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01 23:23:44

2007 창춘 동계 아시안 게임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FFFFFF)"
{{{#!wiki style="margin-top: -8px; margin-bottom: -8px"
<tablebordercolor=#ffffff,#191919><tablealign=center>
파일:아시안 게임 로고.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회 2회 3회 4회 5회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1986
삿포로
1990
삿포로
1996
하얼빈
1999
강원
2003
아오모리
6회 7회 8회 9회 10회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2007
창춘
2011
아스타나·알마티
2017
삿포로
2025
하얼빈
2029
네옴시티
* 2021 동계 아시안 게임은 개최 희망지가 없는 관계로 코로나19와 무관하게 취소됨.
}}}}}}}}}
2007 창춘 동계 아시안 게임
제6회 동계 아시안 게임
第六届冬季亚洲运动会
2007 창춘 동계 아시안 게임
VI Asian Winter Games Changchun 2007
파일:attachment/52824002439.jpg
대회기간 2007년 1월 28일 ~ 2월 4일
개최국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 창춘
슬로건 Charming Changchun
마스코트 루루
참가국 25개국
참가선수 796명
경기종목 5개 종목 - 47개 세부 종목
개회 선언 후진타오
,중국 주석,
선수 선서 리예
심판 선서 양자성
성화 점화 리자쥔
개·폐회식장 창춘 우환 체육관

1. 개요2. 메달 순위3. 대한민국의 메달리스트4. 이모저모

[clearfix]

1. 개요

2007년 중국 지린 성(길림성) 창춘 시에서 개최된 제 6회 동계 아시안 게임.

2. 메달 순위

파일:아시안 게임 로고.svg 2007 창춘 동계 아시안 게임 메달 순위
순위 국가 합계
1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19 19 23 61
2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13 9 14 36
3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9 13 11 33
4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 6 6 6 18
5 파일:몽골 국기.svg 몽골 0 0 1 1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0 0 1 1
합계 47 47 56 149

3. 대한민국의 메달리스트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금메달 정은주
금 1 은 1 동 1
1,500m
은메달 3,000m 계주
동메달 1,000m
금메달 진선유
금 1 은 2
1,000m
은메달 1,500m
은메달 3,000m 계주
금메달 안현수
금 2 은 1
1,000m
금메달 5,000m 계주
은메달 1,500m
금메달 김병준
금 1
5,000m 계주
금메달 김현곤
금 1 은 1
5,000m 계주
은메달 1,000m
금메달 송경택
금 1 은 1
5,000m 계주
은메달 500m
금메달 이호석
금 1
5,000m 계주
은메달 변천사
은 1 동 1
3,000m 계주
동메달 500m
은메달 김민정
은 1
3,000m 계주
은메달 전지수
은 1
3,000m 계주
합계 금 4 은 5 동 2
스피드 스케이팅
금메달 이강석
금 1 동 1
500m
동메달 100m
금메달 이규혁
금 2 은 1
1,000m
금메달 1,500m
은메달 500m
은메달 여상엽
은 1
5,000m
은메달 이주연
은 1
1,500m
은메달 문준
은 1 동 1
1,000m
동메달 1,500m
은메달 이상화
은 1 동 1
100m
동메달 1,500m
동메달 김유림
동 1
1,000m
동메달 최재봉
동 1
1,000m
합계 금 3 은 5 동 5
컬링
금메달 권영일
금 1
남자대표팀
금메달 박권일
금 1
남자대표팀
금메달 백종철
금 1
남자대표팀
금메달 양세영
금 1
남자대표팀
금메달 이재호
금 1
남자대표팀
금메달 김지숙
금 1
여자대표팀
금메달 박미희
금 1
여자대표팀
금메달 이혜인
금 1
여자대표팀
금메달 정진숙
금 1
여자대표팀
금메달 주윤화
금 1
여자대표팀
합계 금 2 은 0 동 0
알파인 스키
은메달 강민혁
은 2
남자 회전
은메달 남자 대회전
은메달 오재은
은 1 동 1
여자 대회전
동메달 여자 회전
동메달 김우성
동 1
남자 대회전
동메달 김선주
동 1
여자 대회전
합계 금 0 은 3 동 3
아이스하키
동메달 남자 대표팀
동 1
{{{#!folding[남자 대표팀 명단] 동메달 김경태
동 1
[남자대표팀]
동메달 김규헌
동 1
[남자대표팀]
동메달 김기성
동 1
[남자대표팀]
동메달 김윤환
동 1
[남자대표팀]
동메달 김한성
동 1
[남자대표팀]
동메달 김홍일
동 1
[남자대표팀]
동메달 박성민
동 1
[남자대표팀]
동메달 박우상
동 1
[남자대표팀]
동메달 박준원
동 1
[남자대표팀]
동메달 서신일
동 1
[남자대표팀]
동메달 손호성
동 1
[남자대표팀]
동메달 엄현승
동 1
[남자대표팀]
동메달 오현호
동 1
[남자대표팀]
동메달 윤경원
동 1
[남자대표팀]
동메달 이권재
동 1
[남자대표팀]
동메달 이권준
동 1
[남자대표팀]
동메달 이명우
동 1
[남자대표팀]
동메달 이용준
동 1
[남자대표팀]
동메달 전진호
동 1
[남자대표팀]
동메달 최정식
동 1
[남자대표팀]
동메달 홍현목
동 1
[남자대표팀]
동메달 황병욱
동 1
[남자대표팀] }}}
합계 금 0 은 0 동 1

4. 이모저모

  • 개회식에 대한민국북한한반도기를 앞세워 공동 입장하였다.
  • 중국(1위), 일본(2위), 대한민국(3위)의 3개국이 획득한 금메달 수는 모두 41개로 전체 금메달 수 47개의 87.2%에 달하였다. 4위 카자흐스탄이 나머지 6개 금메달을 가져갔다. 중국은 금 19, 은 19, 동 23으로 4년 만에 다시 1위 자리를 홈에서 탈환했다. 그러나 4년 뒤에 광탈할 줄은 몰랐겠지
  • 동메달 각각 1개로 공동 5위에 오른 몽골우즈베키스탄중국이 프리스타일 스키와 피겨 스케이팅 페어 부문에서 1, 2, 3위를 모두 하는 바람에 동일 국가 메달 독식 금지 규정에 따라 4위임에도 동메달을 건진 경우이다.
  • 북한은 메달을 따지 못했다.
  • 스키점프 종목이 제외되었다.
  • 중국에 홈 텃세가 유난히 심한 대회였다. 대부분 쇼트트랙 경기에서 나왔는데 남자 500m는 명백한 오심이고 여자 계주에서도 증국의 왕멍이 마지막 주자로 달릴 때 진선유의 무릎을 밀치는 장면을 볼 수 있다. 그런데 심판은 아무런 제재도 하지 않았다.
  • 대한민국 쇼트트랙 여자 대표팀 선수들이 시상식에서 "백두산은 우리 땅"이라는 글귀를 펼쳐보이는 세레머니를 하여 중국 측과 약간의 외교적 마찰로 이어진 일이 있었다. # 상기한 중국의 편파판정에 의한 반감으로 인해 호응을 받기도 했지만 스포츠 대회에서 정치적으로 문제될 수 있는 행동이었다.


[남자대표팀] [남자대표팀] [남자대표팀] [남자대표팀] [남자대표팀] [남자대표팀] [남자대표팀] [남자대표팀] [남자대표팀] [남자대표팀] [남자대표팀] [남자대표팀] [남자대표팀] [남자대표팀] [남자대표팀] [남자대표팀] [남자대표팀] [남자대표팀] [남자대표팀] [남자대표팀] [남자대표팀] [남자대표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