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남 나들목 河南 나들목 Hanam Interchange | ||
| 하남 요금소 Hanam Tollgate | ||
| 청주 방면 동서울TG ← 1.0 km | 중부선42 | 하남 방면 하남JC 2.4 km → |
| 하남드림휴게소(양방향) ▶ | ||
| 주소 | ||
| 경기도 하남시 천현동 | ||
| 관리기관 | ||
| 중부선 | 한국도로공사 서울경기본부 경기광주지사 | |
| 개통 | ||
| 2001년 9월 1일 | ||
| 접속도로 | ||
| [[43번 국도| 43 ]](하남대로) · 창우로 | ||
42
#!wiki style="display: table-cell; background: #007448; color: #fff; padding: -5px -10px
{{{#!wiki style="margin: -10px 0"
||<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7448,#007448><rowbgcolor=#007448,#007448><color=#fff,#fff> {{{#!if 연결도로 != "고속도로"
{{{#!wiki style="word-break: keep-all"
{{{+1 '''하남'''}}}{{{#!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background: linear-gradient(105deg, #007448 30%, #fff 0%, #fff 40%, transparent 0%, transparent 55%), linear-gradient(to right, transparent 0%, transparent 30%, #fff 0%, #fff 45%, transparent 0%, transparent 55%), linear-gradient(75deg, transparent 60%, #fff 0%, #fff 70%, #007448 0%), linear-gradient(to right, transparent 55%, #fff 0%, #fff 70%, #007448 0%)"
'''↗'''}}}}}}}}}{{{#!if 연결도로 == "고속도로"
{{{#!wiki style="word-break: keep-all; letter-spacing: 0.1em"
{{{+1 '''하남'''}}}}}}}}} ||}}}#!if 연결도로 == "고속도로" && 연결도로명 != null
[[|{{{#!wiki style="margin: -5px -10px; text-align: justify; text-justify: inter-character; word-break: keep-all; letter-spacing: 0.25em; text-align: center; color: #fff"
'''()'''}}}]]#!if 연결도로 == "고속도로" && 민자도로명 != null
[[|{{{#!wiki style="margin: -5px -10px"
||<nopad><tablealign=center><bgcolor=#00498B,#00498B><color=#fff,#fff>{{{#!wiki style="text-align: justify; text-justify: inter-character; word-break: keep-all; letter-spacing: 0.25em"
''''''}}}||}}}]]#!if 연결도로 != null
{{{#!wiki style="display: table-cell; width: max-content; height: max-content;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middle; margin: auto; padding: 5px 10px; border-right: 1px solid #007448"
{{{#!if 방위 != null && 연결도로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font-size: 12px; margin: -5px -10px; text-align: center; font: 1em/2.0 sans; font-family: revert"
''''''[br]}}}}}}{{{+4 '''{{{#!if 연결도로 == "국도"
[[6번 국도|{{{#!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border: 2px solid #fff; border-radius: 38.89%/57.14%; background-color: #00498B; color:#fff; min-width: 2em; text-align: center; word-break: keep-all; letter-spacing: 1px"
6}}}]]}}}{{{#!if 연결도로 == "지방도"
[[6번 지방도|{{{#!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border: 2px solid #fff; border-radius: 6.94%/10.42%; aspect-ratio: 3/2; background-color: #EA9E00; color:#00498B; min-width: 2em; text-align: center; word-break: keep-all; letter-spacing: 1px"
6}}}]]}}}'''}}}{{{#!if 연결도로 == "고속도로" && 연결도로2 == null
[[파일:Expressway_kor_6.svg|height=50px]]}}}{{{#!if 연결도로 == "고속도로" && 연결도로2 != null
[[파일:Expressway_kor_6.svg|height=40px]]}}}{{{#!if 연결도로 == "시도" && 연결도로2 == null
[[파일:Cityroad_kor_6.svg|height=40px]]}}}{{{#!if 연결도로 == "시도" && 연결도로2 != null
[[파일:Cityroad_kor_6.svg|height=30px]]}}}{{{#!if 연결도로 == "자동차도" && 연결도로2 == null
[[파일:Cityroad_kor_6m.svg|height=40px]]}}}{{{#!if 연결도로 == "자동차도" && 연결도로2 != null
[[파일:Cityroad_kor_6m.svg|height=30px]]}}}{{{#!if 연결도로2 != null
[br]{{{#!if 방위2 != null && 연결도로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font-size: 12px; margin: -5px -10px; text-align: center; font: 1em/2.0 sans; font-family: revert"
''''''[br]}}}}}}{{{+4 '''{{{#!if 연결도로2 == "국도"
[[번 국도|{{{#!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border: 2px solid #fff; border-radius: 38.89%/57.14%; background-color: #00498B; color:#fff; min-width: 2em; text-align: center; word-break: keep-all; letter-spacing: 1px"
}}}]]}}}{{{#!if 연결도로2 == "지방도"
[[번 지방도|{{{#!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border: 2px solid #fff; border-radius: 6.94%/10.42%; aspect-ratio: 3/2; background-color: #EA9E00; color:#00498B; min-width: 2em; text-align: center; word-break: keep-all; letter-spacing: 1px"
}}}]]}}}'''}}}{{{#!if 연결도로2 == "고속도로"
[[파일:Expressway_kor_.svg|height=40px]]}}}{{{#!if 연결도로2 == "시도"
[[파일:Cityroad_kor_.svg|height=30px]]}}}{{{#!if 연결도로 == "자동차도"
[[파일:Cityroad_kor_6m.svg|height=30px]]}}}}}}}}}{{{#!if 하이패스전용 == "상단"
#!if 보조지명 != null
{{{#!wiki style="display: table; border: #007448 solid 3px; border-collapse: collapse; width: 320px; background: #007448; margin: 5px 0"
{{{#!wiki style="display: table; padding: -5px -10px; width: 320px; background: #007448; border: #fff solid 1px; color: #fff"
{{{#!wiki style="display: table-row"
{{{#!wiki style="display: table-cell; padding: -5px -10px; text-align: center; letter-spacing: 1px"
''''''}}}}}}}}}}}}#!if 관광지 != null && 관광지종류 == null
{{{#!wiki style="display: table; border: #6D3A19 solid 3px; border-collapse: collapse; width: 320px; background: #007448; margin: 5px 0"
{{{#!wiki style="display: table; padding: -5px -10px; width: 320px; background: #6D3A19; border: #fff solid 1px; color: #fff"
{{{#!wiki style="display: table-row"
{{{#!wiki style="display: table-cell; padding: -5px -10px; text-align: center; letter-spacing: 1px"
''''''{{{#!if 관광지영문 != null
{{{#!wiki style="font-size: 13px"
}}}}}}}}}}}}}}}}}}#!if 관광지종류 != null && 관광지종류2 == null
{{{#!wiki style="display: table; border: #6D3A19 solid 3px; border-collapse: collapse; width: 320px; background: #6D3A19; margin: 5px 0"
{{{#!wiki style="display: table; padding: -5px -10px; width: 32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top, #6D3A19 0%, #6D3A19 70%, #fff 0%); border: #fff solid 1px; color: #fff"
{{{#!wiki style="display: table-row"
{{{#!wiki style="display: table-cell; padding: -5px -10px"
[[파일:관광지표지_.png|width=100%]]}}}}}}{{{#!wiki style"display: table-row"
{{{#!wiki style="display: table-cell; padding: 5px 10px; width: 100%"
{{{+1 ''''''}}}[br]{{{#!wiki style="letter-spacing: 1px; word-break: keep-all"
}}}}}}}}}}}}}}}#!if 관광지종류 != null && 관광지종류2 != null && 관광지종류3 == null
{{{#!wiki style="display: table; border: #6D3A19 solid 3px; border-collapse: collapse; width: 320px; background: #6D3A19; margin: 5px 0"
{{{#!wiki style="display: table; padding: -5px -10px; width: 320px; background: #6D3A19; border: #fff solid 1px; color: #fff"
{{{#!wiki style="display: table-row"
{{{#!wiki style="display: table-cell; padding: -5px -10px; vertical-align: bottom"
[[파일:관광지표지_.png|width=320px&height=60px&object-fit=cover]]}}}}}}{{{#!wiki style"display: table-row"
{{{#!wiki style="display: table-cell; padding: 5px 10px; width: 100%"
{{{+1 ''''''}}}[br]{{{#!wiki style="letter-spacing: 1px;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 table-row"
{{{#!wiki style="display: table-cell; padding: -5px -10px; vertical-align: bottom"
[[파일:관광지표지_.png|width=320px&height=60px&object-fit=cover]]}}}}}}{{{#!wiki style"display: table-row"
{{{#!wiki style="display: table-cell; padding: 5px 10px; width: 100%"
{{{+1 ''''''}}}[br]{{{#!wiki style="letter-spacing: 1px; word-break: keep-all"
}}}}}}}}}}}}}}}}}}1. 개요
중부고속도로 42번. 경기도 하남시 중부고속도로 116 (천현동 산13-11)에 있는 중부고속도로의 나들목. 명칭은 소재지인 하남시에서 유래했다.2. 구조
2.1. 청주 방향(하행선)
2.2. 하남 방향(상행선)
3. 역사
- 1997년 4월 2일 수요일 - 중부고속도로 호법JC ~ 하남JC 구간 8차로 확장과 함께 공사가 시작되었다.[가]
- 2001년 9월 1일 토요일 00:00 - 중부고속도로 하남IC ~ 하남JC 구간 8차로 확장과 함께 개통되었다.[가]
- 2001년 11월 23일 금요일 14:00 - 중부고속도로 호법JC ~ 하남IC 구간 8차로 확장으로 지금 형태의 하남IC가 되었다.[3]
- 2004년 12월 28일 화요일 15:00 - 하남TG의 하이패스 도입[4]으로 하남시청[동서울]까지의 접근이 빨라졌다.
4. 특징
4.1. 요금
| 종별 | 요금 |
| 1종 | 800원 |
| 2종 | 900원 |
| 3종 | 900원 |
| 4종 | 900원 |
| 5종 | 900원 |
| 경차 | 400원 |
-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를 거쳐 한강을 건너면 구리남양주TG에서 요금을 다시 내는데, 이 때 하남IC에서 진입했다면 1종 차량은 100원, 2·3종 차량은 300원이 할인된다.
- 토평IC에서 진출하면 1종 200원, 2·3종 300원, 4종은 100원 할인된다.
- 하이패스는 자동 정산되나, 현금 정산 시 영수증을 챙겨야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역방향도 동일하게 적용 가능.
4.2. 기타
- 개통 당시에는 없었다가 나중에 신설된 나들목이다.
- 하남 시내, 그리고 팔당대교와 이어지는 양평군과 연결된다. 하남시내로 직접적으로 들어갈 수 있으며 창우로를 통해 팔당대교와 직결되어 남양주시 와부읍, 조안면과 양평군, 가평군과 연계성도 강화되었다.[7] 미사대로를 통해 정체 구간을 우회할 수 있다.
- 하남TG는 한 방향에서만 요금 정산을 하고 진출로와 진입로가 창우로에 의해 벌어지는 특성 상 모든 방향에서 한 건물을 거치는 구조가 아니고, 통영 진출 직후와 동서울 진입 직전에 하나씩 있다. 서해안고속도로의 일로IC와 목포TG, 평택파주고속도로의 흥도IC와 고양TG,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의 불암산TG와 별내IC, 세종포천고속도로의 중랑IC와 갈매동구릉TG 등도 도로 때문에 진출로와 진입로가 벌어지는 건 아니나 한 방향에서만 요금 정산을 하기에 이런 구조를 띤다. [8]
- 미사강변도시 주민들이 경기도 이남이나 수도권 서쪽 지역으로 갈 때에 주로 이용한다. 수도권 북쪽 지역으로 갈 때는 강일IC나 토평IC를 타는게 유리하다. 하남JC 부근의 정체 현상이 답이 안나오기 때문이다. 이 나들목에서 나가면 근처에 스타필드 하남이 있다.
- 청우로로 진출하여 직진하여 하남시로 들어가면 스타필드 하남과 수도권 전철 5호선 하남선 하남검단산역 앞으로 오게 된다.
- 2001년 8월 25일 있었던 고속도로 번호체계 변경 이후 전국에서 1번으로 개통된 나들목이자 통영대전고속도로와 중부고속도로를 통틀어 35호선으로 제일 먼저 개통된 나들목이다. 하남IC가 개통된 후 9월 11일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의 일산IC ~ 자유로IC 구간이 번호체계 개정 이후 첫 노선으로 개통됐고, 11월 21일 통영대전고속도로가 함양JC ~ 무주IC 구간이 하남IC와 같은 35호선으로서 최초 개통됐다. 참고로 8월 1일 동일 노선 상에 개통된 서이천IC는 중부고속도로의 옛 번호인 10호선으로서 개통됐으며 중앙고속도로 만종JC ~ 홍천IC 구간은 8월 17일 옛 번호(14번) 시절의 마지막 구간으로 개통됐고.[9]
|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3f3f7f><tablewidth=500><tablebgcolor=#3f3f7f> | 35번 고속국도 구간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통영대전고속도로 | - - - - - - - 진주JC( - - - - - - 함양JC( - - - - 장수JC( - - - - - - - - 산내JC( - 판암IC1 - | |
| 중부고속도로 | 남이JC( - - - - 오창JC( - - - - 대소JC( - - - - - 호법JC( - 마장JC( - 마장프리미엄SA하남방향 - 이천SA청주방향 - - - - 경기광주JC( - - 산곡JC( - - - - 하남JC( | ||
| 1: 대전남부순환고속도로와 중첩되는 구간2: 경부고속도로를 통해 중부고속도로와 연결된다.3:경부고속도로를 통해 통영대전고속도로와 연결된다. | }}}}}}}}} | ||
[가] 중부고속도로 하남IC 9월 1일 개통-하남, e시티뉴스, 2001-08-31[가] [3] 중부고속도 하남-호법 구간 개통, 동아일보, 2001-11-21[4] 건설교통부공고 제2004-330호, 건설교통부, 2004-12-27[동서울] 하남JC 방면 왕래자 한정. 통영IC 방면은 동서울TG가 2007년 10월 4일 하이패스 가동.[6] 하남영업소는 동단의 동서울 방면 진입 쪽에 있다.[7] 여기서 남양주시 와부읍, 가평군은 2009년 7월 15일 개통된 서울양양고속도로 덕소삼패IC와 설악IC가 지름길로 개통되었다.[8] 한 방향에서만 요금 정산을 하는 건 서울양양고속도로의 덕소삼패IC와 남양주TG, 동해고속도로의 동부산IC와 해운대송정TG도 있으나 이들은 요금소가 하나로 붙어있기에 논외.[9] 언급한 도로들의 경우, 서울순환1의 경우 1999년 11월 26일 김포IC~서운JC & 장수IC~산본IC 구간이 마지막 101호선 구간으로, 통영대전은 2000년 12월 22일 무주IC ~ 판암IC 구간이 마지막 17호선으로 개통됐다. 중앙은 2001년 12월 14일 풍기IC ~ 제천IC 구간을 시작으로 55호선으로 개통되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