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23 20:08:38

성남강남고속도로

이 교통 시설 또는 노선은 개통되지 않았습니다.

이 문서에는 현재 설계, 계획이나 공사 등의 이유로 개통되지 않은 교통 시설 또는 노선에 대한 정보가 서술되어 있습니다.

파일:대한민국_고속국도.svg
대한민국의
고속도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colbgcolor=#3f3f7f><colcolor=#fff> 경부 파일:대한민국 고속국도 제1호선.svg 경부
남북 파일:대한민국 고속국도 제15호선.svg 서해안 · 파일:대한민국 고속국도 제17호선.svg 익산평택· 평택파주 · 파일:대한민국 고속국도 제25호선.svg 호남·논산천안 · 파일:대한민국 고속국도 제27호선.svg 순천완주 · 파일:대한민국 고속국도 제29호선.svg 세종포천 · 파일:대한민국 고속국도 제35호선.svg 통영대전·중부 · 파일:대한민국 고속국도 제37호선.svg 제2중부 · 파일:대한민국 고속국도 제45호선.svg 중부내륙 · 파일:대한민국 고속국도 제55호선.svg 중앙 · 파일:대한민국 고속국도 제65호선.svg 동해
동서 파일:대한민국 고속국도 제10호선.svg 남해 · 파일:대한민국 고속국도 제12호선.svg 무안광주·광주대구 · 파일:대한민국 고속국도 제14호선.svg 함양울산 · 파일:대한민국 고속국도 제16호선.svg 울산 · 파일:대한민국 고속국도 제20호선.svg 새만금포항 · 파일:대한민국 고속국도 제30호선.svg 서산영덕 · 파일:대한민국 고속국도 제32호선.svg 당진청주 · 파일:대한민국 고속국도 제40호선.svg 평택제천 · 파일:대한민국 고속국도 제50호선.svg 영동 · 파일:대한민국 고속국도 제52호선.svg 광주원주 · 파일:대한민국 고속국도 제60호선.svg 서울양양
순환 파일:대한민국 고속국도 제100호선.svg 수도권제1순환 · 파일:대한민국 고속국도 제300호선.svg 대전남부순환 · 파일:대한민국 고속국도 제400호선.svg 수도권제2순환 · 파일:대한민국 고속국도 제500호선.svg 광주외곽순환 · 파일:대한민국 고속국도 제600호선.svg 부산외곽순환 · 파일:대한민국 고속국도 제700호선.svg 대구외곽순환
경인 파일:대한민국 고속국도 제110호선.svg 제2경인 · 파일:대한민국 고속국도 제120호선.svg 경인 · 파일:대한민국 고속국도 제130호선.svg 인천공항
지선 파일:대한민국 고속국도 제102호선.svg 남해제1지선 · 파일:대한민국 고속국도 제104호선.svg 남해제2지선 · 파일:대한민국 고속국도 제105호선.svg 남해제3지선 · 파일:대한민국 고속국도 제151호선.svg 서천공주 · 파일:대한민국 고속국도 제153호선.svg 평택시흥 · 파일:대한민국 고속국도 제171호선.svg 오산화성·용인서울 · 파일:대한민국 고속국도 제173호선.svg 익산평택지선 · 파일:대한민국 고속국도 제202호선.svg 새만금포항지선1 · 파일:대한민국 고속국도 제204호선.svg 새만금포항지선2 · 파일:대한민국 고속국도 제251호선.svg 호남지선 · 파일:대한민국 고속국도 제253호선.svg 고창담양 · 파일:대한민국 고속국도 제255호선.svg 강진광주 · 파일:대한민국 고속국도 제292호선.svg 세종포천오송지선 · 파일:대한민국 고속국도 제301호선.svg 상주영천 · 파일:대한민국 고속국도 제451호선.svg 중부내륙지선 · 파일:대한민국 고속국도 제551호선.svg 중앙지선
계획 계양강화y · 공주천안m · 사상해운대m · 서울양주m · 서평택봉담m · 시흥송파m · 성남강남m · 성남서초m · 양재고양m · 영동오창m · 영월삼척y · 파일:대한민국 고속국도 제171호선.svg 오산용인m · 울산외곽순환M ·중부연결m
y: 예비타당성 통과 / M: 예비타당성 면제 / m: 민자적격성 통과
검토단계 강화간성 · 과천충주 · 광주영암 · 구미군위 · 당진광명 · 보령보은 · 보령울진 · 서창장수 · 영천양구 · 팔공산관통 · 태안안성
고속도로 | 국도 | 국도(북한) | 국가지원지방도 | 지방도 | 특별시도 | 광역시도 | 시도 | 군도
지정해제 구간
기존노선 연장은 각 문서 참조
}}}}}}}}}




1. 개요2. 역사 및 진행3. 구간
3.1. 기타
4. 같이 보기

1. 개요

경기도 성남시 금토JC에서 서울특별시 강남구 일원IC를 신설 및 이을 예정인 민자 고속도로[1]. 강남구 주도로 추진하고 있는 사업이며, 2019년 대우건설 컨소시엄이 제안한 민자적격성 조사를 마치고 2023년 7월부터 전략환경경영평가가 진행 중이다.#

2. 역사 및 진행

원래 이 계획은 대모산터널 계획으로 시작된다. 본래 강남 도심이 아닌 헌릉IC에서 끝나는 용인서울고속도로의 단점을 극복하고자 추진하던 사업이었지만, 사업 부적격 판정과, 삼성로 인근 주민들의 반발로 계획이 취소된 상태였다.

하지만 2010년대 후반 들어 경기남부 지역 인구가 급속도로 증가함에 따라 용인서울고속도로의 이용량이 대폭 증가하게 되고, 더불어 헌릉로 근방에 세곡지구와 위례신도시가 입주하면서 상황은 달라졌다. 출퇴근 시간이되면 어떻게든 내곡IC로 진입하려는 차량들과, 양재동으로 가는 차량이 한데 어우러져 상시 헬게이트가 열리고 있다. 이 때문에 헌릉로가 제구실을 하지 못하자 강남구 주민들이 교통대책으로 대모산터널 계획을 부활시켜달라 요청한 것.

이에 강남구에서는 대모산터널을 광역도로계획으로 변경하여 경부고속도로 금토JC용인서울고속도로 헌릉IC~ 동부간선도로 지하도로와 연결하여 짓는 민자 고속도로 계획을 추진하게 되었다.

2019년 9월 대우건설 컨소시엄이 이 도로에 대한 민간적격성 심사를 KDI에 의뢰했다.# 함께 진행 시 직결되는 동부간선도로와 영동대로의 지하화 사업 또한 대우건설 컨소시엄 주도로 진행 중이다.

2023년 7월 위 민자적격성 평가가 문제없이 끝나고 국토교통부에 의해 민간투자사업에 대한 전략환경영향평가가 시작되었다.# 2024년 상반기 중 평가를 마치고 연말에 건설사업자를 선발하여 2026년 초에 착공한다는 계획이다.

용서고속도로 연장 언급 없이 개포-금토 신설이라 보도된 것을 보면 그 지하에 새로 파서 제2중부고속도로같은 개념으로 만드는 듯하다.

3. 구간

현재 계획 중인 도로이니 정확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참고용으로 활용하기 바람.
2023년 7월 기준 국토교통부 공개 노선도
국토부는 대안 1 노선을 추진하고 있다.
파일:성남-강남 고속도로 민간투자사업 위치도.png
소재지 번호 이름 구간거리(km) 누적거리(km) 접속 노선 비고
<colbgcolor=#bdbdbd,#414141> 경기도 <colbgcolor=#d8d8d8,#272727> 성남시
수정구
금토JC 파일:Expressway_kor_1.svg
성남강남고속도로
고등IC 청계산로
서울특별시 강남구 헌릉IC 파일:Expressway_kor_171.svg, 헌릉로 [2]
일원IC 9.5 영동대로, 동부간선도로[3] [4]
개포IC 양재대로

3.1. 기타

  • 출구는 대모산을 통과한 직후이자 영동대로양재대로가 교차하는 일원터널사거리가 아니라, 각 대로 방향으로 한블럭씩 나아간 대모산입구역사거리(일원IC) 또는 개포3.4단지사거리(개포IC)에 만드는 안이 제시되어 있다. 이는 대모산 바로 밑에서는 사거리 이름대로 지상의 일원터널[5] 출구와 겹치기 때문이다. 두 대로는 각각 삼성동의 업무지구와 양재IC로 직결되는 도로이기 때문에 현재도 출퇴근시간대 혼잡이 상당하여, 고속도로 개통 시 위 지하화 계획과 직결되지 않는다면 기존 헌릉IC 이상으로 교통체증이 극심해질 수 있어 주민들의 반대가 있다.#

4. 같이 보기


[1] BTO-a(손익공유형 민자사업) 방식[2] 계획상 가장 중요한 용인서울고속도로와의 직결은 이곳에서 이루어질 것으로 보인다.[3] 지하화시 직결예정[4] 서로 1블럭 거리에 있다[5] 일원본동 방향의 광평로와 이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