대통령 선거?uuid=fd87bd69-fd04-4754-ae62-0e76ce87aa2e#s-|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https://namu.wiki/history/제20대 대통령 선거?from=2997|이전 역사 보러 가기]]}}}
#!if version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 left; padding: 0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제20대 대통령 선거|제20대 대통령 선거]]}}}{{{#!if external != "o"
[[제20대 대통령 선거]]}}}}}}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제20대 대통령 선거?uuid=fd87bd69-fd04-4754-ae62-0e76ce87aa2e|r2997]]}}}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제20대 대통령 선거?uuid=fd87bd69-fd04-4754-ae62-0e76ce87aa2e#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제20대 대통령 선거?from=2997|이전 역사]])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 == null
'''uuid2 not found'''}}}{{{#!if uuid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 == null
'''uuid3 not found'''}}}{{{#!if uuid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 == null
'''uuid4 not found'''}}}{{{#!if uuid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 == null
'''uuid5 not found'''}}}{{{#!if uuid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6 == null
'''uuid6 not found'''}}}{{{#!if uuid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7 == null
'''uuid7 not found'''}}}{{{#!if uuid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8 == null
'''uuid8 not found'''}}}{{{#!if uuid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9 == null
'''uuid9 not found'''}}}{{{#!if uuid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0 == null
'''uuid10 not found'''}}}{{{#!if uuid1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1 == null
'''uuid11 not found'''}}}{{{#!if uuid1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2 == null
'''uuid12 not found'''}}}{{{#!if uuid1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3 == null
'''uuid13 not found'''}}}{{{#!if uuid1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4 == null
'''uuid14 not found'''}}}{{{#!if uuid1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5 == null
'''uuid15 not found'''}}}{{{#!if uuid1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6 == null
'''uuid16 not found'''}}}{{{#!if uuid1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7 == null
'''uuid17 not found'''}}}{{{#!if uuid1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8 == null
'''uuid18 not found'''}}}{{{#!if uuid1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9 == null
'''uuid19 not found'''}}}{{{#!if uuid1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0 == null
'''uuid20 not found'''}}}{{{#!if uuid2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1 == null
'''uuid21 not found'''}}}{{{#!if uuid2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2 == null
'''uuid22 not found'''}}}{{{#!if uuid2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3 == null
'''uuid23 not found'''}}}{{{#!if uuid2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4 == null
'''uuid24 not found'''}}}{{{#!if uuid2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5 == null
'''uuid25 not found'''}}}{{{#!if uuid2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6 == null
'''uuid26 not found'''}}}{{{#!if uuid2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7 == null
'''uuid27 not found'''}}}{{{#!if uuid2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8 == null
'''uuid28 not found'''}}}{{{#!if uuid2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9 == null
'''uuid29 not found'''}}}{{{#!if uuid2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0 == null
'''uuid30 not found'''}}}{{{#!if uuid3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1 == null
'''uuid31 not found'''}}}{{{#!if uuid3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2 == null
'''uuid32 not found'''}}}{{{#!if uuid3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3 == null
'''uuid33 not found'''}}}{{{#!if uuid3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4 == null
'''uuid34 not found'''}}}{{{#!if uuid3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5 == null
'''uuid35 not found'''}}}{{{#!if uuid3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6 == null
'''uuid36 not found'''}}}{{{#!if uuid3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7 == null
'''uuid37 not found'''}}}{{{#!if uuid3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8 == null
'''uuid38 not found'''}}}{{{#!if uuid3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9 == null
'''uuid39 not found'''}}}{{{#!if uuid3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0 == null
'''uuid40 not found'''}}}{{{#!if uuid4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1 == null
'''uuid41 not found'''}}}{{{#!if uuid4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2 == null
'''uuid42 not found'''}}}{{{#!if uuid4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3 == null
'''uuid43 not found'''}}}{{{#!if uuid4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4 == null
'''uuid44 not found'''}}}{{{#!if uuid4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5 == null
'''uuid45 not found'''}}}{{{#!if uuid4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6 == null
'''uuid46 not found'''}}}{{{#!if uuid4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7 == null
'''uuid47 not found'''}}}{{{#!if uuid4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8 == null
'''uuid48 not found'''}}}{{{#!if uuid4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9 == null
'''uuid49 not found'''}}}{{{#!if uuid4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0 == null
'''uuid50 not found'''}}}{{{#!if uuid5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

17. 둘러보기

파일:대한민국 투표 도장 문양(흰색 테두리).svg 제21대 대통령 선거 선거대책기구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005BA6,#FFC224> 정당 후보 이름 비고
파일:더불어민주당 아이콘 흰색.svg 이재명 진짜 대한민국 선대위 당선
파일:국민의힘 흰색 아이콘.svg 김문수 정정당당 선대위
파일:개혁신당심볼투명.png 이준석 개혁신당 선거대책본부
파일:민주노동당(2025년) 아이콘_노란색 배경.svg 권영국 사회대전환 선대위
파일:자유통일당심볼투명.png 구주와 - 사퇴
황교안 비젼 캠프 사퇴
송진호 -
}}}}}}}}}}}} ||

파일:대한민국 투표 도장 문양(흰색 테두리).svg 제21대 대통령 선거 정당별 상황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005BA6,#FFC224> 정당 상황 후보
더불어민주당 <colbgcolor=#f8f8f8,#222427>대선후보 등록
2025년 4월 27일 경선
이재명
국민의힘 대선후보 등록
2025년 5월 3일 경선
2025년 5월 10일 재선거
김문수
조국혁신당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 지지
2025년 4월 27일 지지 선언
개혁신당 대선후보 등록
2025년 3월 18일 경선
이준석
진보당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 지지
2025년 4월 19일 경선
2025년 5월 9일 단일화
김재연
기본소득당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 지지
2025년 5월 7일 지지 선언
사회민주당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 지지
2025년 4월 14일 지지 선언
가가국민참여신당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 지지
2025년 5월 6일 지지 선언
가나반공정당코리아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 지지
2025년 5월 10일 지지 선언
국민연합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 지지
2025년 4월 28일 추대
2025년 5월 8일 후보 사퇴
2025년 5월 8일 지지 선언[1]
2025년 5월 14일 지지 선언[2]
2025년 5월 18일 후보 제명[3]
염안섭
국민주권당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 지지
2025년 5월 12일 지지 선언
노동당 민주노동당 권영국 후보 지지
2025년 4월 11일 3당 정당연합 구성
녹색당
미래당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 지지
2025년 5월 20일 지지 선언
민주노동당 대선후보 등록
2025년 4월 30일 경선
권영국
민주평화당 불출마 선언
2025년 4월 29일 입장 발표
새누리당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 지지
2025년 5월 12일 지지 선언
새미래민주당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 지지
2025년 4월 28일 추대
2025년 5월 10일 후보 사퇴
2025년 5월 27일 지지 선언
이낙연
소나무당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 지지
2025년 4월 17일 예비후보 등록
2025년 5월 9일 지지 선언
송갑종
여성의당 불출마 선언
2025년 5월 11일 입장 발표
우리공화당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 지지
2025년 5월 3일 지지 선언
자유민주당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 지지
2025년 4월 9일 지지 선언
자유통일당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 지지
2025년 5월 9일 경선
2025년 5월 18일 후보 사퇴
2025년 5월 19일 지지 선언
구주와
한국농어민당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 지지
2025년 5월 22일 지지 선언
한반도미래당 대선후보 최종 미등록
2025년 4월 30일 예비후보 등록
김정선
경제주권당
(창당준비위원회)
무소속 송진호 후보 지지
기간 내 창당 실패로 무소속 출마
(송진호)
[ 각주 펼치기 · 접기 ]

[1] 염안섭 후보의 자유통일당 구주와 후보 지지 선언[2] 당 공식 입장을 통한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 지지 선언[3] 당헌당규 위반(당과 상의 없이 다른 후보 지지)으로 제명
}}}}}}}}}}}}

파일:대한민국 투표 도장 문양(흰색 테두리).svg 제21대 대통령 선거 후보별 공약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005BA6,#FFC224> 정당 후보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국민의힘 김문수
개혁신당 이준석
민주노동당 권영국
자유통일당 구주와1
무소속 황교안2
무소속 송진호
1: 2025년 5월 18일 후보 사퇴. 김문수 후보 지지.
2: 2025년 6월 1일 후보 사퇴. 김문수 후보 지지.
}}}}}}}}}}}} ||


#!if version2 == null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국민의힘 제21대 대통령 후보 경선|국민의힘 제21대 대통령 후보 경선]]}}}{{{#!if external != "o"
[[국민의힘 제21대 대통령 후보 경선]]}}}}}}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국민의힘 제21대 대통령 후보 경선?uuid=efeb2b9e-f3c5-47f9-bbfe-e12f55a9744b|r186]]}}}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국민의힘 제21대 대통령 후보 경선?uuid=efeb2b9e-f3c5-47f9-bbfe-e12f55a9744b#s-|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https://namu.wiki/history/국민의힘 제21대 대통령 후보 경선?from=186|이전 역사 보러 가기]]}}}
#!if version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 left; padding: 0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국민의힘 제21대 대통령 후보 경선|국민의힘 제21대 대통령 후보 경선]]}}}{{{#!if external != "o"
[[국민의힘 제21대 대통령 후보 경선]]}}}}}}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국민의힘 제21대 대통령 후보 경선?uuid=efeb2b9e-f3c5-47f9-bbfe-e12f55a9744b|r186]]}}}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국민의힘 제21대 대통령 후보 경선?uuid=efeb2b9e-f3c5-47f9-bbfe-e12f55a9744b#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국민의힘 제21대 대통령 후보 경선?from=186|이전 역사]])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제21대 대통령 선거/변수|제21대 대통령 선거/변수]]}}}{{{#!if external != "o"
[[제21대 대통령 선거/변수]]}}}}}} 문서의 {{{#!if uuid2 == null
'''uuid2 not found'''}}}{{{#!if uuid2 != null
[[https://namu.wiki/w/제21대 대통령 선거/변수?uuid=609a68af-1854-41d1-9e0f-c136231f0226|r547]]}}} 판{{{#!if paragraph2 != null
, [[https://namu.wiki/w/제21대 대통령 선거/변수?uuid=609a68af-1854-41d1-9e0f-c136231f0226#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제21대 대통령 선거/변수?from=547|이전 역사]]){{{#!if version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 == null
'''uuid3 not found'''}}}{{{#!if uuid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 == null
'''uuid4 not found'''}}}{{{#!if uuid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 == null
'''uuid5 not found'''}}}{{{#!if uuid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6 == null
'''uuid6 not found'''}}}{{{#!if uuid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7 == null
'''uuid7 not found'''}}}{{{#!if uuid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8 == null
'''uuid8 not found'''}}}{{{#!if uuid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9 == null
'''uuid9 not found'''}}}{{{#!if uuid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0 == null
'''uuid10 not found'''}}}{{{#!if uuid1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1 == null
'''uuid11 not found'''}}}{{{#!if uuid1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2 == null
'''uuid12 not found'''}}}{{{#!if uuid1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3 == null
'''uuid13 not found'''}}}{{{#!if uuid1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4 == null
'''uuid14 not found'''}}}{{{#!if uuid1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5 == null
'''uuid15 not found'''}}}{{{#!if uuid1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6 == null
'''uuid16 not found'''}}}{{{#!if uuid1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7 == null
'''uuid17 not found'''}}}{{{#!if uuid1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8 == null
'''uuid18 not found'''}}}{{{#!if uuid1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9 == null
'''uuid19 not found'''}}}{{{#!if uuid1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0 == null
'''uuid20 not found'''}}}{{{#!if uuid2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1 == null
'''uuid21 not found'''}}}{{{#!if uuid2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2 == null
'''uuid22 not found'''}}}{{{#!if uuid2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3 == null
'''uuid23 not found'''}}}{{{#!if uuid2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4 == null
'''uuid24 not found'''}}}{{{#!if uuid2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5 == null
'''uuid25 not found'''}}}{{{#!if uuid2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6 == null
'''uuid26 not found'''}}}{{{#!if uuid2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7 == null
'''uuid27 not found'''}}}{{{#!if uuid2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8 == null
'''uuid28 not found'''}}}{{{#!if uuid2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9 == null
'''uuid29 not found'''}}}{{{#!if uuid2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0 == null
'''uuid30 not found'''}}}{{{#!if uuid3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1 == null
'''uuid31 not found'''}}}{{{#!if uuid3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2 == null
'''uuid32 not found'''}}}{{{#!if uuid3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3 == null
'''uuid33 not found'''}}}{{{#!if uuid3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4 == null
'''uuid34 not found'''}}}{{{#!if uuid3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5 == null
'''uuid35 not found'''}}}{{{#!if uuid3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6 == null
'''uuid36 not found'''}}}{{{#!if uuid3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7 == null
'''uuid37 not found'''}}}{{{#!if uuid3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8 == null
'''uuid38 not found'''}}}{{{#!if uuid3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9 == null
'''uuid39 not found'''}}}{{{#!if uuid3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0 == null
'''uuid40 not found'''}}}{{{#!if uuid4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1 == null
'''uuid41 not found'''}}}{{{#!if uuid4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2 == null
'''uuid42 not found'''}}}{{{#!if uuid4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3 == null
'''uuid43 not found'''}}}{{{#!if uuid4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4 == null
'''uuid44 not found'''}}}{{{#!if uuid4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5 == null
'''uuid45 not found'''}}}{{{#!if uuid4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6 == null
'''uuid46 not found'''}}}{{{#!if uuid4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7 == null
'''uuid47 not found'''}}}{{{#!if uuid4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8 == null
'''uuid48 not found'''}}}{{{#!if uuid4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9 == null
'''uuid49 not found'''}}}{{{#!if uuid4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0 == null
'''uuid50 not found'''}}}{{{#!if uuid5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