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지사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초대 정현모 | 제2대 조재천 | 제3대 신현돈 | 제4대 이근직 | 제5대 송관수 |
제6대 오림근 | 제7대 조준영 | 제8대 이호근 | 제9대 박경원 | 제10대 김인 | |
제11대 양택식 | 제12대 김덕엽 | 제13대 구자춘 | 제14대 김수학 | 제15대 김무연 | |
제16대 김성배 | 제17대 정채진 | 제18대 이상희 | 제19대 이상배 | 제20대 김상조 | |
제21대 김우현 | 제22대 이판석 | 제23대 이의근 | 제24대 우명규 | 제25대 심우영 | |
제26-28대 이의근 | 제29-31대 김관용 | 제32·33대 이철우 | |||
일제강점기 및 미군정 경상북도지사 | }}}}}}}}} |
역임한 직위 | |||||||||||||||||||||||||||||||||||||||||||||||||||||||||||||||||||||||||||||||||||||||||||||||||||||||||||||||||||||||||||||||||||||||||||||||||||||||||||||||||||||||||||||||||||||||||||||||||||||||||||||||||||||||||||||||||||||||||||||||||||||||||||||||||||||||||||||||||||||||||||||||||||||||||||||||||||||||||||||||||||||||||||||||||||||||||||||||||||||||||||||||||||||||||||||||||||||||||||||||||||
|
<colbgcolor=#0070BB> 제21대 경상북도지사 김우현 金又鉉 | Kim Woo-hyun | |
출생 | <colcolor=#000000>1934년 2월 2일[1] |
경상북도 고령군 고령면 내곡동 (現 경상북도 고령군 대가야읍 내곡리) | |
사망 | 2010년 4월 11일 (향년 76세) |
학력 | 경북고등학교 (졸업 / 34회) 대구대학[2] (경제학 / 학사)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수료) |
재임기간 | 제21대 경상북도지사 |
1990년 6월 21일 ~ 1992년 1월 8일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전 경찰공무원, 정무직 공무원이다.2. 생애
1934년 2월 2일 경상북도 고령군 고령면 내곡동(現 고령군 대가야읍 내곡리)에서 태어났다. 경북고등학교(34회), 대구대학(現 영남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을 수료했다.영남대학교 졸업 후 1960년 학사 경사로 경찰공무원에 입직해 주로 정보 분야에서 근무했다.
총경 진급 후 1972년 6월 19일부터 1973년 6월 26일까지 제32대 영양경찰서장, 1974년 12월 13일부터 1975년 6월 28일까지 제35대 포항경찰서장, 1977년 8월 13일부터 1979년 2월 20일까지 제35대 서울영등포경찰서장 등을 역임했다.
경무관 진급 후 1983년 1월 1일부터 1985년 2월 27일까지 제43대 경상북도 경찰국(現 경북지방경찰청)장 등을 역임했고, 1986년 1월 17일 내무부 치안본부 제3차장에 임명되었다. 1986년 10월 27일 치안본부 제1차장, 1987년 1월 22일 치안본부 제4차장에 임명되었고, 1987년 5월 29일에는 치안본부 제5차장에 겸직 발령되었다[3].
노태우 정부 출범 이후 치안정감으로 진급해 1988년 5월 20일부터 1989년 5월 4일까지 제41대 서울특별시 경찰국장을 지냈다. 이때 김우현이 노태우 대통령의 경북고등학교 1년 후배였기에 더욱 잘 나갔다는 세간의 평가가 있었다. 1989년 5월 4일부터 1990년 6월 21일까지 제14대 내무부 치안본부장(現 경찰청장)을 역임하였다.
이어서 1990년 6월 21일부터 1992년 1월 8일까지 제21대 경상북도지사를 역임하였다. 1992년 5월 1일부터 1993년까지 IBK기업은행 이사장을 역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