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02 22:12:41

1990 삿포로 동계 아시안 게임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FFFFFF)"
{{{#!wiki style="margin-top: -8px; margin-bottom: -8px"
<tablebordercolor=#ffffff,#191919><tablealign=center>
파일:아시안 게임 로고.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회 2회 3회 4회 5회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1986
삿포로
1990
삿포로
1996
하얼빈
1999
강원
2003
아오모리
6회 7회 8회 9회 10회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2007
창춘
2011
아스타나·알마티
2017
삿포로
2025
하얼빈
2029
네옴시티
* 2021 동계 아시안 게임은 개최 희망지가 없는 관계로 코로나19와 무관하게 취소됨.
}}}}}}}}}
1990 삿포로 동계 아시안 게임
제2회 동계 아시안 게임
第2回アジア冬季競技大会
1990 삿포로 동계 아시안 게임
II Asian Winter Games Sapporo 1990
파일:attachment/52324002449.jpg
대회기간 1990년 3월 9일 ~ 1990년 3월 14일
개최국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 삿포로
참가국 9개국
참가선수 310명
경기종목 4개 종목 - 33개 세부 종목
개회 선언 아키히토
일본 천황
선수 선서 하시모토 세이코
개·폐회식장 마코마나이 실내 체육관
1. 개요2. 참가국3. 개최 종목4. 메달 집계5. 여담

[clearfix]

1. 개요

1990년 일본 홋카이도 삿포로에서 개최된 제 2회 동계 아시안 게임. 원래 인도에서 개최하기로 했으나 기술적인 문제, 재정적자 등으로 개최권을 반납하여 1989년 긴급히 이전 대회인 1986 삿포로 동계 아시안 게임을 개최했던 일본 삿포로로 개최지를 옮겼다.

2. 참가국

300명이 넘어가는 최초의 동계 아시안 게임.
*) 원래는 홍콩도 출전하려 했으나, 이번에는 심판만 보냈다.

3. 개최 종목

단 6개의 스포츠 종목만이 열렸다. 피겨 스케이팅은 1990년 세계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와의 충돌로 인해 일시적으로 중단되었고, 라지힐(90m) 스키 점프는 여전히 시범 스포츠였다.
  • 알파인 스키 (4)
  • 바이애슬론 (3)
  • 크로스컨트리 스키 (6)
  • 아이스 하키 (1)
  •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10)
  • 스피드 스케이팅 (9)

시범 종목
  • 스키 점프 (1)

4. 메달 집계

파일:아시안 게임 로고.svg 1990 삿포로 동계 아시안 게임 메달 순위
순위 국가 합계
1
[[일본|]][[틀:국기|]][[틀:국기|]]
18 16 13 47
2
[[중국|]][[틀:국기|]][[틀:국기|]]
9 9 8 26
3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6 7 8 21
4
[[북한|]][[틀:국기|]][[틀:국기|]]
0 1 4 5
5
[[몽골|]][[틀:국기|]][[틀:국기|]]
0 0 1 1
합계 33 33 34 100

5. 여담

  • 대한민국은 획득한 금메달 6개 중 쇼트트랙에서 4개, 스피드 스케이팅에서 2개를 거두어 두 종목에 편중되는 현상을 보였다. 하지만 2위 중국의 금메달 9개, 은메달 9개, 동메달 8위에 비해 바싹 따라 잡은 것은 성과.
  • 여자 쇼트트랙 1500m 우승자인 김소희 선수 시상식 때 조직위가 엉뚱하게 다른 나라 국가로 두 번이나 잘못 틀어서 비난을 받았다. 처음에는 몽골 국가를 틀다가 당시 김종하 OCA 부회장이 잘못되었다는 신호를 보내자 그 다음에는 북한 국가를 방송하는 촌극을 벌였다. 이에 대한민국 응원단이 항의하며 애국가를 직접 제창하자 그제서야 부랴부랴 애국가로 방송했다. 이 사건은 일본 언론에서도 조직위의 중대한 실수라며 비난 여론이 일었고 일본올림픽위원회(JOC)는 한국 대사관에 사과 방문을 해야 했다.
  • 북한은 이후 5년 뒤 삼지연시에서 개최하기로 한 동계 아시안 게임이 경제난으로 무산되고, 하얼빈과 강원 동계 아시안 게임을 보이콧하면서 13년 뒤인 아오모리에서 다시 출전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