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을 확인하세요.
<colbgcolor=#e6e6ea><colcolor=#333333> 차준환 車俊煥|Cha Junhwan | |||
| |||
출생 | 2001년 10월 21일 ([age(2001-10-21)]세) | ||
서울특별시 | |||
국적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
본관 | 연안 차씨 (延安 車氏) | ||
학력 | 서울잠신초등학교 (졸업) 휘문중학교 (졸업) 휘문고등학교 (졸업)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국제스포츠학부 / 재학) | ||
신체 | 180cm | 63kg[1] | O형 | ||
종목 | 피겨 스케이팅 | ||
국가대표 | 2015-16 시즌~현재 (11시즌) | ||
코치 | 지현정 | ||
랭킹 | 12위[2] | ||
병역 | 예술체육요원 (2025 하얼빈 동계 아시안 게임 피겨 스케이팅 남자 싱글) | ||
서명 | |||
링크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정보 더 보기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e6e6ea><colcolor=#333333> MBTI | ENTJ | |
가족 | 부모님, 형 | ||
반려묘 토르 | |||
前 코치 | 신혜숙 (2009년~2015년) | ||
브라이언 오서 (2015년~2023년)[3] | |||
팬 사이트 | |||
기타 링크 | ISU 바이오 | SkatingScores | ||
데뷔 | 2005년 (키즈 모델) | ||
2009년 제2회 서울교육감배 겸 제27회 서울빙상연맹회장배 피겨대회[5] (선수) | |||
2015년 어텀 클래식 인터내셔널 (국제 주니어 B급 대회) 2016년 릴레함메르 동계청소년올림픽 (국제 주니어 A급 대회) | |||
2017년 스케이트 캐나다 (국제 시니어 대회) | }}}}}}}}}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남자 싱글 피겨 스케이팅 선수.2. 선수 경력
3. 평가
| |
4S[6] | 4T[7] |
쿼드러플 살코, 쿼드러플 토룹 등 고난도 점프를 높은 퀄리티로 수행하며[9], 본인의 신체조건에 따라 스케일이 큰 쿼드러플 점프를 보여준다. 트리플 악셀의 경우 높이가 상당하다. 5종 점프 중 플립과 룹에 강점을 보인다.[10] 특히 2018-19 시즌부터 트리플 러츠+트리플 룹을 실전에서 수행하는데, 연결 점프로 룹을 수행하는 선수가 흔하지 않고 4-2 컴비네이션 점프와 기초점이 같으며[11] 컨시가 좋아 본인의 시그니처 컴비네이션 점프가 되었다.
스텝과 스핀의 레벨을 잘 채우고 준수한 수행을 보여주는 등 비점프 요소가 강점이다. 유연성이 뛰어나 보통의 시니어 남자 선수들이 많이 하지 않는 레이백 스핀을 수행하는데, 레이백 사이드웨이에서 8바퀴를 회전한 후 백워드로 변경하여 레벨을 높인다. 2024-25 시즌부터는 어려운 자세 변화로 카멜 포워드에서 레이백 캐치풋으로의 전환도 수행한다. 싯스핀의 경우 2022 사대륙선수권과 2016 JGP 파이널의 쇼트에서 보여준 수행이 많이 알려져 있다. 또한, 카멜 스핀의 자세 변형으로 '유나 스핀'이 가능하다.
| |
2019 컵 오브 차이나 | 2022 사대륙선수권 |
2019-20 시즌 초반에 언더 랜딩했던 쿼드러플 플립의 실전 성공과 4-3 콤비네이션의 안정화[13], 이를 통해 프로그램에 쿼드러플 점프의 개수를 늘리는 것이 과제로 남아있다. 2022-23 시즌부터 트리플 악셀의 컴비네이션과 단독 점프를 모두 후반부에 뛰기 시작하면서 실수가 잦아졌으나 2024-25 시즌에는 단독 점프를 전반으로 옮기면서 컨시가 올라가고 있다. 또한, 시즌을 거듭하며 개선되고 있으나 해당 점프의 도입 시간이 다소 긴 것은 단점으로 꼽힌다. 러츠의 경우, 정석이 아니지만 요즘 채점 경향 상 문제되지 않는 정도다.[14]
|
2025 하얼빈 동계 아시안 게임 우승 당시 |
4. 기록
4.1. 세계신기록
- 2017-18 시즌까지 적용된 GOE ±3 채점제에서 세운 주니어 세계신기록.
주니어 남자 싱글 총점 기록 | |||
날짜 | 점수 | 대회 | 비고 |
2016.09.10 | 239.47 | 2016 JGP 일본 | 2016년 12월 10일 드미트리 알리예프에 의해 경신. |
4.2. 이외의 기록
<rowcolor=#333333> 내용 | 비고 |
세계선수권 메달을 획득한 최초의 한국 남자 선수 | 2023 세계선수권 |
사대륙선수권에서 우승한 최초의 한국 남자 선수 | 2022 사대륙선수권 |
사대륙선수권 메달을 획득한 최초의 한국 남자 선수 | 2022 사대륙선수권 |
그랑프리 파이널 메달을 획득한 최초의 한국 남자 선수 | 2018-19 그랑프리 파이널 |
예브게니 플루셴코에 이어 두 번째로 어린 나이(만 17세 2개월)로 그랑프리 파이널 메달을 획득한 선수 | 2018-19 그랑프리 파이널 |
그랑프리 파이널에 진출한 최초의 한국 남자 선수 | 2018-19 그랑프리 파이널 |
그랑프리 시리즈 두 대회 연속 메달을 획득한 최초의 한국 남자 선수 | 2018 스케이트 캐나다, 2018 그랑프리 오브 헬싱키 |
그랑프리 시리즈 대회 메달을 획득한 최초의 한국 남자 선수 | 2018 스케이트 캐나다 |
챌린저 시리즈 대회에서 우승한 최초의 한국 남자 선수 | 2022 CS 핀란디아 트로피 |
챌린저 시리즈 두 대회 연속 메달을 획득한 최초의 한국 남자 선수 | 2018 CS 어텀 클래식, 2018 CS 핀란디아 트로피 |
동계 아시안 게임에서 우승한 최초의 한국 남자 선수 | 2025 하얼빈 동계 아시안 게임 |
동계 아시안 게임 메달을 획득한 최초의 한국 남자 선수 | 2025 하얼빈 동계 아시안 게임 |
주니어 그랑프리 파이널 메달을 획득한 최초의 한국 남자 선수 | 2016-17 JGP 파이널 |
주니어 그랑프리 시리즈 두 대회 연속 우승한 최초의 한국 남자 선수 | 2016 JGP 일본, 2016 JGP 독일 |
종합선수권에서 최다 연속 우승한 한국 내셔널 챔피언 | 2025 종합선수권 |
주니어 세계신기록을 경신한 최초의 한국 남자 선수 | 2016 JGP 일본 |
2016년 9월 10일 당시 최연소(만 14세 11개월)로 ISU 공인 대회에서 쿼드러플 점프를 성공한 선수 | 2016 JGP 일본 / 이후 2018 JGP 슬로바키아에서 스티븐 고골레프에 의해 경신 |
ISU 공인 대회에서 쿼드러플 점프를 성공한 최초의 한국 선수[15] | 2016 JGP 일본 |
2018 평창 동계올림픽에 참가한 모든 남자 싱글 선수들 중 가장 어린 나이(만 16세 4개월)로 올림픽에 참가한 선수 | 2018 평창 동계올림픽 |
쇼트 100점을 돌파한 최초의 한국 남자 선수[16] | 2023 월드 팀 트로피 |
프리 190점을 돌파한 최초의 한국 남자 선수[17] | 2023 세계선수권 |
총점 290점을 돌파한 최초의 한국 남자 선수[18] | 2023 세계선수권 |
5. ISU 공인 최고 점수
<colbgcolor=#e6e6ea><colcolor=#333333> ISU 공인 최고 점수 | |
쇼트 | 101.33(2023 월드 팀 트로피) |
프리 | 196.39(2023 세계선수권) |
총점 | 296.03(2023 세계선수권) |
6. 프로그램
※ 갈라(EX)는 편의상 해당 시즌 첫 경기부터 다음 시즌 첫 경기 전을 기준으로 하며, 아이스 쇼 기획 프로그램은 기재하지 않음. ※ 쇼트/프리 프로그램을 갈라 프로그램으로 재구성한 것은 '갈라용'으로 표시함. ※ 사용음악 세부 리스트, 작곡·편곡·실연자, 안무가 정보는 프로그램 첫 공개 시에만 기재하고, 이후에는 프로그램 제목만 기재함. |
<colcolor=#333333><rowcolor=#333333> 시즌 | 쇼트(SP) | 프리(FS) | 갈라(EX) |
<colbgcolor=#e6e6ea> 2024-2025 | 내추럴 Natural by 이매진 드래곤스 안무 셰린 본 | 미치광이를 위한 발라드(로꼬) Balada para un Loco by 아스토르 피아졸라 • performed by Milva • performed by Alfredo Marcucci & Ensemble Piacevole 안무 셰린 본 | 무슈마담 |
2023-2024 | 가면 무도회 가면 무도회 - 왈츠 by 아람 하차투리안 안무 셰린 본 | 배트맨 더 배트맨 OST by 마이클 지아키노 • The Batman Theme by Samuel Kim • Sonata in Darkness • Something in the Way by Samuel Kim • The Batman New Trailer 2 Music Theme 안무 셰린 본 | 무슈마담 Mr/Mme by Loïc Nottet 안무 기욤 시제롱 |
가면 무도회 갈라용 | |||
블랙 팬서 블랙 팬서 OST • Casino Brawl by 루드비히 고란손 • Pray for Me by 위켄드 & 켄드릭 라마 안무 신예지 | |||
골든 아워 | |||
2022-2023 | 마이클 잭슨 메들리 마이클 잭슨의 곡 모음 • Can You Feel It (Immortal Megamix) • Billie Jean • Smooth Criminal 안무 셰린 본 | 007 007 노 타임 투 다이 OST by 한스 짐머 • Gun Barrel • Square Escape • Message from an Old Friend • No Time to Die by Entropy Zero • No Time to Die by 빌리 아일리시 • Final Ascent 안무 셰린 본 | 마이클 잭슨 메들리 갈라용 |
투란도트 갈라용 | |||
골든 아워 Golden Hour by JVKE 안무 조이 러셀 | |||
빌리버 | |||
2021-2022 | 시계공 Eternal Eclipse의 곡 모음 • Fate of the Clockmaker by Flynn Hase Spence • Cloak and Dagger by Bianca Ban 안무 셰린 본 | 투란도트 투란도트 by 자코모 푸치니 • Popoli de Pekino • Violin Fantasy on Puccini's Turandot by 바네사 메이 • Nessun Dorma (O Sole! Vita! Eternita! 포함) by 호세 카레라스 안무 셰린 본 | 투란도트 갈라용 |
보이 위드 어 스타 | |||
홀미백 | |||
빌리버 Believer by 이매진 드래곤스 안무 신예지 | |||
크레이지 | |||
2020-2021 | 다크 패스토랄 Dark Pastoral by 레이프 본 윌리엄스 안무 데이비드 윌슨 | 더 파이어 위드인(더파윗) The Fire Within by Jennifer Thomas 안무 셰린 본 | - |
2019-2020 | 천사의 죽음 아스토르 피아졸라의 Tango 모음 • Michelangelo 70 • La Muerte del Angel 안무 데이비드 윌슨 | 크레이지 Crazy by 2WE1 안무 조이 러셀 | |
2018-2019 | 더 프린스(The Prince) 신데렐라(발레) by 세르게이 프로코피예프 • Walzer-Koda-Attaca • Mitternacht 안무 데이비드 윌슨 | 로미오와 줄리엣 로미오+줄리엣 OST • O Verona • Young Hearts Run Free • Kissing You • Balcony Scene • Mantua • Escape from Mantua 안무 셰린 본 | 보이 위드 어 스타(보윗스) Boy with a Star by 혁 안무 데이비드 윌슨 |
로미오와 줄리엣 갈라용 | |||
왓 어 원더풀 월드 갈라용 | |||
홀미백 | |||
2017-2018 | 집시 댄스 돈키호테(발레) - Gypsy Dance II by Ludwig Minkus 안무 데이비드 윌슨 | 일 포스티노 | 홀미백 There's Nothing Holdin' Me Back by 숀 멘데스 안무 데이비드 윌슨 |
왓 어 원더풀 월드(왓원월) What a Wonderful World by OneRepublic 안무 데이비드 윌슨 | 행성 행성 by 구스타브 홀스트 • Mars, the Bringer of War • Venus, the Bringer of Peace • Mercury, the Winged Messenger • Jupiter, the Bringer of Jollity 안무 데이비드 윌슨 | 일 포스티노 갈라용 | |
피넛 버터 젤리 | |||
왓 어 원더풀 월드 갈라용 | |||
2016-2017 | 코러스 라인 코러스 라인 OST by Marvin Hamlisch • One • I Hope I Get It • I Can Do That • The Music and the Mirror 안무 데이비드 윌슨 | 일 포스티노 일 포스티노 OST by 루이스 바칼로프 • Il Postino • Mi Mancherai by 조쉬 그로반 안무 데이비드 윌슨 | 피넛 버터 젤리 Peanut Butter Jelly by Galantis 안무 제프리 버틀 |
물랑 루즈[A] | |||
2015-2016 | 죽음의 무도 | 백조의 호수(흑조) 백조의 호수 by 표트르 차이콥스키 • Introduction • No.5 Pas de deux • No.18 Scène • No.24 Scène 안무 미야모토 켄지 | 물랑 루즈[B] 물랑 루즈 OST • One Day I'll Fly Away • The Show Must Go On 안무 신디 스튜어트 & 조이 러셀 |
여인의 향기(Por Una Cabeza) Tango from Scent of a Woman by 존 윌리엄스 안무 미야모토 켄지 | |||
2014-2015 | 죽음의 무도 죽음의 무도 by 카미유 생상스 안무 신디 스튜어트 | 라흐 피협 3번 피아노 협주곡 3번 by 라흐마니노프 (샤인 OST by David Hirschfelder) • The Rach. 3 • Night Practice/Parcel from Katharine 안무 신디 스튜어트 | 물랑 루즈[A] One Day I'll Fly Away (물랑 루즈 OST) by 니콜 키드먼 안무 신디 스튜어트 |
2013-2014 | 월광 월광 소나타 1악장 & 3악장 by 베토벤 안무 신예지 | 토카타와 푸가 토카타와 푸가 by 바흐 performed by 보스턴 심포니 오케스트라 안무 미야모토 켄지 | 고퍼 맘보 Gopher Mambo by Yma Sumac 안무 미야모토 켄지 |
2012-2013 | 환상 즉흥곡 | 미이라 미이라 OST by 제리 골드스미스 • The Mummy • The Caravan 미이라 2 OST by 앨런 실베스트리 • The Mummy Returns 안무 미야모토 켄지 | |
라흐 피협 2번 | 라 쿰파르시타 | ||
2011-2012 | 환상 즉흥곡 환상 즉흥곡 by 쇼팽 performed by Robert Wells 안무 미야모토 켄지 | 맘보 메들리 Pérez Prado의 Mambo 모음 • Granada • St. Louis Blues Mambo 안무 미야모토 켄지 | - |
2010-2011 | 라흐 피협 2번 피아노 협주곡 2번 1악장 by 라흐마니노프 안무 미야모토 켄지 | 라 쿰파르시타 La Cumparsita/Tango Please (댄싱 히어로 OST) by David Hirschfelder 안무 미야모토 켄지 | |
2009-2010 | - | 쿵푸팬더 쿵푸팬더 OST by 한스 짐머 & 존 파월 • Hero • Let the Tournament Begin 안무 신예지 |
7. 커리어
| ||
은메달 | 2023 사이타마 | 남자 싱글 |
| ||
금메달 | 2022 탈린 | 남자 싱글 |
동메달 | 2024 상하이 | 남자 싱글 |
| ||
동메달 | 2018-19 밴쿠버 | 남자 싱글 |
| ||
은메달 | 2023 도쿄 | 단체전 |
| ||
금메달 | 2025 하얼빈 | 남자 싱글 |
| ||
동메달 | 2025 토리노 | 남자 싱글 |
| ||
동메달 | 2016-17 마르세유 | 남자 싱글 |
2015-16 시즌 이후
국제대회:시니어 | ||||||||||
대회 | 15–16 | 16–17 | 17–18 | 18–19 | 19–20 | 20–21 | 21–22 | 22–23 | 23–24 | 24–25 |
올림픽 | 15th | 5th | ||||||||
세계선수권 | 19th | C | 10th | WD | 2nd | 10th | TBD | |||
사대륙선수권 | WD | 6th | 5th | 1st | 4th | 3rd | TBD | |||
GP 파이널 | 3rd | |||||||||
GP NHK 트로피 | 3rd | 3rd | ||||||||
GP 그란 프레미오 디'이탈리아 | 5th | |||||||||
GP 컵 오브 차이나 | 6th | C | ||||||||
GP 핀란드[19] | 3rd | WD | WD | |||||||
GP 스케이트 아메리카 | WD | 8th | 3rd | |||||||
GP 스케이트 캐나다 | 9th | 3rd | C | 9th | 3rd | |||||
CS 네벨혼 트로피 | 4th | |||||||||
CS 온드레이 네펠라 메모리얼 | 2nd | 6th | ||||||||
CS 골든 스핀 오브 자그레브 | WD | |||||||||
CS 핀란디아 트로피 | 2nd | 1st | ||||||||
CS 어텀 클래식 인터내셔널 | 2nd | 4th | ||||||||
아시안 게임 | 1st | |||||||||
세계대학경기대회 | 3rd | |||||||||
상하이 트로피 | WD | 2nd | 1st | |||||||
아시안 오픈 트로피 | WD | 6th | ||||||||
국제대회:주니어 | ||||||||||
청소년올림픽 | 5th | |||||||||
주니어 세계선수권 | 7th | 5th | WD | |||||||
JGP 파이널 | 3rd | |||||||||
JGP 독일 | 1st | |||||||||
JGP 일본 | 1st | |||||||||
어텀 클래식 인터내셔널 | 1st J | |||||||||
국내대회 | ||||||||||
종합선수권 | 3rd | 1st | 1st | 1st | 1st | 1st | 1st | 1st | 1st | 1st |
회장배 랭킹대회 | 1st | 1st | 2nd | 1st | 1st | 2nd | 1st | 1st | 1st | 1st |
동계체전 | 1st | WD | 1st | WD | ||||||
JGP 선발전 | 4th | 1st | ||||||||
단체전 | ||||||||||
올림픽 | 9th T 6th P | |||||||||
월드 팀 트로피 | 2nd T 1st P | |||||||||
청소년올림픽 | 6th T 3rd P | |||||||||
GP=그랑프리, JGP=주니어 그랑프리, CS=챌린저 시리즈, WD=기권, T=팀 결과, P=개인 결과, C=취소, J=주니어 |
2009-10 시즌~2014-15 시즌
국제대회:노비스 | ||||||
대회 | 09–10 | 10–11 | 11–12 | 12–13 | 13–14 | 14–15 |
메라노 컵 | 1st N | |||||
아시안 오픈 트로피 | 1st N | |||||
국내대회 | ||||||
종합선수권 | 4th J | 1st J | 1st J | 5th | 3rd | |
회장배 랭킹대회 | 1st J | 1st J | 1st J | 1st J | 1st J | |
동계체전 | 3rd N | 1st J | 1st J | 1st J | 1st | 1st |
종별선수권 | 1st N | 1st J | 1st J | |||
J=주니어, N=노비스 |
7.1. 대회 별 상세 점수
※ 모든 국제대회와 종합선수권, 랭킹대회, 동계체전, 종별선수권 점수를 기재. ※ 동계체전 예선전, 주니어 그랑프리·평창올림픽 1차·아시안 게임 겸 세계대학경기대회 선발전, 교육감배 피겨대회, 꿈나무대회는 미기재. |
시니어
2024–25 시즌 | ||||
날짜 | 대회 | 쇼트 | 프리 | 합계 |
2025.02.11-13 | 2025 하얼빈 동계 아시안 게임 | 2 94.09 | 1 187.60 | 1 281.69 |
2025.01.16-18 | 2025 토리노 동계 세계대학경기대회 | 5 82.40 | 2 182.54 | 3 264.94 |
2025.01.02-05 | 2025 종합선수권 | 1 90.53 | 1 190.49 | 1 281.02 |
2024.11.28-12.01 | 2024 회장배 랭킹대회 | 1 93.30 | 1 171.29 | 1 264.59 |
2024.11.15-17 | 2024 핀란디아 트로피 | 7 77.33 | WD | WD |
2024.10.25-27 | 2024 스케이트 캐나다 | 4 88.38 | 2 171.93 | 3 260.31 |
2024.10.03-05 | 2024 상하이 트로피 | 1 92.28 | 1 177.25 | 1 269.53 |
2024.09.19-21 | 2024 CS 네벨혼 트로피 | 10 69.81 | 3 158.67 | 4 228.48 |
2023–24 시즌 | ||||
날짜 | 대회 | 쇼트 | 프리 | 합계 |
2024.03.19-24 | 2024 세계선수권 | 9 88.21 | 11 161.44 | 10 249.65 |
2024.02.01-04 | 2024 사대륙선수권 | 3 95.30 | 2 177.65 | 3 272.95 |
2024.01.04-07 | 2024 종합선수권 | 1 96.51 | 1 179.43 | 1 275.94 |
2023.11.30-12.03 | 2023 회장배 랭킹대회 | 1 86.28 | 1 174.25 | 1 260.53 |
2023.10.26-29 | 2023 스케이트 캐나다 | 2 86.18 | 11 130.43 | 9 216.61 |
2023.10.03-05 | 2023 상하이 트로피 | 1 91.80 | 2 163.06 | 2 254.86 |
2022.09.28-30 | 2023 CS 온드레이 네펠라 메모리얼 | 2 83.91 | 7 138.25 | 6 222.16 |
2022–23 시즌 | ||||
날짜 | 대회 | 쇼트 | 프리 | 합계 |
2023.04.13-16 | 2023 월드 팀 트로피 | 2 101.33 | 1 187.82 | 2T/1P 289.15 |
2023.03.23-25 | 2023 세계선수권 | 3 99.64 | 2 196.39 | 2 296.03 |
2023.02.18-19 | 2023 동계체전 | 1 100.70 | 1 181.23 | 1 281.93 |
2023.02.09-11 | 2023 사대륙선수권 | 5 83.77 | 4 166.37 | 4 250.14 |
2023.01.07-08 | 2023 종합선수권 | 1 101.04 | 1 170.17 | 1 271.21 |
2022.12.03-04 | 2022 회장배 랭킹대회 | 1 101.36 | 1 185.19 | 1 286.55 |
2022.11.18-19 | 2022 NHK 트로피 | 6 80.35 | 2 174.41 | 3 254.76 |
2022.10.21-22 | 2022 스케이트 아메리카 | 2 94.44 | 3 169.61 | 3 264.05 |
2022.10.06-07 | 2022 CS 핀란디아 트로피 | 1 91.06 | 1 162.14 | 1 253.20 |
2022.09.30-10.01 | 2022 CS 온드레이 네펠라 메모리얼 | 2 80.81 | 2 145.51 | 2 226.32 |
2021–22 시즌 | ||||
날짜 | 대회 | 쇼트 | 프리 | 합계 |
2022.03.24-26 | 2022 세계선수권 | 17 82.43 | WD | WD |
2022.02.08-10 |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 4 99.51 | 7 182.87 | 5 282.38 |
2022.01.21-23 | 2022 사대륙선수권 | 1 98.96 | 1 174.26 | 1 273.22 |
2022.01.08-09 | 2022 종합선수권 | 1 98.31 | 1 185.00 | 1 283.31 |
2021.12.04-05 | 2021 회장배 랭킹대회 | 1 87.09 | 2 152.07 | 1 239.16 |
2021.11.12-13 | 2021 NHK 트로피 | 3 95.92 | 5 163.68 | 3 259.60 |
2021.11.05-06 | 2021 그란 프레미오 디'이탈리아 | 3 95.56 | 6 152.18 | 5 247.74 |
2021.10.14-15 | 2021 아시안 오픈 트로피 | 5 74.47 | 5 139.77 | 6 214.24 |
2020–21 시즌 | ||||
날짜 | 대회 | 쇼트 | 프리 | 합계 |
2021.03.25-27 | 2021 세계선수권 | 8 91.15 | 13 154.84 | 10 245.99 |
2021.03.12-13 | 2021 회장배 랭킹대회 | 1 77.95 | 2 147.25 | 2 225.20 |
2021.02.25-26 | 2021 종합선수권 | 1 90.36 | 1 166.76 | 1 257.12 |
2019–20 시즌 | ||||
날짜 | 대회 | 쇼트 | 프리 | 합계 |
2020.02.07-09 | 2020 사대륙선수권 | 6 90.37 | 4 175.06 | 5 265.43 |
2020.01.04-05 | 2020 종합선수권 | 1 93.45 | 1 185.09 | 1 278.54 |
2019.12.13-15 | 2019 회장배 랭킹대회 | 1 89.61 | 1 164.83 | 1 254.44 |
2019.11.08-09 | 2019 컵 오브 차이나 | 11 69.40 | 6 152.86 | 6 222.26 |
2019.10.18-19 | 2019 스케이트 아메리카 | 7 78.98 | 9 140.69 | 8 219.67 |
2019.09.13-14 | 2019 CS 어텀 클래식 인터내셔널 | 4 84.23 | 4 146.21 | 4 230.44 |
2018–19 시즌 | ||||
날짜 | 대회 | 쇼트 | 프리 | 합계 |
2019.03.21-23 | 2019 세계선수권 | 18 79.17 | 18 150.09 | 19 229.26 |
2019.02.21-22 | 2019 동계체전 | 1 85.06 | 1 154.11 | 1 239.17 |
2019.02.07-09 | 2019 사대륙선수권 | 2 97.33 | 8 158.50 | 6 255.83 |
2019.01.12-13 | 2019 종합선수권 | 1 89.12 | 1 156.40 | 1 245.52 |
2018.12.22-23 | 2018 회장배 랭킹대회 | 1 77.28 | 1 179.73 | 1 257.01 |
2018.12.06-07 | 2018-19 그랑프리 파이널 | 4 89.07 | 3 174.42 | 3 263.49 |
2018.11.03-04 | 2018 그랑프리 오브 헬싱키 | 4 82.82 | 3 160.37 | 3 243.19 |
2018.10.26-27 | 2018 스케이트 캐나다 | 3 88.86 | 3 165.91 | 3 254.77 |
2018.10.05-06 | 2018 CS 핀란디아 트로피 | 2 84.67 | 2 154.52 | 2 239.19 |
2018.09.21-22 | 2018 CS 어텀 클래식 인터내셔널 | 2 90.56 | 1 169.22 | 2 259.78 |
2017-18 시즌까지 적용된 GOE ±3 채점제에서 2018-19 시즌부터 GOE ±5 채점제로 변경 | ||||
2017–18 시즌 | ||||
날짜 | 대회 | 쇼트 | 프리 | 합계 |
2018.02.16-17 | 2018 평창 동계올림픽 개인전 | 15 83.43 | 14 165.16 | 15 248.59 |
2018.02.09 | 2018 평창 동계올림픽 단체전 | 6 77.70 | - | 9T |
2018.01.06-07 | 2018 종합선수권 | 1 84.05 | 1 168.60 | 1 252.65 |
2017.12.02-03 | 2017 회장배 랭킹대회 | 2 75.24 | 2 149.42 | 2 224.66 |
2017.10.27-28 | 2017 스케이트 캐나다 | 11 68.46 | 8 141.86 | 9 210.32 |
주니어, 노비스
2016–17 시즌 | |||||
날짜 | 대회 | 레벨 | 쇼트 | 프리 | 합계 |
2017.03.15-16 | 2017 주니어 세계선수권 | 주니어 | 2 82.34 | 6 160.11 | 5 242.45 |
2017.01.07-08 | 2017 종합선수권 | 시니어 | 1 81.83 | 1 157.24 | 1 238.07 |
2016.12.08-10 | 2016-17 JGP 파이널 | 주니어 | 4 71.84 | 3 153.70 | 3 225.55 |
2016.10.14-16 | 2016 회장배 랭킹대회 | 시니어 | 3 75.82 | 1 166.62 | 1 242.44 |
2016.10.06-08 | 2016 JGP 독일 | 주니어 | 1 76.82 | 1 143.72 | 1 220.54 |
2016.09.09-10 | 2016 JGP 일본 | 주니어 | 2 79.34 | 1 160.13 | 1 239.47JWR |
2015–16 시즌 | |||||
날짜 | 대회 | 레벨 | 쇼트 | 프리 | 합계 |
2016.03.16-18 | 2016 주니어 세계선수권 | 주니어 | 7 74.38 | 6 132.73 | 7 207.11 |
2016.02.20 | 2016 릴레함메르 동계청소년올림픽 단체전 | 주니어 | - | 3 139.97 | 6T |
2016.02.13-15 | 2016 릴레함메르 동계청소년올림픽 | 주니어 | 4 68.76 | 5 130.14 | 5 198.90 |
2016.01.08-10 | 2016 종합선수권 | 시니어 | 4 58.60 | 3 131.38 | 3 189.98 |
2015.12.04-06 | 2015 회장배 랭킹대회 | 시니어 | 3 70.41 | 1 149.99 | 1 220.40 |
2015.10.13-14 | 2015 어텀 클래식 인터내셔널 | 주니어 | 1 65.48 | 1 132.96 | 1 198.44 |
2014–15 시즌 | |||||
날짜 | 대회 | 레벨 | 쇼트 | 프리 | 합계 |
2015.02.24-25 | 2015 동계체전 | 시니어 (남중부 A) | 1 60.53 | 1 119.65 | 1 180.18 |
2015.01.07-09 | 2015 종합선수권 | 시니어 | 4 58.28 | 3 122.85 | 3 181.13 |
2014.12.05-07 | 2014 회장배 랭킹대회 | 주니어 | 1 57.36 | 1 118.36 | 1 175.74 |
2014.11.14-15 | 2014 메라노 컵 | 노비스 | 1 46.16 | 1 88.68 | 1 134.84 |
2013–14 시즌 | |||||
날짜 | 대회 | 레벨 | 쇼트 | 프리 | 합계 |
2014.02.28-03.01 | 2014 동계체전 | 시니어 (남초부 A) | 1 59.35 | 1 118.14 | 1 177.49 |
2014.01.03-05 | 2014 종합선수권 | 시니어 | 5 60.44 | 3 123.94 | 5 184.38 |
2013.11.22-24 | 2013 회장배 랭킹대회 | 주니어 | 1 56.56 | 1 113.75 | 1 170.31 |
2012–13 시즌 | |||||
날짜 | 대회 | 레벨 | 쇼트 | 프리 | 합계 |
2013.02.18-19 | 2013 동계체전 | 주니어 (남초부 B) | 1 50.55 | 1 93.49 | 1 144.04 |
2013.01.04-05 | 2013 종합선수권 | 주니어 | 1 50.67 | 1 100.07 | 1 150.74 |
2012.11.02-03 | 2012 회장배 랭킹대회 | 주니어 | 1 44.21 | 1 99.72 | 1 143.93 |
2012.08.08-11 | 2012 아시안 오픈 트로피 | 노비스 | 2 36.15 | 1 79.01 | 1 115.16 |
2011–12 시즌 | |||||
날짜 | 대회 | 레벨 | 쇼트 | 프리 | 합계 |
2012.04.07-08 | 2012 종별선수권 | 주니어 (남초부 B) | 1 43.85 | 1 82.27 | 1 126.12 |
2012.02.16-17 | 2012 동계체전 | 주니어 (남초부 B) | 1 42.30 | 1 74.36 | 1 116.66 |
2012.01.06-08 | 2012 종합선수권 | 주니어 | 1 46.26 | 1 86.95 | 1 133.21 |
2011.11.24-25 | 2011 회장배 랭킹대회 | 주니어 | 1 39.73 | 1 83.46 | 1 123.19 |
2010–11 시즌 | |||||
날짜 | 대회 | 레벨 | 쇼트 | 프리 | 합계 |
2011.04.13-15 | 2011 종별선수권 | 주니어 (남초부 B) | 1 35.16 | 1 76.39 | 1 111.55 |
2011.02.11 | 2011 동계체전 | 주니어 (남초부 B) | 1 39.84 | C | 1 39.84 |
2011.01.15-16 | 2011 종합선수권 | 주니어 | 3 37.16 | 4 70.65 | 4 107.81 |
2010.10.29-30 | 2010 회장배 랭킹대회 | 주니어 | 1 33.37 | 1 69.76 | 1 103.13 |
2009–10 시즌 | |||||
날짜 | 대회 | 레벨 | 쇼트 | 프리 | 합계 |
2010.04.09 | 2010 종별선수권 | 노비스 (남초부 D) | - | 1 49.20 | 1 49.20 |
2010.02.02 | 2010 동계체전 | 노비스 (남초부 D) | - | 3 40.62 | 3 40.62 |
7.2. 참고 이력
점프 성공 이력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rowcolor=#333333> 점프 | 시즌 | 연도·월 | 대회 | 만 나이 |
더블 악셀(2A) | 2010-11 시즌 | 2011년 1월 | 2011 종합선수권 | 9세 | |
트리플 토룹(3T) | 2011-12 시즌 | 2011년 11월 | 2011 회장배 랭킹대회 | 10세 | |
트리플 살코(3S) | 2012년 4월 | 2012 종별선수권 | 10세 | ||
트리플 러츠(3Lz) | 2012-13 시즌 | 2012년 8월 | 2012 아시안 트로피 | 10세 | |
트리플 플립(3F) | 2012년 10월 | 2012 꿈나무대회 | 10세~11세 | ||
트리플 룹(3Lo) | 2013-14 시즌 | 2013년 11월 | 2013 서울교육감배 겸 서울연맹회장배 대회 | 12세 | |
트리플 악셀(3A) | 2015-16 시즌 | 2015년 10월 | 2015 어텀 클래식 / GOE 감점 | 13세 | |
2015년 12월 | 2015 회장배 랭킹대회 / GOE 획득(국내) | 14세 | |||
2016년 3월 | 2016 주니어 세계선수권 / GOE 획득(국제) | 14세 | |||
쿼드러플 살코(4S) | 2016-17 시즌 | 2016년 9월 | 2016 JGP 일본 | 14세 | |
쿼드러플 토룹(4T) | 2017-18 시즌 | 2017년 7월 | 2017 평창올림픽 1차선발전 / 국내 | 15세 | |
2018-19 시즌 | 2018년 9월 | 2018 CS 어텀 클래식 / 국제 | 16세 | ||
실전 경기에서 회전수 부족 없이 랜딩한 경우 기준 |
시즌 베스트(SB) 이력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rowcolor=#333> 시즌 | 쇼트 SB | 프리 SB | 총점 SB | 총점 SB 세계 순위 |
2009-10 시즌 | - | 49.20 2010 종별선수권 | 프리와 같음 | - | |
2010-11 시즌 | 39.84 2011 동계체전 | 76.39 2011 종별선수권 | 111.55 2011 종별선수권 | ||
2011-12 시즌 | 46.26 2012 종합선수권 | 86.95 2012 종합선수권 | 133.21 2012 종합선수권 | ||
2012-13 시즌 | 50.55 2012 꿈나무대회 | 106.57 2012 꿈나무대회 | 161.62 2012 꿈나무대회 | ||
2013-14 시즌 | 60.44 2014 종합선수권 | 123.94 2014 종합선수권 | 184.38 2014 종합선수권 | ||
2014-15 시즌 | 60.53 2015 동계체전 | 122.85 2015 종합선수권 | 181.13 2015 종합선수권 | ||
이후 시즌부터 ISU 공인 점수만 기준으로 함 | |||||
2015-16 시즌 | 74.38 2016 주니어 세계선수권 | 139.97 2016 동계청소년올림픽 단체전 | 207.11 2016 주니어 세계선수권 | 50위 | |
2016-17 시즌 | 82.34 2017 주니어 세계선수권 | 160.13 2016 JGP 일본 | 242.45 2017 주니어 세계선수권 | 24위 | |
GOE ±3 채점제에서 주니어 남자 싱글 부문 역대 개인 최고 기록(PB) 쇼트 3위, 프리 7위, 총점 5위 | |||||
2017-18 시즌 | 83.43 2018 동계올림픽 | 165.16 2018 동계올림픽 | 248.59 2018 동계올림픽 | 25위 | |
이후 시즌부터 GOE ±3 채점에서 ±5 채점으로 바뀜 | |||||
2018-19 시즌 | 97.33 2019 사대륙선수권 | 174.42 2018-19 그랑프리 파이널 | 263.49 2018-19 그랑프리 파이널 | 10위 | |
2019-20 시즌 | 90.37 2020 사대륙선수권 | 175.06 2020 사대륙선수권 | 265.43 2020 사대륙선수권 | 8위 | |
2020-21 시즌 | 91.15 2021 세계선수권 | 154.84 2021 세계선수권 | 245.99 2021 세계선수권 | 10위 | |
2021-22 시즌 | 99.51 2022 동계올림픽 | 182.87 2022 동계올림픽 | 282.38 2022 동계올림픽 | 7위 | |
2022-23 시즌 | 101.33 2023 월드 팀 트로피 | 196.39 2023 세계선수권 | 296.03 2023 세계선수권 | 2위 | |
2023-24 시즌 | 95.30 2024 사대륙선수권 | 177.65 2024 사대륙선수권 | 272.95 2024 사대륙선수권 | 10위 | |
전체 SB 및 PB 목록 개인 SB 및 PB 이력 GOE ±3 채점제 주니어 PB 목록 GOE ±5 채점제 시니어 PB 목록 |
8. 기타 활동
9. 여담
- 별명으로는 피겨 프린스, 주난, 주나니, 피왕차[20], Jun[21], Baby Jun[22], Cha-rming Jun[23], 시나몬롤, 소차(小車)[24], 차차구(車車菇)[25] 등이 있다. 2018-19 시즌 한정으로 준리엣[26]이라는 별명도 있다. 2023 세계선수권 갈라에서는 한국의 프린스로 소개되었고, 아이스쇼에서도 왕자 혹은 귀공자 등으로 소개된다.
- 고등학교 재학 시절 학교에서의 별명은 전설의 포켓몬이었는데, 캐나다에서 훈련 중이어서 학교에 어쩌다가 출몰했기 때문이다.
- 2011년에 방송된 김연아의 키스 앤 크라이에서 진지희와 파트너로 참가했다. 이후 2022년 런닝맨에 출연하여 11년 만에 진지희와 재회했다.
- 2011년 11월 평창 동계올림픽 아이스 댄스 국가대표 육성팀 선발 테스트에 참여한 적 있다.
- 외모, 스케이팅 스타일, 좋은 팬 서비스로 대회가 열리는 각 나라에서 인기가 많다. 피겨 스케이팅 팬층이 두꺼운 일본에서 실검에 자주 오르는 등 인기가 많은 편인데, 한 일본 팬이 작성한 '봐라 전인류(全人類見ろ!!!!)' 문구가 국내 인터넷에서 화제가 되어 문명특급에 나오기도 했다.
- 어릴 시절부터 장발 스타일을 해왔고, 캐나다에서 전지훈련을 하던 시절에는 현지에서 제대로 잘라주는 미용실이 없어서 한동안 장발을 유지했었다. 또 스케이트 탈 때 머리카락이 흔들리는 느낌, 기분이 좋다고 한다. 2019-20 시즌에 처음 펌 헤어를 했고, 이후 2021-22 시즌부터 2022-23 시즌 중반, 2024-25 시즌 등 주기적으로 펌을 하고 있다.
- 뷰티 유튜버 율리가 사촌 누나이다. 율리가 댓글에서 밝혔으며, 인스타그램 스토리에서 차준환의 경기를 응원하기도 했다.
- 웜업 시 링크 한 가운데에서 스크래치 스핀을 한 뒤 저지를 벗고 2번의 왈츠 점프와 트리플 룹을 뛴 다음 본격적으로 점프 연습하는 것이 대표적 루틴이다. 경기 전 관중석에서 명상을 하거나 주변 계단에서 시뮬레이션을 하는 모습이 발견되기도 한다.
- 경기장에서 주로 붉은빛의 음료수를 마시는데, 팬들뿐만 아니라 종종 사진가들도 '장미수' 혹은 장미 우린 물이라고 지칭한다. 실제로는 발포 비타민 같은 것으로 비트맛이 난다고 한다.
- 시상식에서 항상 꽃 향기를 맡는데, 향기를 맡은 후 고개를 끄덕이거나 '생화다'라고 말하는 경우도 있다.
- 스케이트화 사이즈가 260은 작고 265는 크다고 한다. 이로 인해 부츠 문제로 심각한 고생을 했고, 현재도 완전히 해결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 2016-17 시즌부터 배경술 디자이너와 함께 경기 의상을 준비하고 있다. 정확한 오피셜은 없었다가 2022년 2월 배경술 디자이너의 영상 인터뷰를 통해 알려졌다.
- 요거트 아이스크림과 유자차처럼 상큼한 맛을 좋아한다. 고기 특수부위를 좋아하고 민초에 대해 호의적이다.
- 방송 및 행사 등에서 좋아하는 음악 및 추천곡으로 제이홉의 Just Dance, 로제의 On The Ground, 콜드플레이의 Fix You, 레이디 가가&브래들리 쿠퍼의 Shallow, 임윤찬이 연주한 라흐마니노프 피아노 협주곡 3번, 해리 스타일스의 As It Was, 레이디 가가&브루노 마스의 Die With A Smile을 꼽은 바 있다.
- 2018년부터 송지효를 이상형으로 언급해 오고 있다. 2022년 2월 10일 인터뷰에서 SNS를 통해 친해지고 싶은 연예인 질문에는 블랙핑크 로제라고 답했다.
- 2020년 1월 10일 스위스 로잔에서 열린 제135차 IOC 총회에 2024 강원 동계청소년올림픽 유치 대표단으로 참석하여 영어 프리젠테이션을 했다.
- 2020년 5월 12일 비디오 스타 녹화 전 포토 타임에서 기자들에게 아이돌로 오해받았다.
- 2022년 3월 1일 103주년 삼일절 기념식에 참석하여 국기에 대한 맹세를 낭독했다.
- 2023년 4월 9일 잠실야구장에서 열린 LG 트윈스와 삼성 라이온즈의 경기에서 시구를 했다. 당시 휘문고등학교 동문인 투수 이민호가 시구 지도를 했다.
- 선수 경력에도 서술되어 있지만 2025 하얼빈 동계 아시안 게임에서 대한민국 남자 피겨 최초로 금메달을 수상해 병역특례를 적용받게 되면서 인터넷 상에서 '피겨로 병역특례 받은 최초의 선수'로 다시 한 번 유명해졌다.[27]
10. 역대 프로필 사진
국가대표 |
|
2022 베이징 올림픽 |
11.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ffffff)" {{{#!wiki style="margin-top:-8px;margin-bottom:-8px;" | <table bordercolor=#ffffff,#1f2023>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fff> 1회 | 1999 핼리팩스 |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fff> 2회 | 2000 오사카 | ||
3회 | 2001 솔트레이크 시티 | 4회 | 2002 전주 | |||
5회 | 2003 베이징 | 6회 | 2004 해밀턴 | |||
7회 | 2005 강릉 | 8회 | 2006 콜로라도 스프링스 | |||
9회 | 2007 콜로라도 스프링스 | 10회 | 2008 고양 | |||
11회 | 2009 밴쿠버 | 12회 | 2010 전주 | |||
13회 | 2011 타이페이 | 14회 | 2012 콜로라도 스프링스 | |||
15회 | 2013 오사카 | 16회 | 2014 타이페이 | |||
17회 | 2015 서울 | 18회 | 2016 타이페이 | |||
19회 | 2017 강릉 | 20회 | 2018 타이페이 | |||
21회 | 2019 애너하임 | 22회 | 2020 서울 | |||
23회 | 2021 시드니 | 취소COVID-19 | 24회 | 2022 탈린 | ||
25회 | 2023 콜로라도 스프링스 | 26회 | 2024 상하이 | |||
27회 | 2025 서울 | 28회 | 2026 베이징 | |||
피겨 스케이팅 주요 대회 역대 챔피언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885C2 20%, #FBB132 20%, #FBB132 40%, #000 40%, #000 60%, #1C8B3C 60%, #1C8B3C 80%, #ED334E 80%); font-size: 1em;"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ffffff)" {{{#!wiki style="margin-top:-8px;margin-bottom:-8px;" | <table bordercolor=#ffffff,#1f2023>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fff> 1회 | 1986 삿포로 |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fff> 2회 | 1990 삿포로 | 미개최세계선수권과 겹침 | |
3회 | 1996 하얼빈 | 4회 | 1999 강원 | |||
5회 | 2003 아오모리 | 6회 | 2007 창춘 | |||
7회 | 2011 아스타나·알마티 | 8회 | 2017 삿포로 | |||
9회 | 2025 하얼빈 | 10회 | 2029 네옴시티 | |||
피겨 스케이팅 기타 국제대회 역대 챔피언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c3b6e; font-size: 1em;"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ffffff)" {{{#!wiki style="margin-top:-8px;margin-bottom:-8px;" | <table bordercolor=#ffffff,#1f2023>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50회(1996년)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fff> |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fff> 1955 | 1955 화천 | 이명 | ||
1956 | 1956 연천 | 이해정 | 1957 | 1957 서울 | 오경학 | |
1958 | 1958 철원 | 오경학 | 1959 | 1959 연천 | 양두식 | |
15회 | 1960 서울 | 양두식 | 16회 | 1961 서울 | 지절언 | |
18회 | 1963 서울 | 지절언 | 19회 | 1964 서울 | 고영흠 | |
1965 | 1965 서울 | 고영흠 | 22회 | 1967 서울 | 남자 싱글 부문 미개최 | |
23회 | 1968 서울 | 이광영 | 24회 | 1969 서울 | 이광영 | |
26회 | 1971 서울 | 김훈 | 27회 | 1972 서울 | 남자 싱글 부문 미개최 | |
28회 | 1974 서울 | 남자 싱글 부문 미개최 | 29회 | 1975 서울 | 한수봉 | |
30회 | 1976 서울 | 남자 싱글 부문 미개최 | 31회 | 1977 서울 | 한수봉 | |
32회 | 1978 서울 | 한수봉 | 33회 | 1979 서울 | 남자 싱글 부문 미개최 | |
34회 | 1979 서울 | 남자 싱글 부문 미개최 | 35회 | 1981 서울 | 남자 싱글 부문 미개최 | |
36회 | 1982 서울 | 남자 싱글 부문 미개최 | 37회 | 1983 서울 | 조재영 | |
38회 | 1983 서울 | 남자 싱글 부문 미개최 | 40회 | 1986 서울 | 남자 싱글 부문 미개최 | |
41회 | 1987 서울 | 정성일 | 42회 | 1988 서울 | 남자 싱글 부문 미개최 | |
43회 | 1989 서울 | 남자 싱글 부문 미개최 | 44회 | 1990 서울 | 정성일 | |
46회 | 1992 서울 | 정성일 | 48회 | 1994 서울 | 정성일 | |
49회 | 1995 서울 | 정성일 | 50회 | 1996 서울 | 이규현 | }}}}}}}}} |
51회(1997년) ~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fff> 51회 | 1997 서울 | 이규현 |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fff> 52회 | 1998 서울 | 이규현 |
53회 | 1999 서울 | 이규현 | 54회 | 2000 서울 | 이규현 | |
55회 | 2001 서울 | 이규현 | 56회 | 2002 서울 | 이규현 | |
57회 | 2003 서울 | 이규현 | 58회 | 2004 서울 | 이동훈 | |
59회 | 2005 서울 | 이동훈 | 60회 | 2006 서울 | 이동훈 | |
61회 | 2007 서울 | 이동훈 | 62회 | 2008 고양 | 이동훈 | |
63회 | 2009 고양 | 김민석 | 64회 | 2010 서울 | 김민석 | |
65회 | 2011 서울 | 이동원 | 66회 | 2012 서울 | 김진서 | |
67회 | 2013 서울 | 이준형 | 68회 | 2014 고양 | 김진서 | |
69회 | 2015 서울 | 이준형 | 70회 | 2016 서울 | 이준형 | |
71회 | 2017 강릉 | 차준환 | 72회 | 2018 서울 | 차준환 | |
73회 | 2019 서울 | 차준환 | 74회 | 2020 의정부 | 차준환 | |
75회 | 2021 의정부 | 차준환 | 76회 | 2022 의정부 | 차준환 | |
77회 | 2023 의정부 | 차준환 | 78회 | 2024 의정부 | 차준환 | |
79회 | 2025 의정부 | 차준환 | 80회 | 2026 | ? | }}}}}}}}} |
피겨 스케이팅 내셔널 역대 챔피언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c3b6e; font-size: 1em;" | }}}}}}}}} |
<rowcolor=#ffffff> 남자 싱글 | 여자 싱글 | 페어 |
차준환 | 변지현 | 김수연 / 김형태 |
<rowcolor=#ffffff> 남자 싱글 | 여자 싱글 | |
차준환 | 최다빈 | 김하늘 |
<rowcolor=#ffffff> 페어 | 아이스 댄스 | |
김규은 / 감강찬 | 민유라 / 알렉산더 겜린 |
<rowcolor=#ffffff> 남자 싱글 | 여자 싱글 | ||
차준환 | 이시형 | 유영 | 김예림 |
페어, 아이스 댄스의 경우 출전권을 획득하지 못했기 때문에 국가대표로서는 남녀 싱글만 출전한다. 따라서 본 틀에는 남녀 싱글만을 정리한다. |
<rowcolor=#fff> 남자 싱글 | 여자 싱글 | ||
차준환 | 김현겸 | 김채연 | 김서영 |
[1] 신장과 체중은 2025년 1월에 공개된 하얼빈 동계 아시안 게임 공식 프로필과 2월에 업데이트 된 네이버 프로필 기준이다. 국제빙상경기연맹 공식 프로필에는 신장이 178cm로 기재되어 있는데, 신체에 대한 부분은 2019년 9월에 업데이트된 것이 마지막이다.[2] 2025년 2월 16일 기준 ISU World Standings 2024/2025 Men[3] 토론토 크리켓 스케이팅 & 컬링 클럽(TCC)의 메인 코치로 차준환은 2015년부터 2020년 3월까지 이곳에서 훈련했다. 코로나 이후에는 국내에서 훈련하며 원격으로 코칭 받았다. 또한 이 클럽의 소속으로서 점프 코치에는 지슬랭 브리앙, 스케이팅 스킬 코치에는 트레이시 윌슨이 있었다.[4] 경기 및 공연별 영상과 프로토콜이 정리된 노션 페이지다.[5] 출전 기록이 있으나 남아있는 영상은 없다. 영상이 남아 있는 최초 대회는 2009년 제22회 서울시장배 빙상경기대회 겸 제91회 전국동계체전 서울시 예선이다.[6] 2023 세계선수권 당시 GOE(가산점) 4.16점, 기술점(TES) 13.86점[7] 2021 NHK 트로피 당시 GOE(가산점) 2.85점, 기술점(TES) 12.35점[8] 싱글 피겨 스케이팅에서는 점프 회전과 랜딩 밸런스를 위해 단신에 작은 체격일수록 유리한데, 신장과 체격에 따라 회전축과 회전력에 영향이 있으며 체중에 따라 랜딩시에 가해지는 충격이 다르기 때문이다. 남자 싱글 중 170cm대 후반 및 180cm대의 선수들도 있으나 세계 정상급에 가까울 수록 160cm대 및 170cm대 초반인 경우가 많다. 단적인 예로, ISU 바이오 기준으로 세계선수권 1~10위의 남자 싱글 선수들의 평균 키는 2021년 167.5cm, 2022년 168.6cm, 2023년 167cm다.[9] 단독 쿼드러플 점프에서 받은 개인 최고 가산점은 4.16점으로, 2023 세계선수권 프리에서 뛴 쿼드러플 살코다.[10] 플립의 경우 직선의 도입 궤적을 그리며 얕은 인엣지로 바르게 도약한다. 룹의 경우 단독 트리플은 2021-22 시즌부터 경기 구성에 넣지 않지만 공식 연습이나 경기 직전 대기 시간에 웜업을 위한 점프로 활용한다.[11] 10.80점으로 쿼드러플 토룹+더블 토룹과 기초점이 같다. 다만 가산점 팩터의 차이가 있다.[12] 이전의 경기에서는 주로 기본형의 이나 바우어를 사용했고, 갈라에서는 프로그램마다 다양한 형태의 이나 바우어를 선보였다.[13] 실전에서는 2023 CS 온드레이 네펠라 메모리얼에서 GOE 2.72점을 받으며 성공하여 공인받았다.[14] 깊은 아웃엣지로 도입하다가 도약 시에는 얕은 아웃엣지나 중립이 되는 경우로, 대부분 엣지콜을 받지 않지만 간혹 어텐션 판정이 나온다. 주니어로 데뷔한 2015-16 시즌에는 인엣지 상태로 도약하는 플러츠로, 국제대회에서 7번의 어텐션과 2번의 롱엣지 판정을 받았다. 그러나 2016-17 시즌 이후로는 롱엣지 판정을 전혀 받지 않았고, 한 시즌에 한 경기 정도로 가끔 어텐션 판정을 받는다.[15] ISU 공인 대회에서 쿼드러플 살코(2016 JGP 일본), 쿼드러플 토룹(2018 CS 어텀 클래식)을 성공한 최초의 한국 남자 선수이다.[16] ISU 공인 점수 기준. 쇼트 80점(2017 주니어 세계선수권), 90점(2018 CS 어텀 클래식)을 돌파한 최초의 한국 남자 선수이기도 하다. 세계적으로는 GOE ±5 채점제 이후 쇼트 100점을 돌파한 12번째 남자 선수이다.[17] ISU 공인 점수 기준. 프리 140-160점(2016 JGP 일본), 170점(2018 그랑프리 파이널), 180점(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을 돌파한 최초의 한국 남자 선수이기도 하다. 세계적으로는 GOE ±5 채점제 이후 프리 190점을 돌파한 7번째 남자 선수이다.[18] ISU 공인 점수 기준. 총점 210-230점(2016 JGP 일본), 240점(2017 주니어 세계선수권), 250점(2018 CS 어텀 클래식), 260점(2018 그랑프리 파이널), 270점(2022 사대륙선수권), 280점(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을 돌파한 최초의 한국 남자 선수이기도 하다. 세계적으로는 GOE ±5 채점제 이후 총점 290점을 돌파한 6번째 남자 선수이다.[19] 2018년 그랑프리 오브 헬싱키, 2023년 그랑프리 오브 에스포, 2024년 핀란디아 트로피[20] '피겨 왕자 차준환'의 준말이다.[21] 이름 중 '환'의 발음이 어려워서 해외 팬들과 대부분의 해외 선수들이 이렇게 부른다.[22] 해외 팬들이 부르는 별명 중 하나로, 주로 시니어 초기에 많이 불렸다.[23] 해외 팬들이 부르는 애칭 중 하나로 2018-19 시즌 쇼트 프로그램 'The Prince'(신데렐라)의 왕자 이름이 차밍왕자다. 또한 차준환의 성이 차씨인 점도 있다.[24] 중국 팬들이 부르는 애칭이다.[25] 중국에서의 또 다른 애칭인 '차차'와 어릴적 버섯 머리를 한 모습을 연상해 버섯을 뜻하는 '구(菇)'가 합쳐진 별명이다. 중국에서 열린 경기에서 버섯 인형을 던지는 중국 팬들을 볼 수 있다.[26] 프리 프로그램 '로미오와 줄리엣' 중 'Juliet'을 외치는 부분의 수행이 인상 깊어서 해외 팬들이 차준환의 'Jun'과 합쳐 지었다.[27] 물론 이는 피겨가 여초성이 높은 종목이기 때문이며 차준환 이전까지 남자 피겨는 존재감 자체가 없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