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19 02:27:08

로미오+줄리엣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81818><tablebgcolor=#181818>
배즈 루어먼 감독 장편 연출 작품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90deg, #181818, #181818, #181818, #181818);"
{{{#181818,#e5e5e5 {{{#!wiki style="margin: 0 -10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파일:Strictly Ballroom Logo.png 파일:Romeo + Juliet Logo 3.png 파일:Moulin Rouge! Logo.png
파일:Australia 00s Logo.png 파일:The Great Gatsby Logo.png 파일:Elvis 2022 Logo.png
※ TV 드라마 제외
}}}}}}}}}}}}}}}}}} ||
역대 베를린 국제 영화제
파일:베를린 국제 영화제 로고.svg
은곰상 : 알프레드 바우어상
<rowcolor=#000000> 제46회
(1996년)
제47회
(1997년)
제48회
(1998년)
질식된 삶들 로미오+줄리엣 쾌락과 타락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로미오+줄리엣 (1996)
Romeo+Juliet
파일:로미오+줄리엣 포스터.jpg
장르 로맨스, 드라마, 범죄
감독 배즈 루어먼
각본 크레이그 피어스
배즈 루어먼
원작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로미오와 줄리엣
제작 배즈 루어먼
가브리엘라 마티넬리
주연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
클레어 데인즈
촬영 도널드 M. 맥알파인
편집 질 빌콕
음악 넬리 후퍼
마리우스 드 브리스
크레이그 암스트롱
제작사 파일:미국 국기.svg 바즈마르크 프로덕션
파일:투명.png 20세기 폭스
수입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세기 폭스 코리아
파일:투명.png 조이앤컨텐츠그룹[재개봉]
배급사 파일:미국 국기.svg 20세기 폭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세기 폭스 코리아
파일:투명.png 프레인글로벌[재개봉]
개봉일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1996년 11월 1일
파일:호주 국기.svg 1996년 12월 26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6년 12월 28일
파일:투명.png 2014년 3월 27일[재개봉]
상영 시간 120분
제작비 $14,500,000
월드 박스오피스 $147,554,998
북미 박스오피스 $46,351,345
대한민국 총 관객수 491,435명 (최종 기준 서울 관객)
20,389명
스트리밍
[[디즈니+|
Disney+
]]
#!if 링크 != null
[[https://www.disneyplus.com/|▶]]
#!if 주석 != null
^^^^
#!if 링크1 != null
[[https://www.disneyplus.com/|▶]]
#!if 주석1 != null
^^^^
#!if 링크2 != null
, [[https://www.disneyplus.com/|▶]]
#!if 주석2 != null
^^^^
상영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영등위_15세이상_초기.svg 15세 이상 관람가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PG-13 로고.svg

1. 개요2. 포스터3. 예고편4. 시놉시스5. 등장인물6. 원작과 다른 점7. 기타

1. 개요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 클레어 데인즈 주연의 1996년 영화. 윌리엄 셰익스피어로미오와 줄리엣20세기로 가져와 현대화시켰다. 의상, 소품 등 배경은 20세기이지만 대사는 원작의 대사를 그대로 사용한 점이 독특하다. 배급은 20세기 폭스.

제69회 아카데미 시상식 미술상 후보작이다.

2. 포스터

파일:로미오+줄리엣 재개봉 포스터 En.jpg 파일:로미오+줄리엣 재개봉 포스터 Kr.jpg
재개봉 포스터

3. 예고편

[kakaotv(57297526)]
30초 예고편

===# 기타 영상 #===
[kakaotv(57393492)]
뮤직 비디오

4. 시놉시스

누구도 따라 할 수 없는 사랑… 이 사랑에 홀릭하다!

정열의 도시 베로나, 태양의 열기가 가득한 이 도시에서 두 가문 몬태규가와 캐플릿가는 끝없이 혈투를 벌인다. 어느 날 캐플릿가의 파티에 몰래 참석한 몬태규가의 로미오는, 아름다운 줄리엣을 만나 첫눈에 사랑에 빠진다. 로미오와 줄리엣은 부모 몰래 결혼식을 올리고, 이 결혼이 두 가문의 화해를 가져다 줄 거라 믿은 신부는 그들을 축복한다. 그러나 싸움에 휘말려 줄리엣의 사촌 티볼트를 죽이게 된 로미오가 베로나에서 추방당하게 되고, 줄리엣은 그녀를 좋은 가문에 강제로 결혼시키려는 부모를 피해 수면제를 먹고 죽은 것처럼 가장하는데..

5. 등장인물

6. 원작과 다른 점

  • 배경을 20세기로 가져오면서도 대사는 전부 셰익스피어 희곡의 그것을 모두 사용한다. 그렇기 때문에 굉장히 독특한 분위기와 묘한 코믹함이 있다. '검'은 전부 '총'으로 치환되기에 대결 시 칼부림 대신 총격전으로 각색되었다. 하지만 총기의 이름이 Sword라 대사는 그대로라는게 개그.[6]
  • 몬테규, 캐퓰릿 두 가문은 도시를 먹여살리는 거대 기업으로 변하였다.
  • 로미오의 친구 머큐시오는 흑인으로 바뀌었다. 원작에서 머큐시오는 영주의 친척이나 영화에선 영주에 해당되는 경찰서장이 흑인일 뿐 둘이 친척이란 얘기는 없다. 물론 원작 배경은 이탈리아니, 다 백인이다.[7]
  • 티볼트 또한 라틴계(콜롬비아 혈통) 배우인 존 레귀자모가 연기했다.
  • 로미오가 유배 간 곳이 교외의 황량한 사막 외딴 집이다. 영화 끝난 뒤 나오는 자막을 보면 멕시코 정부의 협력을 받아 사막 지대에서 찍은 것 같다.
  • 줄리엣은 칼 대신 총으로 자결한다. 그래서 '내 몸이 너의 칼집이 될 것'이라는 대사가 생략되었는데, 이 때문에 죽는 순간의 비중이 로미오에 비해 많이 줄어들었다. 로미오는 죽기 직전에 줄리엣이 살아난 걸 보고 키스하며 마지막 말까지 하고 죽는 것에 비하면 더더욱...

7. 기타

  • 연출과 각본은 화려한 영화 잘 찍기로 유명한 호주 출신의 배즈 루어먼 감독.[8]MTV 스타일로 빠르고 감각적으로 뮤직비디오 찍듯이 찍었다. 1,450만 달러로 만들어 전세계에서 1억 4,800만 달러를 벌어들이며 흥행도 성공했다.
  • 제목이 로미오와 줄리엣이 아니라 '로미오+줄리엣'이다. 그런데 다들 그냥 편의상 로미오와 줄리엣으로 부르는 듯. 사실 한국 개봉명이 로미오와 줄리엣이었기에 원제가 무엇이었는지 모르는 사람이 많다.[9] 타이타닉과 함께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 외모 리즈 시절 작품이라 아직도 남친짤,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 외모를 거론할때 항상 등장하는 영화.

[재개봉] [재개봉] [재개봉] [4] 매트릭스 시리즈에서 링크 역으로 나왔다. 로스트 마이클역[5] 해리 포터 시리즈포모나 스프라우트 교수 연기를 했다.[6] 예를 들어 "내 장검(Long Sword) 가져와"라는 대사는 그대로인데, 장총에 Long Sword라고 새겨져 있다. 뻔히 총을 들었는데 칼 버려!(Sword down!)라고 대사를 친다.[7] 셰익스피어 당시 이탈리아에도 흑인이 있긴 했지만 귀족 집안 자제일 리가 없다. 당장 같은 셰익스피어 4대 비극 중 하나인 오셀로에도 흑인 주인공이 인종차별로 괴로워하는 내용이 나온다.[8] 이후에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위대한 개츠비를 다시 찍게 된다.[9] 서양쪽에서는 손글씨로 쓸때 곡선이 많은 & 보다 +를 쓰는 케이스가 많다. 따라서 로미오와 줄리엣으로 번역한게 맞고 실제로 서양쪽에서도 쓸때는 원본의 스타일라이즈한 타이틀을 반영하기 위해 Romeo+Juliet 으로 쓰지만 읽을땐 '로미오 앤드 줄리엣'으로 읽지 '로미오 플러스 줄리엣'으로 읽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