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속도로 가 단절된 구간 또는 요금체계의 차이(폐쇄식-개방식)가 있는 구간에서 두 개의 요금소 를 2시간 이내에 통과하는 경우, 일정 금액을 할인해주는 요금제이다. 하이패스 장착 차량은 자동으로 정산되며, 일반차로에서 하이패스카드나 교통카드 로 요금을 결제한 경우에는 영수증이 없어도 결제 기록이 있어 연계요금이 적용된다. 개방식 요금소에서 폐쇄식 요금소로 진입하는 경우, 목적지 요금소에서 정산된다.주로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관련 구간에서 발생한다. 남부 구간 대부분이 개방식으로 운영되기 때문이다. 창원 근교남해고속도로제1지선 이 개방식으로 운영되어 발생한다.인근에 남해고속도로 본선이 있음에도 연계요금이 되는데, 이는 남해제1지선을 남해고속도로 본선의 우회도로로 사용하기 위함이다. 남해고속도로 본선의 경우 인근 부산항, 부산신항에서 수도권으로 올라가려는 대형 트럭이 많이 이용하는데다가 터널도 많고 정체도 심해 사고가 많이 난다. 이러한 이유로 남해본선과 제1지선의 분기점 인근에서는 도로 정체를 알려주는 전광판이 곳곳에 설치되어 있으며 정체시 우회하라는 문구를 엄청나게 띄우고 있다. 남해고속도로제1지선 마산TG ↔ 산인TG : 1·2·3종 600원, 4종 500원, 5종 400원 할인남해고속도로제1지선 마산TG ↔ 내서IC : 1·2종 600원, 3·4종 500원, 5종 400원 할인남해고속도로제1지선 마산TG ↔ 중부내륙고속도로 칠원TG : 1·2·3종 600원, 4종 500원, 5종 400원 할인 고속도로는 일반적으로 단거리 이용을 억제하기 위해 기본요금을 부과하고 있는데, 단거리에서 재정 구간과 민자 구간을 복합하여 이용하면 기본요금이 이중으로 부과되어 통행료가 지나치게 비싸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를 보전하기 위해 단거리 이용 차량에 대해서 재정 구간 또는 민자 구간 통행료의 일부를 감면하는 연계요금이 적용되고 있다.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중간 요금소를 무정차로 통과하고 최종 목적지에서 통행료를 정산하는 시스템}}}에 대한 내용은 [[원톨링 시스템]]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원톨링 시스템#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원톨링 시스템#|]]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중간 요금소를 무정차로 통과하고 최종 목적지에서 통행료를 정산하는 시스템: }}}[[원톨링 시스템]]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원톨링 시스템#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원톨링 시스템#|]]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3.1. 연계요금 적용 사례3.1.1. 단거리를 이용하는 경우 재정 구간과 민자 구간을 포함하여 최단거리 및 이에 근접하는 단거리를 이용하는 경우에 민자 구간의 통행료를 일부 감면한다.3.1.2. 민자 구간을 최소로 이용하는 경우 재정 구간의 분기점에서 민자 구간의 가장 가까운 나들목까지만 이용하는 경우에 민자 구간의 통행료를 일부 감면한다.중앙고속도로 대동JC ~ 동대구JC (신대구부산고속도로주식회사 )신대구부산고속도로주식회사 통행료 할인중앙고속도로 , 중앙고속도로지선 대동JC ↔ 중앙고속도로 상동IC 1종 800원, 2·3종 900원, 4종 1,200원, 5종 1,400원 함양울산고속도로 밀양JC ↔ 중앙고속도로 밀양IC 경부고속도로 동대구JC , 대구외곽순환고속도로 상매JC ↔ 중앙고속도로 동대구IC 1·2종 300원, 3종 400원, 4종 500원, 5종 600원 경부고속도로 동대구JC , 대구외곽순환고속도로 상매JC ↔ 중앙고속도로 수성IC 신대구부산고속도로주식회사 통행료를 기본요금(1·2·3종 1,000원, 4종 1,100원, 5종 1,300원)만 납부, 한국도로공사 통행료에서 1·2·3종 200원 할인동대구IC 대신 수성IC 를 이용할 경우 추가되는 요금은 1·2종 500원, 3종 400원, 4종 600원, 5종 700원이다.서울양양고속도로 미사IC ~ 춘천JC (서울춘천고속도로 )동해고속도로 해운대기점 ~ 울산JC (부산울산고속도로 )부산울산고속도로 통행료 할인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 기장JC ↔ 동해고속도로 해운대송정TG 1·2·3종 700원, 4종 900원, 5종 1,100원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 기장JC ↔ 동해고속도로 장안IC 1·2·3종 500원, 4종 600원, 5종 800원 함양울산고속도로 울주JC ↔ 동해고속도로 청량IC 1·2·3종 300원, 4종 400원, 5종 500원 함양울산고속도로 울주JC ↔ 동해고속도로 문수IC 함양울산고속도로 울주JC ↔ 동해고속도로 울산JC ( ↔ 울산고속도로 울산IC )1·2·3종 500원, 4종 700원, 5종 900원 울산고속도로 울산JC ↔ 동해고속도로 문수IC 1·2·3종 400원, 4종 500원, 5종 600원 울산고속도로 울산JC ↔ 동해고속도로 청량IC 1·2종 800원, 3종 900원, 4종 1,200원, 5종 1,400원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동탄JC ~ 곤지암JC (화성광주고속도로주식회사 )화성광주고속도로주식회사 통행료 할인동탄JC , 곤지암JC 에서는 연계요금을 적용하지 않아 통행료 부담이 큰 반면, 서용인JC 에서는 연계요금이 적용되어 통행료 부담이 덜하다.영동고속도로 서용인JC ↔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서용인IC 1종 600원, 2·3종 700원, 4종 800원, 5종 900원 영동고속도로 서용인JC ↔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포곡IC 1·2종 800원, 3종 900원, 4종 1,000원, 5종 1,200원 3.1.3. 민자 구간끼리 접속하는 경우3.2. 연계요금 미적용 사례 어느 한 곳의 요금제에 기본요금이 없는 경우 연계요금을 적용할 필요가 없다.3.2.2. 연계되는 폐쇄식 요금제 고속도로가 없는 경우 연결되는 폐쇄식 요금제 고속도로가 없는 경우 당연하게도 연계요금을 적용할 필요가 없다. 차후 노선 연장이나 신규 노선 건설로 타 노선과 접속하게 되면, 연계요금이 적용될 수 있다.3.2.3. 개방식으로 운영하는 경우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고양JC 에서 고양IC 방면으로는 요금소가 없어 무료로 통행가능한 점을 방지하기 위해, 고양JC 이용 차량에 대하여 서울문산고속도로 에서 서울고속도로 통행료를 일괄적으로 합산하여 수납한다. 그리고 통행료가 중복수납된 통일로IC , 양주TG 이용 차량에는 할인을 적용한다.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고양IC → 평택파주고속도로 목적지 요금소에서 평택파주고속도로 통행료 +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통행료(1·2·3종 800원, 4종 1,100원, 5종 1,300원) 수납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통일로IC → 평택파주고속도로 ① 통일로IC에서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통행료(1·2종 1,000원, 3종 1,100원, 4종 1,400원, 5종 1,700원) 수납 ② 목적지 요금소에서 평택파주고속도로 통행료 -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통행료(1·2종 200원, 3·4종 300원, 5종 400원) 수납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양주TG → 평택파주고속도로 ① 양주TG에서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통행료(1·2종 1,800원, 3종 1,900원, 4종 2,600원, 5종 3,000원) 수납 ② 목적지 요금소에서 평택파주고속도로 통행료 수납 평택파주고속도로 →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고양IC 고양JC에서 평택파주고속도로 통행료 +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통행료(1·2·3종 800원, 4종 1,100원, 5종 1,300원) 수납 평택파주고속도로 →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통일로IC ① 고양JC에서 평택파주고속도로 통행료 +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통행료(1·2·3종 800원, 4종 1,100원, 5종 1,300원) 수납 ② 통일로IC에서 통행료 수납 없이 무료 진출 평택파주고속도로 →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양주TG ① 고양JC에서 평택파주고속도로 통행료 +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통행료(1·2·3종 800원, 4종 1,100원, 5종 1,300원) 수납 ② 양주TG에서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통행료(1·2종 1,000원, 3종 1,100원, 4종 1,500원, 5종 1,700원) 수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