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26 20:20:07

비엣젯항공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항공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일반 항공사
Full Service Carrier (FSC)
파일:베트남항공 로고.svg파일:베트남항공 로고 화이트.svg
파일:뱀부항공 로고.svg
파일:선 푸꾸옥 항공 로고.svg
베트남항공 뱀부항공 선 푸꾸옥 항공
||<-4><tablewidth=100%><bgcolor=#f5f5f5,#2e2f34>
저비용 항공사
Low-cost Carrier (LCC)
||
파일:비엣젯 항공 로고.svg
파일:퍼시픽항공 로고.svg
파일:vietravel-airlines_logo.png
파일:바스코항공 로고.svg
비엣젯항공 퍼시픽항공파일:vietnam-airlines_small_icon.png 비엣트래블항공 바스코항공파일:vietnam-airlines_small_icon.png

||<-4><tablewidth=100%><bgcolor=#f5f5f5,#2e2f34>
없어진 항공사
Defunct Airline
||
파일:Air_Vietnam_logo_01.png
파일:에어 메콩.jpg
베트남 항공 에어 메콩
파일:vietnam-airlines_small_icon.png: 베트남항공의 관계 회사
}}}}}}}}} ||
비엣젯항공
VietJet Air
파일:비엣젯 항공 로고.svg
<colbgcolor=#ed1d23><colcolor=#fff> 기업명 Hàng không Vietjet
Vietjet Aviation Joint Stock Company
국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베트남|{{{#!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베트남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베트남}}}{{{#!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설립연도 2007년 11월 30일 ([age(2007-11-30)]주년)
보유 항공기 수
95
취항지 수 115
허브 공항
떤선녓 국제공항 (SGN)
노이바이 국제공항 (HAN)
부호
VIETJET AIR
VJ[1]
VJC
상용 고객 서비스
VietJet Skyclub (비엣젯 스카이클럽)
슬로건 ''{{{#ed1d23 Bay là thích ngay!
Enjoy Flying!
비행을 즐기자! }}}''
자회사 타이 비엣젯항공
비엣젯항공 카자흐스탄[2]
대표이사 응우옌 티프엉타오 (Nguyễn Thị Phương Thảo)
상장 여부 상장 기업
상장 시장 호찌민증권거래소 VJC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역사3. 보유 기종4. 운항 노선
4.1. 대한민국 노선4.2. 일본 노선4.3. 대만 노선4.4. 인도 노선
5. 서비스6. 특징7. 문제점8. 사건 사고9. 여담

파일:VN-A815.jpg
A330-343

1. 개요

베트남 국적의 저비용 항공사.

2. 역사

2007년에 설립 당시 비엣젯항공은 베트남에 설립된 최초의 민간 항공사였으며 2011년 12월에 운행을 시작한 이래로 베트남에서 국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두 번째 민간 항공사가 되었으며 에어 메콩에 이어 베트남에서 국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두 번째 항공사가 되었다. 초기 계획에서 하노이에 본사를 둔 이 항공사는 호치민과 다낭행 항공편을 제공하겠다는 의도를 밝혔으며 점차 홍콩, 방콕, 싱가포르 및 중국 남부의 도시와 같은 다른 아시아 목적지로 네트워크를 확장하고 있다. 이 항공사의 사장 겸 CEO는 2011년 12월부터 응우옌 티 푸엉 타오이다.

처음에 비엣젯항공은 2008년 말 또는 2009년 초에 비행을 시작할 의사를 보여주었다. 이후 몇 년 동안, 예상 취항일은 2009년 말에서 2010년 중반으로 반복적으로 연기되었다. 항공사 관계자들은 연료 가격 인상 및 기타 재정 문제, 베트남 민간 항공국(CAAV)과의 브랜드 분쟁 해결 등 지연에 대해 다른 이유를 제시했다. 말레이시아 저가 항공사 에어아시아는 2010년 2월 합작 투자 계약을 통해 항공사 지분 30%를 매입할 계획이라고 발표했지만, 2011년 10월 "베트남 규제 승인을 얻지 못했다"는 이유로 계획을 취소했다.

2011년 2월까지 비엣젯항공은 6월 운항 면허가 만료되기 전에 취항하기 전에 "최종 단계를 완료"하고 있다고 한다. 결국 2011년 12월 25일 호치민에서 하노이까지 운항하는 첫 비행이 시작되었다. 2013년 2월 9일 호치민과 방콕을 잇는 첫 국제선을 취항했으며, 베트남 민간 항공사로는 처음으로 국제 시장에 진출했다. 2014년 2월, 그 해의 싱가포르 에어쇼 개막식에서, 항공사는 에어버스와 A320 항공기 60대에 대한 정가 64억 달러에 대한 주문을 확정했다. 이전에, 항공사는 에어버스A320 계열의 92대에 대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2015년 6월 파리 에어쇼에서 비엣젯항공은 가장 붐비는 일부 노선의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에어버스로부터 정가 6억 8,200만 달러 상당의 에어버스 A321 단일 항공기 6대를 추가로 주문했다. 비엣젯항공은 그해 말 두바이 에어쇼에서 21대의 A321neo와 9대의 A321ceo가 포함된 30대를 추가로 구매했다.

2016년 5월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의 국빈 방문에서 200대의 보잉 737 MAX 항공기 주문이 체결되었으며 2019년부터 인도가 시작될 예정이다. 2016년 9월 CEO 응우옌 티 푸엉 타오는 에어버스로부터 20대의 A321 단일 항공기 주문을 발표했다. 이 계약은 프랑수아 올랑드 프랑스 대통령의 국빈 방문에서 이루어졌다. 2018 판버러 에어쇼에서 비엣젯항공의 태국 자회사인 타이 비엣젯항공은 100대의 보잉 737 MAX(80대의 MAX 10기와 20대의 MAX 8기)와 50대의 A321neo를 주문했다.

2019년 2월 27일 베트남 하노이에서 개최된 제 2차 북미정상회담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베트남 응우옌푸쫑 주석과의 회담이 끝나고 양국 정상이 보는 앞에서 보잉보잉 737 MAX 기종 100대를 구매 계약을 체결했다.#

2024년 2월 22일, 2024 싱가포르 에어쇼에서 비엣젯항공은 에어버스와 에어버스 A330-900neo 광동체 20대 구매를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최종 주문 확정되면 리스가 아닌 구매를 통한 도입이 될 것이다. 이들은 네트워크 확장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항공사의 현재 7대의 임대 에어버스 A330-300 항공기를 대체할 계획이다.

2025년 5월 6일, 카자흐스탄의 지역 항공사카자크 항공의 지분을 인수하게 되면서 전략 파트너쉽의 일환으로 합작 법인인 비엣젯항공 카자흐스탄을 설립할 것을 발표했다. 다만 카자크 항공 인수에 대한 규모는 밝혀지지 않았다. 또한 보잉 737을 20대 이상 보유하며 운항할 예정이다.#

3. 보유 기종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비엣젯항공/보유 기종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비엣젯항공/보유 기종#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비엣젯항공/보유 기종#|]]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rowcolor=#fff> 제조사 기종 보유 대수 주문 대수 비고
에어버스 A320-200 17 -
A321-200 36 -
A321neo 34 84
A321XLR - 20
A330-300 7 - [3]
A330-900 - 40 [참고]
보잉 737 MAX 8 - 20
737 MAX 200 - 100
737 MAX 10 - 80 [5] [6]
COMAC C909 1 1 청두항공에서 리스
  • 현재 소유하고 있는 항공기는 총 95대로 에어버스 A320 17대, A321 36대, A321neo 34대, A330-300 7대, COMAC C909 1대다. 비엣젯항공은 A330 외에도 현재 84대의 A321neo, 20대의 A321XLR, 그리고 200대의 보잉 737 MAX 여객기에 대한 인도를 기다리고 있는 상태이다.

4. 운항 노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비엣젯항공/노선망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비엣젯항공/노선망#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비엣젯항공/노선망#|]]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1. 대한민국 노선[7]

한국공항 베트남 공항 한국 방향 베트남 방향 운항일 기종
서울(인천) 하노이 VJ960 01:45 출발 07:55 도착 VJ963 06:25 출발 09:30 도착 매일 A330 A321[8]
VJ962 22:50 출발 05:25+1 도착 VJ961 11:05 출발 14:10 도착 매일 A330 A321
하이퐁 VJ926 23:45 출발 06:00+1 도착 VJ925 07:15 출발 10:40 도착 매일 A321
다낭 VJ874 15:10 출발 21:30 도착 VJ881 06:15 출발 09:20 도착 매일 A321
VJ880 22:45 출발 05:05+1 도착 VJ879 07:00 출발 10:05 도착 매일 A321
VJ878 23:40 출발 06:00+1 도착 VJ875 22:40 출발 01:45+1 도착 매일 A321
냐짱 VJ838 16:15 출발 22:45 도착 VJ839 01:50 출발 05:25 도착 매일 A321
VJ836 22:00 출발 04:30+1 도착 VJ837 06:20 출발 09:55 도착 매일 A321
달랏 VJ994 17:10 출발 23:55 도착 VJ945 02:30 출발 05:50 도착 매일 A320
호찌민 VJ862 02:40 출발 09:50 도착 VJ865 06:45 출발 10:15 도착 매일 A321
VJ860 12:15 출발 19:25 도착 VJ863 10:50 출발 14:20 도착 매일 A321
VJ864 22:15 출발 05:25+1 도착 VJ861 20:55 출발 00:25+1 도착 매일 A321
껀터 VJ954 16:50 출발 23:55 도착 VJ955 02:30 출발 06:20 도착 화,수,금,일 운항 A320
푸꾸옥 VJ974 15:30 출발 22:45 도착 VJ975 01:45 출발 05:35 도착 매일 A330 A321
VJ978 17:15 출발 00:30 도착 VJ979 02:10 출발 06:00 도착 매일 A321
부산(김해) 하노이 VJ982 01:00 출발 06:55 도착 VJ981 08:00 출발 10:50 도착 매일 A321
VJ956[9] 07:25 출발 13:30 도착 VJ957 14:30 출발 17:00 도착 매일 A321
다낭 VJ988 02:55 출발 09:05 도착 VJ989 10:05 출발[10] 12:30 도착[11] 화요일 제외 A321
VJ950 01:45 출발 07:55 도착 VJ951 09:10 출발 11:35 도착 화요일 A321
냐짱 VJ990 00:10 출발 06:55 도착 VJ991 07:35 출발 10:50 도착 매일 A321
VJ918 03:25 출발 09:55 도착 VJ919 11:00 출발 14:00 도착 매일 A321
호찌민 VJ868 00:05 출발 07:00 도착 VJ869 08:00 출발 11:40 도착 매일 A321
푸꾸옥 VJ968 23:20 출발 06:30 도착 VJ969 07:35 출발 11:05 도착 매일 A321
대구 나짱 VJ870 00:35 출발 06:50 도착 VJ871 07:50 출발 10:35 도착 매일 A321[12]
비엣젯은 인천공항에 하루 15편을 투입하고[13], 김해공항에 매일 7편을 투입한다. 인천발 하이퐁이 1D, 하노이가 2D, 다낭이 3D, 냐짱이 2D, 달랏이 1D, 호치민이 3D, 껀터가 1D, 푸꾸옥이 2D로 총 8군데에 14편이 일일 운항중. 말 그대로 어마어마한 양의 좌석을 공급하면서 한국 LCC들과 경쟁, 우위를 점하는 추세다. 인천공항 체크인 카운터는 03:15부터 10:15까지, 그리고 19:40부터 01:40+1까지 운영하며, 김해공항 체크인 카운터는 04:35부터 09:15까지 운영한다. 두 공항 모두 항공편 출발 시각 60분 전에 체크인이 마감된다.

2018년 7월부터 대구 출발 다낭 노선을 운영했었다. 청주[14]에서 운행한 적도 있다. 2023년 7월 1일부터 대구에 복항했다.

항공사 사정으로 2024년 10월 말까지 항공기 정비 이슈로 일부 노선을 운항 취소한다.# 일부 노선은 11월 이후의 항공편이 조회되는 것으로 보아 단항은 아니고 운휴인 듯하다.

2024.06.26 ~ 2024.07.20 까지 무안국제공항에서 다낭으로 가는 부정기편을 운항한다.

2024년 7월 3일, 비엣젯항공의 제주-베트남 직항 노선을 개설하기 위한 MOU가 체결되면서 11월 중으로 제주 직항을 개설하기로 했다.# 제주공항에는 아직 정식 취항하지는 않았지만, 부정기편으로 운항하는 경우가 있다.

2024년 동계부터는 대구-다낭 노선은 없어지고 그 자리에 대구-나트랑 노선이 신설되었다. 편명은 그대로 유지된다.[15]

4.2. 일본 노선[16]

일본 공항 베트남 공항 일본 방향 베트남 방향 운항일 기종
도쿄(나리타) 하노이 VJ932 00:50 출발 08:00 도착 VJ933 09:30 출발 14:00 도착 매일 A321
VJ934 08:20 출발 15:25 도착 VJ935 16:25 출발 20:55 도착 매일 A321
호찌민 VJ822 23:50 출발 07:40 도착 VJ823 08:55 출발 13:55 도착 매일 A321
나고야 하노이 VJ920 01:35 출발 08:00 도착 VJ921 09:25 출발 13:40 도착 일월수금 A321
오사카 하노이 VJ938 01:40 출발 07:50 도착 VJ939 09:20 출발 13:05 도착 매일 A321
VJ930 08:20 출발 14:30 도착 VJ931 15:30 출발 19:15 도착 매일 A321
호찌민 VJ828 01:20 출발 08:30 도착 VJ829 09:30 출발 13:30 도착 매일 A321
후쿠오카 하노이 VJ958 02:05 출발 07:55 도착 VJ959 08:55 출발 12:25 도착 화목토 A321

비엣젯은 일본에 매일 7편 투입한다. 하노이에서는 나고야 노선과 후쿠오카 노선을 요일을 번갈아가며 운영한다.

4.3. 대만 노선[17]

대만 공항 베트남 공항 대만 방향 베트남 방향 운항일 기종
타이베이(타오위안) 하노이 VJ942 14:05 출발 18:00 도착 VJ943 19:00 출발 21:10 도착 매일[18] A321
호찌민 VJ840 01:00 출발 05:25 도착 VJ841 06:25 출발 08:50 도착 매일[19] A321
껀터 VJ866 11:50 출발 16:20 도착 VJ867 17:20 출발 20:05 도착 일월수금 A320
타이중 하노이 VJ948 08:10 출발 11:40 도착 VJ949 12:40 출발 14:30 도착 일화목토[20] A321
호찌민 시 VJ852 10:25 출발 14:45 도착 VJ853 15:45 출발 18:25 도착 화목토[21] A321
타이난 호찌민 시 VJ858 13:30 출발 17:45 도착 VJ859 18:45 출발 21:00 도착 월수금[22] A321
가오슝 하노이 VJ946 15:25 출발 18:50 도착 VJ947 19:50 출발 21:45 도착 매일 A321
호찌민 VJ890 11:25 출발 15:30 도착 VJ889 16:30 출발 19:10 도착 일월수금[23] A321

4.4. 인도 노선[24]

베트남 항공사 중 인도노선에 매우 적극적으로 취항하는 항공사다.[25][26]
인도측 공항 베트남측 공항 인도 방향 베트남 방향 운항일 기종
뉴델리 하노이 VJ792 19:10 출발 22:50 도착 VJ972 00:05 출발 05:35 도착 일수금 A330
호치민 VJ895 19:00 출발 22:50 도착 VJ896 00:05 출발 06:20 도착 일월화수목토 A330
아마드바드 하노이 VJ1925 19:55 출발 00:05 도착 VJ1926 01:05 출발 07:15 도착 매일 A321
호치민 VJ1805 18:25 출발 22:30 도착 VJ1806 23:30 출발 06:30 도착 매일 A321
뭄바이 하노이 VJ907 19:15 출발 23:40 도착 VJ910 00:40 출발 06:40 도착 월화수목금토 A321
호치민 VJ883 18:45 출발 23:00 도착 VJ884 00:15 출발 06:40 도착 매일 A330
코치 호치민 VJ1811 19:10 출발 22:50 도착 VJ1812 23:50 출발 06:30 도착 월수금토 A321
하이데라바드 호치민 VJ1803 19:45 출발 22:35 도착 VJ1804 23:35 출발 05:35 도착 화토 A320
벵갈루루 호치민 VJ1801 19:20 출발 22:35 도착 VJ1802 23:35 출발 06:00 도착 월수금 A321

5. 서비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비엣젯항공/서비스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비엣젯항공/서비스#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비엣젯항공/서비스#|]]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특징

과거에 에어아시아의 투자를 받았고 계열사 편입이 이루어질 뻔 했던 과거를 증명하듯 크고 작은 사고가 자주 일어난다. 큰 인명피해는 없었으나 아래 사고문단에 적힌 것 외에도 화재, 누유 사고, 좌석 고장[27] 등 기체 정비 사고도 빈번히 일어나고 활주로 이탈 등 운항과 관련된 사고도 종종 일어난다.

7. 문제점

비엣젯항공은 환불을 절대 하지 않고 2년의 유효기간의 적립금만 주고 있다. 그러므로 만약 자신이 불확실성은 확실히 제거하고 싶다면 비엣젯항공은 절대 피해야 한다. 만약 비엣젯항공을 탑승하면 사실상 여행 일정 전체를 망칠 수도 있는 가능성을 얻게 되는 것이다. 즉, 이미 비엣젯항공의 서비스 정신은 사라진 지 오래다. 더 심각한 점은 항공사에게 귀책사유가 있어도 마찬가지라는 것이다. 그러므로 보이콧이 나을 것으로 보인다. #

그 밖에도 서비스를 기대하면 안 된다. 승무원에게 물을 달라고 말해도 발음 지적만 당하고 물도 먹지 못하게 될 수도 있을 정도이다. 승무원이 승객에게 아예 조롱까지 한다는 점에서 항공사를 선택함에 있어서 서비스를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며 무례하게 반응하는 승무원을 만나는 것을 싫어하는 사람들의 경우에도 비엣젯항공은 반드시 피해야 한다.

8. 사건 사고

9. 여담

  • 사내 미인 대회를 열어 선정 된 승무원들이 비키니를 입고 서비스를 한 적이 있다. 이를 찍은 화보를 발행하기도 하여 화제가 되었다. 이 당시 CEO가 여성이었다는 점을 감안했을 때 상당히 이례적이라는 시선이 많았다.#
  • 저비용 항공사임을 감안해도 승무원들이 영어를 못하는 경우가 잦다. 최근에는 한국노선에는 한국인 승무원을 한명은 태우는 것으로 보이고, 한국인 관광객이 압도적으로 많은 베트남 특성상 영어는 못하지만 한국어는 가능한 승무원도 종종 있다. 이는 베트남이 목적지가 아니라 베트남을 경유하여 인도, 호주 등 다른 곳으로 갈 때 문제가 되는 편.
  • 어마어마한 항공기 가동률과 퀵턴으로 연결 항공편 시간표가 갈려 나가는 경우가 잦다. 대부분의 국제선은 지연되면 국내선을 뛰던 다른 비행기를 끌고 와서 어거지로라도 띄우기 때문에 지연이 심하진 않다. 하지만, 국내선은 한 비행기가 늦게 도착해 항공기를 돌려막기 하다보면 결국 모든 항공편이 지연되는 경우가 잦다. 국내선은 베트남 항공이나 뱀부항공이 싸게 티켓을 푸는 경우가 많으니 잘 비교해 보는 것이 정신건강에 이롭다.
  • 2~3달 전에 예약을 하는 경우 탑승일로부터 1달 전 쯤 스케쥴이나 기체가 변경되는 경우가 잦다. 베트남에서 국제전화나 문자, 메일로 통보해 주며, 예약 시의 출발시간으로부터 1시간 이상 변경된 경우, 항공사 메일로 문의하면 바로 앞/뒤의 항공편으로 변경해준다. 단, 출발 3시간 전까지 모든 변경과정을 마무리 해야하고, 저가항공사 메일 문의가 그렇듯, 답장에 1~2일 정도 소요되는 경우가 많으니 최소 2~3주 전에는 문의하여 변경하는 것을 추천한다. 기체 변경의 경우 좌석 등을 설정했다면 취소시켜 버리니 잘 살펴 볼 것.
  • 퇴사율이 굉장히 높아서 인력난에 시달리고 있다고한다. 인력난과 정비이슈로 일부 한국노선들을 운휴중이고 대만, 인도네시아 노선도 운휴중이다. 하노이 국제공항에 가면 군데군데 방치(...) 중인 비엣젯의 A321들을 볼 수 있는데, 이 영향으로 보인다.
  • 정시성을 밥 말아 먹은지 오래라 항공 커뮤니티에서는 질이 좋지 않은 항공사의 대명사로 통해서 비슷하게 질이 안 좋은 항공사에 ○엣젯이라는 별명을 붙여서 부른다.[31]

[1] 이전에는 로얄 에어 캄보디아에서 썼다.[2] 추후 출범 예정.[3] 5대의 330 중 한 대의 이력이 좀 특이하다. VN-A811가 그 주인공인데 과거 에어아시아 엑스 소속 9M-XXB였던 시절에 소녀전선 도색을 약 4년간 하고 다녔다. 그것도 한글 로고가 들어간 채로 말이다.[참고] #[5] https://www.jetphotos.com/photo/9757621 보면 조립과 도색은 이미 마친 상태지만, MAX의 결함과 인도지연으로 인해 주기 중인 것으로 추정된다.[6] https://www.fetv.co.kr/mobile/article.html?no=147564 2024년 도입 예정[7] 2024년 1월 18일 기준[8] 2023년 2월부터 인천-하노이 노선에 A330-300과 A321이 번갈아 가며 투입되고 있다. 좌석 배치는 3-3-3[9] 2025년 7월 19일부터 증편[10] 수요일은 11:00 출발[11] 수요일은 13:25 도착[12] 11월 14일부터 복항 예정.[13] 월,목,토 14편 투입[14] 청주~다낭, VJ8765, 8764 (주 2회)[15] 10월 1일부터 14일까지를 제외하고 운항 취소예정이다.[16] 2024년 1월 18일 기준[17] 2023년 1월 셋째주 기준[18] 2023년 하계스케줄부터 주 2회 운항[19] 2023년 하계스케줄부터 주 2회 운항[20] 2023년 하계스케줄부터 매일 운항[21] 2023년 하계스케줄부터 매일 운항[22] 2023년 하계스케줄부터 매일 운항[23] 2023년 하계스케줄부터 매일 운항[24] 2025년 4월 첫째주 기준[25] 이는 인도인들의 베트남 관광이 늘은 이유도 있다. 또한 베트남에서 환승해 홍콩, 대만, 일본, 한국으로 오는 수요도 많다. 반대로 한국에서 베트남을 경유해 인도 갈 때 자주 타기도 한다.[26] 그러나 비엣젯의 문제점을 생각하면 인도 갈때 다른 항공사를 이용하는 게 정신 건강에 이롭다. 게다가 인도인들은 한국, 홍콩, 일본, 대만에 가려면 도착 비자가 아니라 사전 비자가 필요해서 방문이 까다롭다. 게다가 베트남 역시 인도인들한테 비자를 요구하는데 그래도 앞서 언급된 지역들에 비하면 발급 받기 쉽다.[27] 사실 좌석 고장은 다른 저비용 항공사에서도 흔히 볼 수 있는 문제다.[28] 등록번호 : VN-A653[29] 등록번호 : VN-A657[30] 등록번호 : VN-A532[31] 대표적으로 티웨이항공을 티엣젯이라고 부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