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3-04 15:11:37

1999 강원 동계 아시안 게임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FFFFFF)"
{{{#!wiki style="margin-top: -8px; margin-bottom: -8px"
<tablebordercolor=#ffffff,#1c1d1f><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fff,#1c1d1f>
파일:아시안 게임 로고.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회 2회 3회 4회 5회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1986
삿포로
1990
삿포로
1996
하얼빈
1999
강원
2003
아오모리
6회 7회 8회 9회 10회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2007
창춘
2011
아스타나·알마티
2017
삿포로
2025
하얼빈
2029
네옴
* 2021 동계 아시안 게임은 개최 희망지가 없는 관계로 코로나19와 무관하게 취소됨.
}}}}}}}}}
1999 강원 동계 아시안 게임
{{{#fff 제4회 동계 아시안 게임
1999 강원 동계 아시안 게임
IV Asian Winter Games
Kangwon 1999}}}
파일:attachment/52524002443.jpg
대회기간 1999년 1월 30일 ~ 1999년 2월 6일
개최국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강원도
슬로건 영원한 우정, 빛나는 아시아
Asia, Shining brightly through Everlasting Friendship
마스코트 파일:1999 강원 동계 아시안 게임 곰돌이.png| 곰돌이
참가국 14개국
참가선수 799명
경기종목 4개 종목 - 43개 세부 종목
개회 선언 김대중
,대한민국 대통령,
성화 점화 유선희
개·폐회식장 용평실내빙상경기장

1. 개요2. 경기장3. 메달 순위4. 대한민국의 메달리스트5. 이모저모

1. 개요

1999년 대한민국 강원도 일원에서 펼쳐진 제4회 동계 아시안 게임이다. 세부 종목별 경기는 주경기장 역할을 했던 평창군용평리조트를 중심으로 춘천시강릉시에서 경기가 치러졌다.[1]

1997년 외환 위기라는, 근 세 번의 아시안 게임 중 최악의 경제 위기가 닥치면서 세 번 연속으로 개최권을 반납하는 상황도 우려되었으나, 예정대로 개최되었으며 성공적으로 개최된 대회로 평가된다.

2. 경기장

3. 메달 순위

파일:아시안 게임 로고.svg 1999 강원 동계 아시안 게임 메달 순위
순위 국가 합계
1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15 10 11 36
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11 10 14 35
3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 10 8 7 25
4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6 14 9 29
5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1 1 1 3
합계 43 43 42 128

4. 대한민국의 메달리스트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금메달 김동성
금 2 은 1 동 1
1,500m
금메달 3,000m
은메달 1,000m
동메달 5,000m 계주
금메달 김윤미
금 2 동 1
1,500m
금메달 3,000m 계주
동메달 1,000m
금메달 김문정
금 2
3,000m
금메달 3,000m 계주
금메달 이준환
금 1 은 1 동 2
500m
은메달 3,000m
동메달 5,000m 계주
동메달 1,500m
금메달 최민경
금 1 은 1 동 1
3,000m 계주
은메달 500m
동메달 3,000m
금메달 안상미
금 1
3,000m 계주
동메달 김선태
동 1
5,000m 계주
동메달 이호응
동 1
5,000m 계주
합계 금 6 은 3 동 4
알파인 스키
금메달 허승욱
금 2 은 1
남자 슈퍼 대회전
금메달 남자 회전
은메달 남자 대회전
금메달 유혜민
금 1 은 1 동 1
여자 슈퍼 대회전
은메달 여자 대회전
동메달 여자 회전
은메달 양우영
은 1
여자 슈퍼 대회전
동메달 최문성
동 2
남자 슈퍼 대회전
동메달 남자 회전
동메달 이기현
동 1
남자 대회전
합계 금 3 은 3 동 4
스피드 스케이팅
금메달 최재봉
금 2
1,000m
금메달 1,500m
은메달 천주현
은 1 동 1
1,500m
동메달 1,000m
은메달 문준
은 1 동 1
5,000m
동메달 10,000m
은메달 제갈성렬
은 1
500m
은메달 이규혁
은 1
1,000m
합계 금 2 은 4 동 2
바이애슬론
동메달 김미영
동 1
여자 30km 계주
동메달 김자연
동 1
여자 30km 계주
동메달 유재선
동 1
여자 30km 계주
동메달 최미정
동 1
여자 30km 계주
동메달 손해권
동 1
남자 30km 계주
동메달 신병국
동 1
남자 30km 계주
동메달 전재원
동 1
남자 30km 계주
동메달 최능철
동 1
남자 30km 계주
합계 금 0 은 0 동 2
크로스컨트리 스키
동메달 박병주
동 1
남자 40km 계주
동메달 박병철
동 1
남자 40km 계주
동메달 신두선
동 1
남자 40km 계주
동메달 안진수
동 1
남자 40km 계주
합계 금 0 은 0 동 1
피겨 스케이팅
동메달 양태화
동 1
아이스 댄스
동메달 이천군
동 1
아이스 댄스
합계 금 0 은 0 동 1

5. 이모저모

  • 개최지는 도시가 아닌, 광역자치단체강원도를 내세웠다.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이 개정되기 전에 개최된 대회여서 강원도의 로마자 표기가 지금과 다르다. 현행 표기인 'Gangwon'과 달리, 매큔-라이샤워 표기법에 따라 'Kangwon'으로 적었다. 단 오리지널 매큔-라이샤워 표기법이 아니라 1984년에 도입된 변종을 썼다. 오리지널대로라면 Kangwŏn이라고 써야 하지만(매큔-라이샤워식에서 ㅓ=ŏ이므로 ㅝ=wŏ로 정한 것) 1984년판 변종에서는 ㅝ를 wo로 적게 하여 Kangwon이라고 적었다. 어차피 한국어에서 w 발음 뒤에 ㅗ(o) 발음이 오는 일이 없기 때문에 필기 및 입력의 편의를 위해 wo로 쓰게 한 것이다. 현행 로마자 표기법에서도 유사한 규정이 있는데, ㅓ는 eo로 적어도 ㅝ는 weo가 아니라 wo로 적는다. 이미 사용한 명칭이 변경될 수는 없는 것이니, 공식 기록에도 계속 Kangwon으로 남아 있다.
  • 스피드 스케이팅은 춘천, 아이스하키는 강릉, 쇼트트랙피겨 스케이팅 및 설상 종목은 평창(용평)에서 분산 개최되었다.
  • 눈이 많이 오기로 유명한 평창군 지역에 이 해에는 눈이 유난히 적게 와서 스키 경기를 할 때 황량한 풍경이 연출되어 분위기가 잘 나지 않았다. (기상청 자료를 보면, 대관령 지역에 1월 하순에서 2월 상순 사이에 눈이 거의 안 왔다.) 다행히 제설 작업으로 인공 눈을 보충하여 대회 진행에 큰 지장은 없었다.
  • 북한1986 서울 아시안 게임1988 서울 올림픽과 마찬가지로 보이콧했다.
  • 방글라데시, 부탄, 네팔, 베트남, 스리랑카, 싱가포르가 동계 아시안 게임에 처음으로 참가하였다.
  • 대한민국은 사상 처음으로 동계 종합 2위(금 11, 은 10, 동 14)에 올랐다. 하지만 개최국이 1위를 차지하지 않은 유일한 대회가 되었다. 종합 1위는 금 15, 은 10, 동 11의 성적을 기록한 중국에게 돌아갔다.
  • 일본은 유럽이나 북미에서 열리는 세계 대회와 일정이 겹친다는 이유로 상당수의 주전급 선수들이 불참하고 2진급 선수들을 파견했고, 이 때문인지 종합 4위(금 6, 은 14, 동 9)에 머물렀다. 일본이 동계 아시안 게임에서 종합 4위에 그친 유일한 대회이다. 1996 하얼빈 대회에서 중국 버프를 받아 2위로 전격 진입한 카자흐스탄은 금 10, 은 8, 동 7로 3위에 올랐다.
  • 우즈베키스탄피겨 스케이팅 여자 싱글에서 타티야나 말리니나가 금메달을 획득하며 우즈베키스탄의 유일한 동계 아시안 게임 금메달을 획득했다. 참고로 이 선수는 전 대회에서도 같은 종목에서 은메달을 획득했고, 그 해 4대륙선수권에서도 우승했을 정도로 세계적인 실력을 갖춘 선수였다. 그 외에도 우즈베키스탄은 남자 싱글에서 로만 스코르냐코프가 은메달을, 페어에서 예브게니 스비리도프 / 나탈리아 포노마레바 조가 동메달을 획득하며 피겨 스케이팅에서만 금 / 은 / 동을 각 1개씩 획득하는 기염을 토했다.
  • 대한민국은 이 해 슬로바키아의 포프라드에서 열린 동계 유니버시아드[2]에서 노메달의 수모를 겪었는데, 이 대회를 대비하기 위해 정예 선수들이 아닌 2진급 멤버로 유니버시아드에 나섰기 때문이었다. 다행히 홈에서 열린 동계 아시안 게임에서 사상 최고의 성적을 올린지라 이 문제는 금방 묻혔다.
  • 이 대회를 위해 강릉시에 지어진 실내경기장은 이후 2018 평창 동계올림픽을 앞두고 강릉 컬링 센터로 개조된다.
  • H.O.T.가 한국 대표 가수로 선정되어 개막식에서 대회찬가 및 축하공연을 맡았다.

[1] 2018 평창 동계올림픽도 설상 종목 경기 일부와 빙상 종목 경기를 각각 정선군강릉시에서 치렀다.[2] 1990년대 이후로 한국이 꾸준히 종합 순위 5위 이내에 들고 있고, 특히 종합 1위도 한 차례(2007년 토리노 대회.)달성했을 만큼 강한 모습을 보이는 대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