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17 20:06:04

동안동IC

파일:한시적 넘겨주기 아이콘.svg   일대 산불 확산으로 인한 이 나들목의 교통 통제 관련 현황에 대한 내용은 2025년 의성-안동 산불/경과 문서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2025년 의성-안동 산불/경과#s-|]]번 문단을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2025년 의성-안동 산불/경과#|]] 부분을
#!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동안동 나들목
東安東 나들목
East Andong Interchange
동안동 요금소
East Andong Tollgate
파일:Expressway_kor_30.svg
◀   점곡휴게소(양방향)
청송휴게소(양방향)   ▶
주소
경상북도 안동시 길안면 만음리
관리기관
서산영덕선 한국도로공사 대구경북본부 청송지사
개통
2016년 12월 26일
접속도로
#!if (+n) > 0
[[35번 국도|{{{#!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border: calc(16px * 0.12) solid #ddd; border-color:#ffffff; min-width: 20px; font-size: 16px; width: calc(16px * 2.1);max-height: calc(16px * 1.4); border-radius: 50%; font-family: Helvetica; text-align:center; letter-spacing: calc(16px * 0.07); text-indent: calc(16px * 0.07); background-color: #0044cd; color:#FFFFFF; min-width: 2em; word-break: keep-all;"
{{{#!wiki style="margin-top: calc(-16px * 0.1775);"
'''35'''}}}}}}]]
#!if (+n) <= 0
[[국도|{{{#!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border: calc(16px * 0.12) solid #ddd; border-color:#ffffff; min-width: 20px; font-size: 16px; width: calc(16px * 2.1);max-height: calc(16px * 1.4); border-radius: 50%; font-family: Helvetica; text-align:center; letter-spacing: calc(16px * 0.07); text-indent: calc(16px * 0.07); background-color: #0044cd; color:#FFFFFF; min-width: 2em; word-break: keep-all;"
{{{#!wiki style="margin-top: calc(-16px * 0.125);"
 }}}}}}]]
(충효로)[1]

1. 개요2. 구조
2.1. 영덕 방향2.2. 당진 방향
3. 역사4. 특징5. 둘러보기 틀

1. 개요

서산영덕고속도로 30번. 경상북도 안동시 길안면 만음개골길 8 (만음리 121-10)에 있는 서산영덕고속도로의 나들목. 명칭은 소재지인 안동시의 동쪽에 있다는 것에서 유래[2]했다.

2. 구조

2.1. 영덕 방향

2.2. 당진 방향

3. 역사

[2025 의성 산불 통제 현황]
* 2025년 3월 24일 월요일

4. 특징

이 나들목을 통해서 안동시 길안면과 임하면, 청송군 현서면, 의성군 옥산면과 점곡면[6] 등으로 진출할 수 있다. 또한 영덕군, 청송군(진보 제외) 등 지역에서 안동 시내로 고속도로를 통해 올 경우, 이 나들목을 통해 35번 국도를 타고 빠르게 갈 수 있다. 거기서 조금 더가면 중앙고속도로 서안동IC에 다다른다.

5. 둘러보기 틀

{{{#!wiki style="margin:-10px 0"<tablebordercolor=#3f3f7f><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3f3f7f>
파일:Expressway_kor_30.svg
}}}
{{{#!wiki style="color:#000,#0ff;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당진대전고속도로
(공사중)
- - - - - - - - - - - - - - - - - -
중첩 구간 - -
회덕JC(파일:Expressway_kor_1.svg·파일:Expressway_kor_251.svg)1 2
- - - - -
청주영덕고속도로 - - - - - - - - - - - - - - - - - - - - - - - -
1: 호남고속도로지선과 중첩되는 구간
2: 경부고속도로와 중첩되는 구간
3: 영천상주고속도로와 중첩되는 구간
}}}}}}}}}

파일:안동시 CI.svg 안동시의 교통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005bab><colcolor=#ffffff> 철도 중앙선 안동역
도로 고속도로 파일:Expressway_kor_55.svg 중앙 안동JC · 남안동IC · 서안동IC
파일:Expressway_kor_30.svg 서산영덕 안동JC · 동안동IC
국도 5 · 34 · 35
국가지원지방도 79
지방도 914 · 915 · 916 · 920 · 920 · 927 · 928 · 930 · 933 · 935
안동시의 로
버스 시내버스 안동시 시내버스
예천군
농어촌버스
경북도청이전신도시 경유 버스
시외 ·
고속버스
안동터미널 · 임동 · 일직 · 안기 · 안동대 · 경북도청 시외버스 정류장 · 옹천 · 용상 · 태화오거리 · 안동병원 · 안동초교 · 과학대
시외 · 고속 버스 노선
}}}}}}}}} ||
경상북도의 교통


[1] 참고로 해당 나들목 건설 전에는 왕복 2차로였지만, 나들목을 건설하면서 안동시 도심 방향으로 왕복 4차로의 우회도로가 2018년 6월 8일에 건설되었다. 다만, 이후 구간(청송군 현서면 방향)으로는 아직 왕복 2차선인데다가 하필 우회도로의 종점이 나들목의 진입로카카오맵의 중간이기 때문에, 신호등이 있기는 하지만, 안전 운행이 필수이다.[2] 정확히는 길안면 자체가 안동시의 남동쪽 깊숙히 자리하고 있으며, 오히려 일직면에 자리한 중앙고속도로 남안동 나들목보다 더 남쪽에 있다.[3] 내일 경북 상주~영덕 고속도로 기공식 연합뉴스 091217[4] 공식적으로는 영덕TG까지지만 그 영덕TG가 영덕IC 전용 요금소이기에 그와 곧바로 이어지는 영덕IC도 함께 폐쇄된 것과 같다.[출처2] 도로공사 “서산영덕고속도로 안동JCT∼청송IC 양방향 통제” 강원도민일보 250325[6] 의성군 쪽은 길안면 소재지에서 914번 지방도를 이용하면 되고, 이 지방도는 청송군 청송읍이나 파천면 쪽으로도 갈 수 있지만, 그 쪽은 이 지방도보다는 청송 나들목을 이용하는 것이 30배 이상 더 낫다!(914번 지방도는 급커브가 많으며 시설이 빈약하다.) 다만 무료로 가고 싶으면 이 도로로 가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