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08 00:17:24

영덕JC

이 교통 시설 또는 노선은 개통되지 않았습니다.

이 문서에는 현재 설계, 계획이나 공사 등의 이유로 개통되지 않은 교통 시설 또는 노선에 대한 정보가 서술되어 있습니다.
영덕 분기점
盈德 分岐點
Yeongdeok Junction
파일:Expressway_kor_30.svg
서산영덕선?
(미개통)
파일:Expressway_kor_65.svg
동해선?
(미개통)
임시 종점장기 계획
([[근덕IC|근덕IC]] →)
주소
경상북도 영덕군 강구면
관리기관
서산영덕선 한국도로공사
동해선 한국도로공사
개통
2025년 11월 7일[1] (예정)

1. 개요2. 구조3. 역사4. 특징5. 둘러보기 틀

1. 개요

서산영덕고속도로 ?번[2], 동해고속도로 ?번 경상북도 영덕군 강구면에 건설중인 서산영덕고속도로동해고속도로의 분기점.

2. 구조

2.1. 서산영덕고속도로

2.1.1. 영덕 방향

2.1.2. 당진 방향

2.2. 동해고속도로

2.2.1. 영덕 방향

2.2.2. 포항 방향

3. 역사

4. 특징

  • 동해고속도로 영덕~삼척 구간은 착공도 안 했을 뿐더러 계획도 제대로 나오지 않아 시간이 한참 지난 뒤에야 개통할 예정이라 한동안 이 분기점이 동해고속도로 남쪽 구간의 실질적 종점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중간 구간 개통 전까지는 이 분기점에서 서산영덕고속도로를 타고 영덕IC로 향한 뒤 7번 국도(동해대로)를 경유해 근덕IC까지 올라가서 다시 동해고속도로로 접속해야 한다. 당연히 단절 구간 거리가 워낙에 먼 탓에 연계요금 체계 역시 적용되지 않는다. 영덕TG에서 근덕TG까지의 거리는 약 128㎞이며, 동해대로 영덕~삼척 구간은 대부분이 자동차 전용도로에 신호도 많지 않은 편[4][5]으로 정속으로 달릴 때 1시간 40분에서 2시간 정도 소요된다.
  • 위쪽의 근덕IC처럼 이 분기점도 동해고속도로 연장을 고려해 설계됐다. 영덕JC는 서오산JC양양JC와 비슷한 준직결+클로버형 입체교차로인데, 이 가운데 근덕 방향 도로와 램프는 노반만 닦아놓고 도로는 실제 사용할 구간만 건설할 것으로 보인다.

5. 둘러보기 틀

{{{#!wiki style="margin:-10px 0"<tablebordercolor=#3f3f7f><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3f3f7f>
파일:Expressway_kor_30.svg
}}}
{{{#!wiki style="color:#000,#0ff;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당진대전고속도로
(공사중)
- - - - - - - - - - - - - - - - - -
중첩 구간 - -
회덕JC(파일:Expressway_kor_1.svg·파일:Expressway_kor_251.svg)1 2
-
신탄진SA영덕방향/2
- - - -
청주영덕고속도로 - - - - - - -
화서SA영덕방향
- - - - - - - - - - - - - - - - -
1: 호남고속도로지선과 중첩되는 구간
2: 경부고속도로와 중첩되는 구간
3: 영천상주고속도로와 중첩되는 구간
}}}}}}}}}



[1] 2023년 12월 개통 예정이었다가 문화재 발굴로 인해 연기되었다.[2] 33번이 될 가능성이 높다.[3] 포항영덕고속도로 7월 착공…2023년 완공 예정, 2017-05-15, 경북일보[4] 영덕IC 진출 직후, 영해휴게소, 병곡교차로, 후포면, 매화면, 노음교차로에서 신호 있는 평면교차로가 등장한다. 후포면, 매화면 구간은 마을주민보호구간이라 제한속도도 60km/h로 떨어진다.[5] 아이러니하게도 7번 국도의 스펙이 이렇게 좋은 점이 영덕~삼척 구간의 고속도로 건설의 당위성을 떨어뜨리고 있기도 하다. 아울러 연선 인구도 부족해서 더욱 타당성 확보가 쉽지 않은 상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