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18 12:30:54

제21대 대통령 선거/출구조사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제21대 대통령 선거
<colkeepall> 대한민국 제21대 대통령 선거
파일:제21대 대통령선거 틀 이미지.svg파일:제21대 대통령선거 틀 이미지 화이트.svg
<colbgcolor=#f0f0f0,#191919><colcolor=#005ba6,#59b3ff> 후보 대권주자 · 후보 경선 (더불어민주당 / 후보 · 국민의힘 / 후보 · 민주노동당) · 후보 선거 (국민의힘 · 개혁신당) · 최종 후보
여론조사 여론조사 (가상대결) · 후보 확정 후 여론조사 · 출구조사
변수 변수 (지역별 · 정당별 · 세대별)
결과 개표 결과 (지역별 · 정당별 · 세대별)
지역별 (수도권 · 강원도 · 충청권 · 호남권 · 대경권 · 동남권 · 제주도 · 재외선거)
정당별 (더불어민주당 · 국민의힘 · 개혁신당 · 민주노동당)
기타 타임라인 · TV 토론회 · 친명 빅텐트 (내란종식 원탁회의 · 이재명-김재연 단일화) · 반명 빅텐트 (김문수-한덕수 단일화론 · 김문수-이준석 단일화론) · 사회대전환 연대회의
사건 사고 논란 및 사건 사고 · 김문수 후보 교체 시도 사건 · 투표용지 외부 반출 논란
대한민국의 주요선거


1. 개요2. 인용보도 제한3. 조사 개요
3.1. 지상파 3사
4. 예측 득표율
4.1. 예측 득표율4.2. 지역별 예측 득표율
4.2.1. 최종 결과와의 차이
4.3. 세대별 및 성별 예측 득표율
5. 예측 투표율6. 투표자 심층 출구조사
6.1. 대통령 후보 선택 이유6.2. 후보 지지 vs 당선 저지6.3. 정권연장론 vs 정권교체론6.4. 후보 선택에 고려한 점6.5. 후보 선택 시점6.6.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에 대한 견해6.7. 정치적 이념성향6.8. 표심 변화6.9. 출생 연대별 투표(지지) 후보6.10. 차기정부 우선과제6.11. 가치 및 시대정신6.12. 우리나라에 적합한 정치 체제6.13. 다음 대통령, 어디서 일해야6.14. 개헌 국민 투표, 한다면 언제?6.15. 세금과 복지에 대한 의견6.16. 미중 외교 전략6.17. 차기 정부의 대북관계?
7. 투표자 심층 출구조사 개요

1. 개요

제21대 대통령 선거출구조사 결과를 서술한 문서다.

2. 인용보도 제한

출구조사를 담당하는 한국방송협회 산하 방송사공동예측조사위원회(KEP)는 출구조사 인용기준을 발표하면서 동시에 출구조사 결과 무단 인용보도에 대해 적극적인 법적대응을 예고했다. KEP는 이미 지난 2024년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인용 보도 기준을 위반한 유튜브 매체를 대상으로 손해배상청구 소송을 진행 중에 있다. #
  • 적용 대상
    • 모든 언론사(종편, 보도전문 채널, 인터넷신문, 포털 등)
    • 유튜브 채널, 1인 방송 크리에이터
  • 인용 허용 시각: 6월 3일 오후 8시 10분 이후
  • 출처 표시: 방송3사(KBS, MBC, SBS) 공동 예측(출구) 조사
  • 방송, 포털, 유튜브 실시간 녹화를 통한 법적 대응 증거 수집 예정

3. 조사 개요

3.1. 지상파 3사

<colkeepall>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555555> 파일:지상파 방송3사 출구조사 로고.svg제21대 대통령 선거
방송 3사 공동 출구 조사
}}}
의뢰기관 <colbgcolor=#ffffff,#1f2023>제21대 대통령선거 방송사 공동예측조사위원회
(한국방송협회, KBS, MBC, SBS)
수행기관 한국리서치, 코리아리서치인터내셔널, 입소스
수행기간 2025년 6월 3일 06:00~20:00[1]
조사대상 전국 325개 투표소 유권자 약 80,146명
(매 5번째 투표자 등간격 추출)
표본오차 95% 신뢰수준 ±0.8%p

4. 예측 득표율

4.1. 예측 득표율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555555> 파일:지상파 방송3사 출구조사 로고.svg방송3사 공동 출구조사
예측 득표율
}}}
1 이재명 51.7%
2 김문수 39.3%
4 이준석 7.7%
5 권영국 1.3%
8 송진호 0.1%
출처: 방송3사(KBS, MBC, SBS) 공동 예측(출구)조사

4.2. 지역별 예측 득표율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555555> 파일:지상파 방송3사 출구조사 로고.svg방송3사 공동 출구조사
권역별 예측 득표율
}}}
정당 <colcolor=#152484> 더불어민주당 <colcolor=#E61E2B> 국민의힘 <colcolor=#FF7210> 개혁신당 <colcolor=#ffd400> 민주노동당
후보 이재명 김문수 이준석 권영국
전국
51.7% 39.3% 7.7% 1.3%
서울
49.3% 40.1% 9.2% -
인천·경기
55.4% 35.1% - -
대전·세종·충청
51.5% 39.2% - -
광주·전라
80.6% 11.1% - -
대구·경북
26.2% 65.7% - -
부산·울산·경남
43.5% 48.2% - -
강원·제주
51.4% 39.0% - -
출처: 방송3사(KBS, MBC, SBS) 공동 예측(출구)조사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555555> 파일:지상파 방송3사 출구조사 로고.svg방송3사 공동 출구조사
지역별 예측 득표율
}}}
정당 <colcolor=#152484> 더불어민주당 <colcolor=#E61E2B> 국민의힘 <colcolor=#FF7210> 개혁신당 <colcolor=#ffd400> 민주노동당
후보 이재명 김문수 이준석 권영국
서울
49.3% 40.1% 9.2% 1.4%
부산
42.7% 49.0% 6.9% 1.4%
대구
24.1% 67.5% 7.3% 1.1%
인천
53.6% 37.4% 7.5% 1.3%
광주
81.7% 10.5% 5.9% 1.8%
대전
51.8% 38.3% 8.8% 0.9%
울산경합
46.5% 44.3% 6.9% 2.2%
경기
55.8% 34.6% 8.5% 0.9%
강원경합
48.8% 42.2% 6.7% 2.2%
충북
51.1% 40.2% 7.9% 0.8%
세종·충남
51.3% 39.7% 8.2% 0.8%
전북
79.6% 11.8% 6.7% 1.7%
전남
80.8% 10.9% 6.4% 1.8%
경북
28.2% 64.0% 6.7% 1.0%
경남경합
43.4% 48.8% 6.3% 1.5%
제주
57.9% 31.2% 9.3% 1.5%
전국
51.7% 39.3% 7.7% 1.3%
출처: 방송3사(KBS, MBC, SBS) 공동 예측(출구)조사

4.2.1. 최종 결과와의 차이

최종 개표 결과 출구 조사에 비해 득표율이 증감한 정도를 서술하였으며, 전국 오차 범위의 4배(±3.2%p) 이상을 벗어난 지역에는 채색 표시하였다.

수도권과 충청권, 동남권 등 전국적으로 출구조사 대비 이재명의 득표율은 낮게, 김문수 후보의 득표율은 높게 나타나면서 오차 범위(±0.8%p)를 상당히 큰 차이로 벗어났다. 그나마 대경권의 개표 결과가 출구조사 결과와 가장 비슷했으며, 호남권에 한해 이재명 후보의 득표율이 올라가고, 김문수 후보의 득표율이 내려갔다. 가장 크게 예측이 빗나간 지역은 강원도였는데, 양 후보의 득표율 격차 수치가 무려 10% 가까이 다르게 나타나며 예측에 실패했다. 전문가들은 수치가 빗나간 이유에 대해 내란 옹호로 비춰질까 꺼린 일부 김문수 후보 투표 설문층의[2] 거짓 응답 등을 거론하는 편이었다.
  • 전국: 이재명 -2.3%p, 김문수 +1.9%p, 이준석 +0.6%p
  • 수도권
    • 서울 : 이재명 -2.2%p, 김문수 +1.5%p
    • 경기 : 이재명 -3.6%p, 김문수 +3.4%p
    • 인천 : 이재명 -1.9%p, 김문수 +1.0%p
  • 강원도 : 이재명 -4.8%p, 김문수 +5.1%p
  • 충청권
    • 대전 : 이재명 -3.3%p, 김문수 +2.3%p
    • 세종•충남[3] : 이재명 -2.4%p, 김문수 +2.0%p
    • 충북 : 이재명 -3.6%p, 김문수 +3.0%p
  • 호남권
    • 광주 : 이재명 +3.1%p, 김문수 -2.5%p
    • 전남 : 이재명 +5.1%p, 김문수 -2.3%p
    • 전북 : 이재명 +3.1%p, 김문수 -0.9%p
  • 대경권
    • 대구 : 이재명 -0.9%p, 김문수 +0.1%p
    • 경북 : 이재명 -2.7%p, 김문수 +2.9%p
  • 동남권
    • 부산 : 이재명 -2.6%p, 김문수 +2.4%p
    • 울산 : 이재명 -4.0%p, 김문수 +3.3%p
    • 경남 : 이재명 -4.0%p, 김문수 +3.2%p
  • 제주도 : 이재명 -3.1%p, 김문수 +3.6%p

4.3. 세대별 및 성별 예측 득표율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555555> 파일:지상파 방송3사 출구조사 로고.svg방송3사 공동 출구조사
세대별 예측 득표율(단위는 %)
}}}
정당 <colcolor=#152484> 더불어민주당 <colcolor=#E61E2B> 국민의힘 <colcolor=#FF7210> 개혁신당 <colcolor=#808080> -
후보 이재명 김문수 이준석 기타 후보
20대 이하
41.3 30.9 24.3 3.5
30대
47.6 32.7 17.7 2.0
40대
72.7 22.2 4.2 0.9
50대
69.8 25.9 3.3 1.0
60대
48.0 48.9 2.3 0.8
70대 이상
34.0 64.0 1.5 0.5
출처: 방송3사(KBS, MBC, SBS) 공동 예측(출구)조사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555555> 파일:지상파 방송3사 출구조사 로고.svg방송3사 공동 출구조사
성별 예측 득표율(단위는 %)
}}}
정당 <colcolor=#152484> 더불어민주당 <colcolor=#E61E2B> 국민의힘 <colcolor=#FF7210> 개혁신당 <colcolor=#808080> -
후보 이재명 김문수 이준석 기타 후보
20대 이하
24.0 36.9 37.2 1.9[4]
58.1 25.3 10.3 6.3[5]
30대
37.9 34.5 25.8 1.8[6]
57.3 31.2 9.3 2.2[7]
40대
72.8 21.0 5.3 0.9
72.6 23.4 3.0 1.0
50대
71.5 24.2 3.2 1.1
68.1 27.6 3.3 1.0
60대
48.6 47.7 2.7 1.0
47.5 50.0 1.9 0.6
70대 이상
31.3 65.8 2.1 0.8
36.2 62.6 1.0 0.2
출처: 방송3사(KBS, MBC, SBS) 공동 예측(출구)조사

참고로 후술된 심층 출구조사의 출생 연대별 투표(지지) 후보 수치와는 세부적으로 약간의 차이가 있는데[8], 예를 들어 본 조사의 20대 남성 득표율과 연동되는 2000년대생, 90년대생 남성 득표율에선 이재명 후보가 주로 이준석 후보의 표를 상당부분 잠식해 30%대로 올라섰다. 반면 중장년층에선 이재명 후보 득표율이 약간 떨어졌을 개연성이 있다.

5. 예측 투표율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555555> 파일:지상파 방송3사 출구조사 로고.svg방송3사 공동 출구조사
연령별 예측 투표율
}}}
연령대 예측 투표율
20대 이하
70.3%
30대
79.6%
40대
75.5%
50대
81.4%
60대
84.0%
70대 이상
81.4%
출처: 방송3사(KBS, MBC, SBS) 공동 예측(출구)조사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555555> 파일:지상파 방송3사 출구조사 로고.svg방송3사 공동 출구조사
성별 예측 투표율
}}}
연령대 예측 투표율
20대 이하 남성
-%
20대 이하 여성
-%
30대 남성
-%
30대 여성
-%
40대 남성
-%
40대 여성
-%
50대 남성
-%
50대 여성
-%
60대 남성
-%
60대 여성
-%
70대 이상 남성
-%
70대 이상 여성
-%
출처: 방송3사(KBS, MBC, SBS) 공동 예측(출구)조사

방송3사 출구 조사 추정 예측 투표율이다. 추정인 만큼 대선 5~6개월 후에 발표될 선관위의 실제 투표율과는 차이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6. 투표자 심층 출구조사

6.1. 대통령 후보 선택 이유

파일:지상파 방송3사 출구조사 로고.svg
제21대 대통령선거 지상파 방송3사 심층 출구 조사
후보 선택 이유
(단위는 %)
후보 자질과 능력 공약과 정책 소속 정당 이념 성향 기타 잘 모름
전체 41.1 17.7 13.6 16.7 6.6 4.3

6.2. 후보 지지 vs 당선 저지

파일:지상파 방송3사 출구조사 로고.svg
제21대 대통령선거 지상파 방송3사 심층 출구 조사
후보 지지 vs 당선 저지
(단위는 %)
지지 후보
당선
비선호 후보
당선 저지

모름
전체 67.5 28.3 4.2
투표 후보별
이재명 77.1 18.4 4.5
김문수 57.1 40.6 2.3
이준석 56.8 33.0 10.2

6.3. 정권연장론 vs 정권교체론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555555> 파일:지상파 방송3사 출구조사 로고.svg투표자 심층 출구조사
정권연장 vs 정권교체
}}}
<colcolor=#e61e2b> 정권 연장 <colcolor=#152484> 정권 교체
전체 36.8% 48.8%
투표 후보별
이재명 14.7% 74.6%
김문수 69.6% 16.7%
이준석 21.0% 39.8%
연령대별
20대 이하 26.6% 43.3%
30대 34.6% 42.8%
40대 26.6% 62.2%
50대 29.9% 61.6%
60대 46.3% 45.4%
70대 이상 54.7% 33.8%

6.4. 후보 선택에 고려한 점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555555> 파일:지상파 방송3사 출구조사 로고.svg투표자 심층 설문조사
후보 결정에 고려한 점
}}}
<colcolor=#8a2be2> 고려하였다 <colcolor=#66CDAA> 고려하지 않았다 모르겠다
후보의 도덕성 79.1% 13.4% 7.5%
TV토론회 결과 71.1% 20.8% 8.2%
외교/안보 상황 80.0% 12.1% 7.8%
민생경제 상황 88.9% 6.5% 4.7%
윤석열 전 대통령 계엄·탄핵 78.4% 15.5% 6.1%
개헌에 대한 입장 72.2% 18.2% 9.6%
파일:지상파 방송3사 출구조사 로고.svg
제21대 대통령선거 지상파 방송3사 심층 출구 조사
후보 결정에 고려한 점
(단위는 %)
<colcolor=#152484>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colcolor=#e61e2b> 국민의힘
김문수
<colcolor=#FF7210>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의
도덕성
69.8 90.0 84.3
TV토론회
결과
68.5 73.2 77.5
외교/안보
상황
81.0 80.5 74.5
민생경제
상황
90.9 87.1 85.0
윤석열 전 대통령
계엄·탄핵
92.0 61.2 73.3
개헌에 대한
입장
75.3 69.7 64.4

6.5. 후보 선택 시점

파일:지상파 방송3사 출구조사 로고.svg
제21대 대통령선거 지상파 방송3사 심층 출구 조사
후보 결정 시점
(단위는 %)

이전
각 정당 후보
확정 이후
후보자
등록 전후
1주일
1~3일
당일
전체 32.8 20.4 13.6 11.6 5.9 14.6
투표 후보별
이재명 36.3 22.0 13.1 7.9 4.7 15.0
김문수 33.9 21.0 13.7 12.2 5.9 12.5

6.6.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에 대한 견해

파일:지상파 방송3사 출구조사 로고.svg
제21대 대통령선거 지상파 방송3사 심층 출구 조사
헌재의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에 대한 견해
(단위는 %)
잘된 판결 잘못된 판결 잘 모름
전체 71.7 19.9 8.4

해당 조사도 상당한 의미가 있는 것이, 윤석열/지지율 항목에도 있듯 2025년 1월 이후 탄핵될 때까지 몇몇 (친윤계로 인식되는) 여론조사 기관에선 윤석열 지지율 혹은 탄핵 반대율이 4~50%대에도 육박하는 조사들이 나와 여론조사 왜곡/조작 논란이 일기도 했는데, 비슷한 의미로 물어본 출구조사 결과 실상은 20%에도 못 미치는 수치가 나왔다.[9] 수치 보정을 한다 치더라도 약 20% 초반대로 예측되는데, 반대로 말하면 김문수 후보 투표층 약 40% 중 절반은 친윤계, 절반은 비윤/반윤계라는 의미로도 볼 수 있어 향후 보수 진영 내부 갈등이 더 심화될 가능성도 엿보인다.

6.7. 정치적 이념성향

파일:지상파 방송3사 출구조사 로고.svg
제21대 대통령선거 지상파 방송3사 심층 출구 조사
정치적 이념 성향
(단위는 %)
진보 중도 보수
전체 22.2[10] 39.2 32.5[11]
투표형태별
사전 투표 28.8 45.8 20.3
본 투표 18.4 37.7 37.9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555555> 파일:지상파 방송3사 출구조사 로고.svg투표자 심층 출구 조사
이념성향별 표심(단위는 %)
}}}
정당 <colcolor=#152484> 더불어민주당 <colcolor=#E61E2B> 국민의힘 <colcolor=#FF7210> 개혁신당 <colcolor=#808080> -
후보 이재명 김문수 이준석 기타 후보
진보 87.3 7.7 2.7 2.3
중도 59.4 29.0 10.0 1.6
보수 18.0 74.8 6.8 0.4
출처: 방송3사(KBS, MBC, SBS) 공동 예측(출구)조사

6.8. 표심 변화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555555> 파일:지상파 방송3사 출구조사 로고.svg투표자 심층 출구조사
대선 표심 변화(단위는 %)
}}}
정당 <colcolor=#152484> 더불어민주당 <colcolor=#E61E2B> 국민의힘 <colcolor=#FF7210> 개혁신당 <colcolor=#808080> -
후보 이재명 김문수 이준석 기타 후보
2022
이재명
93.0 3.5 2.7 0.8
2022
윤석열
9.2 82.6 7.5 0.7
출처: 방송3사(KBS, MBC, SBS) 공동 예측(출구)조사

6.9. 출생 연대별 투표(지지) 후보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555555> 파일:지상파 방송3사 출구조사 로고.svg투표자 심층 출구조사
출생연대별 지지후보(단위는 %)
}}}
정당 <colcolor=#152484> 더불어민주당 <colcolor=#E61E2B> 국민의힘 <colcolor=#FF7210> 개혁신당 <colcolor=#808080> -
후보 이재명 김문수 이준석 기타 후보
2000년대 48.0 29.5 20.2 2.3
1990년대 40.2 36.0 20.8 3.0
1980년대 62.5 27.3 8.8 1.4
1970년대 74.5 20.0 4.2 1.3
1960년대 52.3 44.1 2.6 1.0
1950년대 31.9 65.6 1.9 0.6
1949년 이전 33.8 64.7 1.3 0.2
출처: 방송3사(KBS, MBC, SBS) 공동 예측(출구)조사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555555> 파일:지상파 방송3사 출구조사 로고.svg투표자 심층 출구조사
성&출생연대별 지지후보(단위는 %)
}}}
정당 <colcolor=#152484> 더불어민주당 <colcolor=#E61E2B> 국민의힘 <colcolor=#FF7210> 개혁신당 <colcolor=#808080> -
후보 이재명 김문수 이준석 기타 후보
2000년대 남성 30.0 35.9 32.9 1.2
2000년대 여성 63.5 23.9 9.3 3.3
1990년대 남성 30.5 37.3 29.8 2.4
1990년대 여성 49.3 34.9 12.3 3.5
1980년대 남성 59.1 26.6 12.3 2.0
1980년대 여성 65.6 28.0 5.6 0.8
1970년대 남성 75.7 19.9 2.9 1.5
1970년대 여성 73.3 20.2 5.5 1.0
1960년대 남성 54.9 41.5 2.4 1.2
1960년대 여성 49.9 46.4 2.8 0.9
1950년대 남성 31.7 65.8 2.4 0.1
1950년대 여성 32.0 65.4 1.5 1.1
1949년 이전 남성 25.0 73.6 1.4 0.0
1949년 이전 여성 41.9 56.5 1.2 0.4
출처: 방송3사(KBS, MBC, SBS) 공동 예측(출구)조사

심층 출구조사에서는 일반 출구조사와는 달리 성, 연령 뿐만 아니라 출생년도까지 물어봤는데, 출생년도로 분류해보면 같은 연령대에서도 초반, 후반 등에 따라 조금씩 지지 양상이 다른 것을 확인해 볼 수 있다.

6.10. 차기정부 우선과제

파일:지상파 방송3사 출구조사 로고.svg
제21대 대통령선거 지상파 방송3사 심층 출구 조사
차기정부 우선과제
(2개 선택, 단위는 %)
경제 성장•일자리 창출 저출생•고령화 문제 대처 국민통합•정치 양극화 해소 복지 등 사회 안정망 강화 검찰•공수처 등 수사기관 개혁 외교•통상 지역 균형 발전
전체 62.2 27.2 26.8 20.7 17.1 16.7 16.0
투표 후보별
이재명 63.1 24.6 23.8 23.0 22.4 12.3 17.5
김문수 62.3 30.7 29.2 22.2 19.1 22.2 12.6
이준석 56.8 43.8 21.2 16.4 6.3 19.0 23.1

6.11. 가치 및 시대정신

6.12. 우리나라에 적합한 정치 체제

파일:지상파 방송3사 출구조사 로고.svg
제21대 대통령선거 지상파 방송3사 심층 출구 조사
적합한 정치 체제
(단위는 %)
5년 단임제 4년 연임제(or 중임제) 의원 내각제 이원집정부제 잘 모름
전체 41.7 42.7 1.8 6.4 7.4
투표 후보별
이재명 38.8 47.7 1.1 5.5 6.9
김문수 46.1 37.4 2.3 6.6 7.5

6.13. 다음 대통령, 어디서 일해야

파일:지상파 방송3사 출구조사 로고.svg
제21대 대통령선거 지상파 방송3사 심층 출구 조사
다음 대통령, 어디서 일해야
(단위는 %)
용산 대통령 집무실 청와대 정부서울청사 세종시 잘 모름
전체 15.4 58.2 3.6 13.9 9.0
투표 후보별
이재명 4.3 71.0 3.1 15.3 6.3
김문수 31.5 41.9 4.3 10.7 11.6

6.14. 개헌 국민 투표, 한다면 언제?

파일:지상파 방송3사 출구조사 로고.svg
제21대 대통령선거 지상파 방송3사 심층 출구 조사
개헌 국민 투표, 한다면 언제?
(단위는 %)
2026년 지방선거 2028년 총선 2028년 총선 이후 개헌 불필요 잘 모름
전체 36.7 24.8 10.8 7.3 20.4
투표 후보별
이재명 36.7 24.8 11.5 6.7 20.2
김문수 35.8 25.6 10.1 8.3 20.1

6.15. 세금과 복지에 대한 의견

파일:지상파 방송3사 출구조사 로고.svg
제21대 대통령선거 지상파 방송3사 심층 출구 조사
세금과 복지에 대한 의견
(단위는 %)
더 내고 높여야 현 수준 유지 덜 내고 낮춰야 잘 모름
전체 33.7 49.3 12.5 4.5
연령대별
20대 이하 23.0 56.6 10.5 9.9
30대 27.3 54.6 14.4 3.7
40대 36.0 52.6 8.1 3.3
50대 43.2 45.0 9.8 2.0
60대 39.2 42.1 15.0 3.7
70대 이상 28.2 48.6 16.9 6.3

6.16. 미중 외교 전략

파일:지상파 방송3사 출구조사 로고.svg
제21대 대통령선거 지상파 방송3사 심층 출구 조사
미중 외교 전략
(단위는 %)
한미동맹 강화 대중협력 강화 균형외교 잘 모름
전체 35.1 4.2 53.2 7.5
투표 후보별
이재명 18.4 5.2 68.0 8.4
김문수 56.0 3.2 34.4 4.4
이준석 43.5 2.8 47.0 6.7

6.17. 차기 정부의 대북관계?

파일:지상파 방송3사 출구조사 로고.svg
제21대 대통령선거 지상파 방송3사 심층 출구 조사
차기 정부의 대북관계는?
(단위는 %)
대북제재
압박 강화
현 수준
대북정책 유지
북한과의
대화 협력 강화
잘 모름
전체 25.1 24.8 41.9 8.2

7. 투표자 심층 출구조사 개요

<colkeepall>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555555> 파일:지상파 방송3사 출구조사 로고.svg제21대 대통령 선거
방송 3사 공동 심층 출구 조사
}}}
의뢰기관 <colbgcolor=#ffffff,#1f2023> 제21대 대통령선거 방송사 공동예측조사위원회
(한국방송협회, KBS, MBC, SBS)
수행기관 한국리서치, 코리아리서치인터내셔널, 입소스
수행기간 2025년 6월 3일 06:00~20:00[12]
조사대상 전국 60개 투표소 유권자 약 5,190명
(매 20번째 투표자 등간격 추출)
표본오차 95% 신뢰수준 ±2.2%p

[1] 사전투표 조사 수행 기간은 한국리서치, 코리아리서치인터내셔널, 입소스가 사전 투표 종료 후 2025년 5월 31일 ~ 6월 2일, 전국 만 18세 이상 유권자 11,548명(사전투표자 포함)을 대상으로 전화면접 조사를 실시해 보정했음.[2] 후술되어있듯 김문수 투표층은 40% 이상이 김문수 후보 당선보단 비선호 후보 당선 저지를 위해 투표했다고 응답했는데, 이들 중 다수가 친한/친안/친낙계 등 윤석열 탄핵 찬성 세력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물론 기본적으로 조사는 비밀조사지만, 현장 상황상 티가 날 가능성이 아예 없는건 아니라 일부는 눈치를 보고 다른 답변을 할 가능성이 있다.[3] 출구 조사에 묶여서 조사되었으므로, 최종 결과와의 차이 또한 묶어서 서술.[4] 민주노동당 권영국 1.6%[5] 민주노동당 권영국 5.9%[6] 민주노동당 권영국 1.6%[7] 민주노동당 권영국 2.1%[8] 조사 개요를 보면 알 수 있듯 응답층 차이가 있다.[9] 다만 파면 직후 메이저 기관 여론조사에선 비슷한 수치들이 나오기도 했었다. 허나 수치 차이가 오차 범위 내인 몇% 수준도 아니고 몇 십% 수준으로 심해도 너무 심했기 때문에, 이를 감안하면 당시 저 수치들은 일부 여론조사 기관의 밴드웨건 효과를 노린 의도된 편향성 조사 혹은 조작(때문에 여론조사 기관 등급제 등이 논의되기도 한다), 가짜뉴스 등에 속고 있다가 파면 이후 정신을 차린 일부 보수층의 이탈, 실제 윤석열 탄핵을 반대한다기보단 반이재명 결집의 또다른 형태 등으로 다양하게 분석하는 시선이 있었다.[10] 매우 진보적 2.7% 진보적인 편 19.5%[11] 매우 보수적 8.3% 보수적인 편 24.3%[12] 사전투표 조사 수행 기간은 2025년 5월 30일 ~ 6월 2일. 사전투표를 완료했다고 응답한 약 1천 1백여 명, 웹.전화 조사로 코리아리서치에서 진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