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평택 분기점 西平澤 分岐點 West Pyeongtaek Junction | ||
목포 방면 서평택IC ← 6.5 km | 서해안선28 | 서울 방면 발안IC 7.8 km → |
시점 | 평택시흥선1 | 시흥 방면 조암IC 10.2 km → |
평택제천선1 | 제천 방면 청북IC 2.8 km → | |
주소 | ||
경기도 평택시 청북읍 | ||
관리기관 | ||
서해안선 | 한국도로공사 수도권본부 화성지사 | |
평택제천선 | ||
평택시흥선 | 제이서해안고속도로(주) | |
개통 | ||
서해안선 | 2002년 12월 12일 | |
평택제천선 | ||
평택시흥선 | 2013년 3월 28일 |
[clearfix]
1. 개요
서해안고속도로 28번. 평택제천고속도로 1번. 평택시흥고속도로 1번. 경기도 평택시 청북읍에 위치한 서해안고속도로, 평택제천고속도로, 평택시흥고속도로의 분기점. 평택제천고속도로, 평택시흥고속도로의 시점이기도 하다. 명칭은 소재지인 평택시에서 유래했다.이 분기점과 조암 나들목 사이에 장안 요금소가 있었으나 폐지되었다.[1]
평택시흥고속도로 시점에서 보면, 분기점 자체가 평택과 화성의 시경계에 위치해 있다.
본래 Y자 입체교차로였으나, 평택시흥고속도로 개통과 함께 램프가 추가로 개설됐다. 현재 모습은 서해안선 서울방향-평택시흥선 시흥방향 연결로만 제거된 터빈형 입체교차로 형태이다.[2]
서해대교를 건너려는 서해안, 평택시흥고속도로를 타고온 차량들이 모여들어 병목현상이 일어나 교통정체가 많이 일어나는 분기점 중 하나이다. 세 고속도로 모두 통행량이 적지 않은 고속도로기도 하고.
2. 구조
2.1. 서해안고속도로
2.1.1. 서울 방향(상행선)
2.1.2. 목포 방향(하행선)
2.2. 평택제천고속도로
2.2.1. 제천 방향(상행선)
2.2.2. 평택 방향(하행선)
2.3. 평택시흥고속도로
2.3.1. 시흥 방향(상행선)
2.3.2. 평택 방향(하행선)
3. 역사
- 2002년 12월 12일 목요일 10:00 - 평택제천고속도로 서평택JC ~ 서안성IC 구간이 개통되었다.
- 2008년 3월 31일 월요일 - 평택시흥고속도로 군자JC ~ 서평택JC 구간 공사가 시작되었다.[3]
- 2013년 3월 28일 목요일 17:00 - 평택시흥고속도로 군자JC ~ 서평택JC 구간 개통으로 지금의 형태가 되었다.[4]
- 2018년 11월 27일 화요일 14:00 - 서해안고속도로 서평택IC ~ 서평택JC 구간이 10차로로 확장됐다.[5]
4. 사건 사고
- 2024년 12월 23일 21시 50분경 서평택JC 인근에서 유조차가 가드레일을 들이받는 사고가 났고, 그 충격으로 실려 있던 등유에 불이 붙어 대형 화제가 발생했다. 추정 적재량이 3만 리터에 달할 정도로 많아 화재가 걷잡을 수 없이 번졌고, 이에 소방 당국은 대응 2단계를 발령한 뒤 서평택JC~서평택IC 구간을 임시로 양방향 통제하고 진화 작업에 나섰다. 이후 23시를 넘어서 불길이 어느 정도 잡히며 차량 통행도 양방향 1차로씩 재개됐다.#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3f3f7f><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3f3f7f> | }}} | |
{{{#!wiki style="color:#000,#0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전라남도 | 죽림JC - 일로IC - 목포TG - 무안IC - 함평JC( | |
전북특별자치도 | - 대산SA - 고창JC( | ||
충청남도 | - 동서천JC( | ||
경기도 | - 서평택IC - 서평택JC( | ||
서울특별시 | - 금천IC - 서부간선도로 직결 | }}}}}}}}}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3f3f7f><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3f3f7f> | }}} | |
{{{#!wiki style="color:#000,#00f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서평택JC( 대소JC( | }}}}}}}}}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3f3f7f><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3f3f7f> | }}} | |
{{{#!wiki style="color:#000,#00f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서평택JC( | ||
1: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와 중첩되는 구간 | }}}}}}}}} |
[1] 원톨링 시스템으로 통행료를 징수하고 있다.[2] 대동JC랑 구조가 똑같다.[3] 제2서해안고속도 31일 개통, 2008-03-27, 파이낸셜뉴스[4] 평택-시흥간 제2서해안 고속도로 개통, 2013-03-27, 아시아경제. 1996년 12월 17일 개통된 서해안고속도로 포승임시IC ~ 안산JC 구간이 정확히 5945일, 16년 3개월 11일 되는 시각에 개통되었다.[5] 서해안고속도 상습정체구간 서평택IC~평택JCT 구간 확포장 개통, 2018-11-26, 파이낸셜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