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 <colbgcolor=#f5f5f5,#2d2f34> 남북 | | |||||
| 동서 | | ||||||
| 순환 | | ||||||
| 지선 | | ||||||
| 계획 | 공주천안고속도로m, 사상해운대고속도로m, 서울양주고속도로m, 서평택봉담고속도로m, 성남강남고속도로m, 성남서초고속도로m, 시흥송파고속도로m, 양재고양고속도로m, 영동오창고속도로m, 영월삼척고속도로y, | ||||||
| y: 예비타당성조사 또는 타당성재조사 통과 / M: 예비타당성조사 면제 / m: 민자적격성조사 통과 | |||||||
| 검토단계 | 강화간성고속도로, 광주영암고속도로, 구미군위고속도로, 당진광명고속도로, 보령보은고속도로, 보령울진고속도로, 서창장수고속도로, 영천양구고속도로, 태안안성고속도로, 팔공산 관통 고속도로 | ||||||
| 고속도로 | 국도 | 국도(북한) | 국가지원지방도 | 지방도 | 서울특별시도 | 광역시도 | 시도 | 군도 | |||||||
| 지정해제 구간 기존 노선 연장은 각 문서 참조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 | 새만금포항고속도로지선 새萬金浦項高速道路支線 Saemangeum–Pohang Jiseon Expressway | }}} | ||
| | |||||
| 새만금포항고속도로지선 노선도 | |||||
| 노선 번호 | 204번 | ||||
| 기점 |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왕궁면 | ||||
| 종점 |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상관면 | ||||
| 연장 | 24.5 ㎞ | ||||
| 개통 | 2007년 12월 13일 | 익산JC -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상관면 | |||
| 관리 | 한국도로공사 | ||||
| 왕복 차로 수 | 4차로 | 익산JC -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상관면 | |||
| 구조 | 나들목 2개소[1] 분기점 2개소[2] 터널 3개소[3][4] 휴게소 2개소[5] | ||||
| 주요 경유지 | 익산 ↔ 완주 | ||||
1. 개요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에서 완주군에 이르는 고속도로. 노선번호는 204번.개통 당시는 익산포항고속도로의 일부였던 구간이다. 실제로 호남고속도로 익산 분기점과 서해안고속도로 군산 나들목은 군산 - 익산 연장에 대비한 클로버형 분기점으로 설계되어 있으며, 군산 나들목의 경우는 아예 익산 방향으로의 진출입로 기초 공사까지 마쳐 부지의 형태가 잡혀 있다. 하지만 비슷한 역할을 하는 군산 - 전주간 21번 국도(새만금북로)가 먼저 만들어진 탓에 2007년 민자사업자를 모집하다가 모집이 안 되어 군산 - 익산 구간의 연결은 완전히 무산되었다.
그 대신 새만금 일대에 동서축 고속도로를 연결하기 위해 다시 한번 익산포항선이 화두에 올랐으며, 최종적으로는 익산포항선 중간의 완주군 상관면 일대에서 고속도로가 분기하여 전주시 남쪽을 지나 김제시, 만경강/동진강사이의 새만금 지역, 새만금항까지 연결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이에 따라 2018년에 새만금~동완주 구간을 본선으로 지정하고 익산~동완주 구간이 새만금포항고속도로지선으로 분리되었다.
아직 새만금~동완주 구간이 공사중인지라 이용객들의 혼선 방지를 위해 한국도로공사 웹사이트의 노선 정보에서는 한동안 종전 이름인 익산포항고속도로로 표시했다가 나중에 수정했다.
2024년 2월 기준으로 도로명주소와 호남고속도로 쪽 익산JC 표지판에는 익산장수고속도로로 표시되어 있다. 도로 구조상 새만금IC~동완주JC 구간이 분기하는 형태이고[6], 도로가 포항까지 이어져 있지 않아 과거 익산~포항선이던 시절에도 익산포항고속도로라는 명칭을 사용한 적이 없다. 따라서 새만금IC~동완주JC가 개통되고 나서도 도로명은 변함이 없을 것이고, 향후 익산평택고속도로 익산~부여 구간이 개통하고 나서야 변경될 가능성이 있다.
새만금포항고속도로의 유일한 지선이지만 노선번호가 204번으로 지정되어있다. 이유는 기계 - 신항만 고속도로가 202번으로 지정되어있었기 때문. 해당 도로는 착공조차 하지 않았다.
2. 구간
| {{{#!wiki style="margin:-10px auto" | <tablebordercolor=#3f3f7f><tablewidth=310><tablebgcolor=#3f3f7f> | }}} | |
| {{{#!wiki style="color:#000,#0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익산JC( - - 완주JC( - - - | }}}}}}}}} |
| <rowcolor=#ffffff> 소재지 | <colbgcolor=#ffffff,#191919> 번호 | <colbgcolor=#ffffff,#191919> 이름 | 접속 노선 | 비고 | |
| 전북 | 익산시 | 1 | 익산JC | | |
| 완주군 | 2 | 완주IC | [[17번 국도| 17 ]] | ||
| 2-1 | 완주JC | | |||
| SA | 완주 | 양방향 | |||
| 3 | 소양IC | [[26번 국도| 26 ]] | |||
| | | 공사중 | |||
3. 효과
대구, 경북 남부 지방에서 전북 중북부 방면으로 이동하는 소요시간이 줄어들었으며, 전북의 중심지인 전주에서 전북 동부지역으로 가는 길도 많이 편해졌다. 현재 대구 및 울산에서 전주시로 가는 고속버스는 광주대구고속도로를 타다가 함양 분기점에서 통영대전고속도로에 진입한 뒤, 다시 장수 분기점에서 이 도로를 통해 전주로 간다.또한 전북~부산, 경남권간 이동 시간도 많이 단축시켰다. 통영대전고속도로를 거쳐 남해고속도로로 연결되기 때문. 예를 들어 전주에서 부산으로 이동시 새만금포항 장수 방향 진입 - 장수 분기점에서 통영대전고속도로 통영 방향 진입 - 진주 분기점에서 남해고속도로 부산 방향으로 진입하는 식으로, 전주에서 부산까지 최적의 경로가 설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