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27 23:10:29

예산수덕사IC

예산수덕사 나들목
禮山修德寺 나들목
Yesan-Sudeoksa Interchange
예산수덕사 요금소
Yesan-Sudeoksa Tollgate
당진 방면
고덕IC
← 11.7 km
파일:Expressway_kor_30.svg 영덕 방면
예산JC
-.- km →
주소
충청남도 예산군 오가면 신석리
관리기관
서산영덕선 한국도로공사 대전충남본부 공주지사
개통
2009년 5월 28일
접속도로
[[21번 국도|
21
]](충서로)

1. 개요2. 구조
2.1. 영덕 방향2.2. 당진 방향
3. 역사4. 특징5. 인근 시설6. 둘러보기 틀

[clearfix]

1. 개요

서산영덕고속도로 4번. 충청남도 예산군 오가면 당진영덕고속도로 25 (신석리 182-2)에 있는 서산영덕고속도로나들목. 명칭은 소재지인 예산군과 관내 관광지인 수덕사에서 유래했다. 본디 명칭은 예산IC였으나 당진상주고속도로 당진~유성 구간 개통 직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1]

2. 구조

2.1. 영덕 방향

  • 진출 가능: 충서로 양방향
  • 진입 가능: 충서로 양방향

2.2. 당진 방향

  • 진출 가능: 충서로 양방향
  • 진입 가능: 충서로 양방향

3. 역사

4. 특징

전술했듯 이 나들목 명칭에 수덕사가 들어간 건 실제로 수덕사와 가장 가까운 고덕IC에는 수덕사 이름을 병기조차 할 수가 없어서 궁여지책으로 정해진 것이다. 그래서 이 나들목은 수덕사와는 약 20㎞ 떨어져 있는데다 도로망도 좀 애매하다. 대전 방면에서 수덕사로 가려면 이 나들목을 이용하는 편이 낫지만, 서울, 인천, 안산, 당진 방면에서는 동일 노선상의 고덕 나들목이나 서해안고속도로 해미 나들목을, 서해안선 목포, 무안, 군산, 서천 방면에서는 홍성 나들목을 이용하는 게 더 가깝고 편리하다. 해미 나들목 목포 방향 표지판에는 수덕사가 아예 병기되어 있으며, 홍성 나들목 서울 방향에도 수덕사를 안내하는 표지판이 설치되어 있다.

수덕사보다는 예산읍, 홍성군 홍성읍, 내포신도시(충청남도청), 예산군 응봉면, 삽교읍, 오가면 지역과의 연계가 편한 편이며, 서해안 당진 이북에서 홍성읍 지역으로 갈 경우 서해안고속도로 홍성 나들목을 이용하는 것보다 이쪽을 이용하는 편이 오히려 나은 경우가 많다. 대전 방면에서는 홍성까지 무조건 이 나들목 이용이 강제된다. 그래서인지 진출 표지판에는 양방향 홍성이 병기되어 있다.[4]

고덕 나들목과 더불어 내포신도시의 관문 나들목이며, 대전, 경상도, 전라도에서 내포신도시로 갈 때 이 나들목에서 진출하는 게 더 빠르며, 인천수도권 서부지역에서 서해안고속도로를 경유하고 서평택, 당진 일대를 경유하여 내포신도시로 갈 때는 고덕 나들목이 더 빠르다.

예산읍에서는 대전 및 그 이남 지역으로 갈 경우 이 나들목보다 신양 나들목을 이용하여야 주행거리와 통행료 감축 효과가 있다.

요즘 새로 신설되는 고속도로 요금소들이 자주 채택하는 타원형 간판을 채택한 최초의 나들목이다.[5] 개통된 해의 6월 18일과 9월 28일 각각 이전개통된 춘천TG동광주TG도 이 간판을 사용했으나 갑자기 확 바뀐 디자인이 호감을 잘 사지 못했는지 7월 15일 서울양양고속도로와 10월 29일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의 경우 예전의 사각형 간판을 채택하다가 2011년 12월 22일 서남원IC 때부터 다시 타원형이 쓰이기 시작했다. 2022년 6월 3일 개통된 남사진위IC로 첫 선을 보인 바탕 없는 글자 간판 이후로도 간간히 쓰이는 중.

또한 수도권에서 익산평택고속도로를 통해 온 차량이 홍성군, 내포신도시, 안면도 등으로 갈 경우나, 대전 및 대경권에서 안면도 북부로 갈 경우에도 이 나들목을 이용하는 게 빠르다.

5. 인근 시설

바로 옆에 도로교통공단 예산운전면허시험장이 있다. 다른 운전면허시험장도 마찬가지지만 아직 운전면허증을 하나도 따지 않은 사람이 이곳으로 직접 운전해서 오면 무면허 운전으로 걸릴 수 있다는 점에 주의할 것.

나들목 바로 위로 장항선이 지나간다.

6. 둘러보기 틀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3f3f7f><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3f3f7f>
파일:Expressway_kor_30.svg
}}}
{{{#!wiki style="color:#000,#00f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공사중) - 당진JC(파일:Expressway_kor_15.svg) - 면천IC - 면천SA - 고덕IC - 예산수덕사IC - 예산JC(파일:Expressway_kor_17.svg) - 예산SA - 신양IC - 유구IC - 신풍SA - 마곡사IC - 서공주JC(파일:Expressway_kor_151.svg) -
공주JC(파일:Expressway_kor_25.svg) - 공주IC(파일:Expressway_kor_25.svg) - 공주SA - 서세종IC - 남세종IC - 유성JC(파일:Expressway_kor_251.svg)1 - 북대전IC1 - 회덕JC(파일:Expressway_kor_1.svg·파일:Expressway_kor_251.svg)1 2 - 신탄진SA2 - 신탄진IC2 -
죽암SA2 - 남청주IC2 - 청주JC(파일:Expressway_kor_1.svg)2 - 문의청남대SA - 문의청남대IC - 회인IC - 보은IC - 속리산IC - 속리산SA/구병산IC - 화서SA - 화서IC -
남상주IC - 상주SA - 낙동JC(파일:Expressway_kor_45.svg·파일:Expressway_kor_301.svg)3 - 상주JC(파일:Expressway_kor_301.svg)3 - 동상주IC - 서의성IC - 의성SA - 안동JC(파일:Expressway_kor_55.svg) - 북의성IC - 점곡SA - 동안동IC - 청송SA -
청송IC - 동청송·영양IC - 영덕TG - 영덕IC
1: 호남고속도로지선과 중첩되는 구간
2: 경부고속도로와 중첩되는 구간
3: 영천상주고속도로와 중첩되는 구간
}}}}}}}}}


[1] 원래는 현 고덕IC가 수덕사IC가 될 예정이었으나, 고덕면 주민들이 고덕수덕사IC와 같은 병기명으로도 수덕사 이름을 붙이는 것에 반대하면서, 차선책으로 예산IC에 수덕사를 병기하게 됐다.대전~당진 고속道 ‘예산IC’‘예산 수덕사IC’로 명칭 변경[2] 후술할 공고문에서는 안 다룬 내용이지만 고덕IC신양IC 포함. 공주시 동지역과 부여군, 청양군에도 최초로 고속도로가 들어섰다.[3] 국토해양부공고 제2009-451호 대한민국 전자관보 090528[4] 정작 예산수덕사TG와 진출로는 예산군청 방향으로 나 있지, 홍성과는 반대 방향이다.[5] 공주TG서천공주고속도로부여TG도 이런 간판을 달고 개통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