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수 분기점 長水 分岐點 Jangsu Junction | ||
완주 방면 장수IC ← 2.1 km | 새만금포항선6 | 임시 종점 장기 계획 |
통영 방면 서상IC ← 9.6 km | 통영대전선14 | 대전 방면 덕유산IC 14.5 km → |
덕유산휴게소(양방향) ▶ | ||
주소 | ||
전북특별자치도 장수군 장계면 | ||
관리기관 | ||
새만금포항선 | 한국도로공사 전북본부 무주지사 | |
통영대전선 | ||
개통 | ||
2001년 11월 21일 |
[clearfix]
1. 개요
새만금포항고속도로 6번. 통영대전고속도로 14번. 전북특별자치도 장수군 장계면에 있는 새만금포항고속도로와 통영대전고속도로의 분기점. 명칭은 소재지인 장수군에서 유래했다.2. 구조
2.1. 새만금포항고속도로
2.1.1. 장수 방향(우행선)
- 진출 가능 : 통영대전고속도로 양방향
2.1.2. 익산 방향(좌행선)
- 진입 가능 : 통영대전고속도로 양방향
2.2. 통영대전고속도로
2.2.1. 대전 방향(상행선)
2.2.2. 통영 방향(하행선)
3. 역사
- 1996년 11월 - 다음 구간과 함께 공사가 시작되었다.[1] 장수군 최초의 고속도로 착공이었다.
- 2001년 11월 21일 수요일 17:00 - 다음 구간과 함께 장수군 최초의 분기점[2]으로 개통되었다.[3]
4. 특징
- 이 분기점에서 대구까지 구간은 그야말로 장기계획 상태이다. 다만, 일단 진행되더라도 대구 - 성주 간만 진행될 예정이다.
- 통영 방향으로 이 분기점을 지나면 소백산맥 육십령으로 육십령터널이 관통이 되어있다. 터널을 지나면 경상남도로 진입하는데 겨울에 호남 지방은 눈이 오는 반면에[4] 영남 지방은 소백산맥으로 인해 눈이 잘 안와서 통영 방향으로 육십령터널을 지나면 눈으로 쌓여있었던 풍경이 언제 그랬냐는듯 눈으로 안 쌓인 평상시 풍경으로 변하면서 신기한 장면이 연출이 된다.
- 현재 대한민국에서 가장 높은 고도에 위치한 고속도로 분기점이다.[5]
==# 둘러보기 틀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3f3f7f><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3f3f7f> | }}} | |
{{{#!wiki style="color:#000,#00f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화산JC( | }}}}}}}}}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3f3f7f><tablewidth=500><tablebgcolor=#3f3f7f> | 고속국도 제35호선 구간 | }}} |
{{{#!wiki style="color:#000,#00f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통영대전고속도로 | 통영IC - 통영TG - 북통영IC - 동고성IC - 고성IC - 고성공룡나라SA - 연화산IC - 진주JC( 산청SA - 산청IC - 생초IC - 함양JC( 금산IC - 인삼랜드SA - 추부IC - 남대전IC - 산내JC( | |
중부고속도로 | 남이JC( 일죽IC - 남이천IC - 호법JC( 곤지암IC - 경기광주JC( | ||
1: 대전남부순환고속도로와 중첩되는 구간 2: 경부고속도로를 통해 중부고속도로와 연결된다. 3:경부고속도로를 통해 통영대전고속도로와 연결된다.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철도 | | 장수역 |
도로 | 고속도로 | ||
국도 | 13 · 19 · 26 | ||
지방도 | 635 · 721 · 726 · 742 · 743 · 751 | ||
로 | 장수군의 로 | ||
버스 | 농어촌버스 | 장수군 농어촌버스 | |
버스 터미널 | 장수공용버스터미널 · 계남정류소 · 번암정류소 · 산서정류소 · 장계시외버스공용터미널 · 천천정류소 | ||
†:고속도로 자체는 지나가나 관내에 나들목, 분기점 없음 | |||
전북특별자치도의 교통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