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14 07:40:07

날 생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生, 0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5획
중학교
-
일본어 음독
セイ, ショウ
일본어 훈독
い-きる, い-かす, い-ける, う-まれる,
う-む, お-う, は-える, は-やす, き,
なま, いのち, うぶ, な-す, な-る
-
표준 중국어
shēng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파일:生-order.gif
획순
1. 개요2. 상세3. 용례4. 유의자5. 상대자6. 부수7. 모양이 비슷한 한자8. 여담

[clearfix]

1. 개요

生은 '날 생'이라는 한자로, '나다(태어나다)', '살다', '생명(生命)' 등을 뜻한다.

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한국어 <colbgcolor=#fff,#1f2023>나다
중국어 표준어 shēng
광동어 sang1[文] / saang1[白]
객가어 sên[文] / sâng[白]
민북어 sáing[文] / sáng, cháng[白]
민동어 sĕng[文] / săng, chăng[白]
민남어 seng[文] / siⁿ, chhiⁿ[白1],
seⁿ, chheⁿ[白2]
오어 sen (T1)[文] / san(T1)[白]
일본어 음독 セイ, ショウ
훈독 い-きる, い-かす, い-ける,
う-まれる, う-む, お-う,
は-える, は-やす, き, なま,
うぶ, な-る, ふ, む-す
베트남어 sinh, sanh

유니코드에는 U+751F에 배정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竹手一(HQM)로 입력한다.

파일:生.png

땅에서 풀이 돋아나는 모양을 나타낸 글자이다. 현재의 자형은 (흙 토) 위에 선 두 개가 추가된 형태이지만 갑골문상에서는 두 글자는 명확하게 차이가 난다. '태어나다', '낳다', '살다' 등 별별 뜻이 다 있다. 학생이라는 뜻도 있다.

간단한 한자지만 나라별로 필순이 다르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E7%94%9F-bw.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E7%94%9F-jbw.png
일반 필순 일본 필순

한국과 중국, 대만에서는 3번째 획이 중간의 가로획이고 4번째 획은 세로로 내려긋는 획[14]이지만, 일본에서는 3번째 획과 4번째 획이 바뀌어 있다. 즉, 보통 필순은 ↙→→↓→. 일본 필순은 ↙→↓→→. 초서의 필순과 비슷하다.

3. 용례

3.1. 단어


한편 이승, 저승, 짐승, 초승달 등의 '승'은 사실 生의 독음이 특이하게 변한 것이다. 일부 방언에서는 '짐승', '초승달'을 각각 '짐생', '초생달'이라고도 한다.

3.2. 고사성어/숙어

  • 각자도생(生)
  • 구사일생
  • 기사회생
  • 사공명주생중달
  • 필사즉생필생즉사
  • 생경지폐(生梗之弊)
  • 生口不網 (생구불망)
  • 생기사귀(生寄死歸)
  • 生動生動 (생동생동)
  • 생동숙서(生東熟西)
  • 生死可判 (생사가판)
  • 생사고락(生死苦樂)
  • 生死苦海 (생사고해)
  • 생사관두(生死關頭)
  • 生死大 (생사대)
  • 생사존망(生死存亡)
  • 生死存沒 (생사존몰)
  • 생사해(生死海)
  • 生三死七 (생삼사칠)
  • 생세지락(生世之樂)
  • 生丁不辰 (생정불신)
  • 생지살지(生之殺之)
  • 生呑活剝 (생탄활박)
  • 생계무책(生計無策)
  • 生老病死 (생로병사)
  • 생멸멸이(生滅滅已)
  • 生民之始萬福之原 (생민지시만복지원)
  • 생변사변(生變死變)
  • 生死骨肉 (생사골육)
  • 생살여탈(生殺與奪)
  • 生殺之權 (생살지권)
  • 생생발전(生生發展)
  • 生生世世 (생생세세)
  • 생생유전(生生流轉)
  • 生生者不生 (생생자불생)
  • 생생지리(生生之理)
  • 生生化育 (생생화육)
  • 생이지지(生而知之)
  • 生者必滅 (생자필멸)
  • 생재지방(生財之方)
  • 生知安行 (생지안행)
  • 생도지방(生道之方)
  • 生離死別 (생리사별)
  • 생면강산(生面江山)
  • 生面大責 (생면대책)
  • 생면부지(生面不知)
  • 生不如死 (생불여사)

3.3. 인명

3.3.1. 실존인물

3.3.2. 가상인물

3.4. 지명

3.5. 창작물

3.6. 기타

3.7. 일본어

파일:181709cbdd91a75f2.png

3.7.1. 훈독

훈이 아주 다양하기로 악명 높은 글자이다. 독법이 전세계에서 가장 복잡한 언어인 일본어에서도 生과 같이 훈이 많은 글자는 별로 없다. 있다고 해 봐야 (위 상), (아래 하) 정도.

기울임체는 상용독음 범위 밖.
  • いk- 계열: きる (きる, 살다), かす(かす, 살리다)、ける(ける, 살리다)
  • うm- 계열: まれる(まれる, 태어나다), む(む, 낳다)
  • おう: う(う, 자라다)
  • はy- 계열: える(える, 돋다), やす(やす, 자라게 하다), 芽生える(めえる, 싹트다)
  • なま: 卵 (なまたまご, 날달걀)
  • き: 地 (じ, 본성, 직물) - 대한민국에서도 이 단어를 가져와 '빵 생지', '기지' 등의 말을 쓰곤 한다. 참고로 生地를 せいち 혹은 しょうち로 읽으면 '출생지'라는 뜻이다.
  • : 芝 (しば, 잔디밭)
  • むす: す(す, 자라다)

한자음은 2개이지만, 일반적으로 쓰이는 훈이 이렇게 많다. 의미가 추상적이라 대응되는 고유어들이 많아진 것. 그 밖에 지명이나 인명에 쓰이는 독음까지 포함하면 매우 골치 아파진다.

生이 성씨의 맨 끝에 붙을 경우, 앞 발음의 모음을 바꾼 뒤에 그 모음을 장음화시키기도 한다. 이는 역사적 가나 표기법과도 관련이 있다.
  • 麻生 (あそう ← あさ + ふ)
  • 蒲生 (がもう ← がま + ふ)
  • 菅生 (すごう ← すが + ふ)
  • 桐生 (きりゅう ← きり + ふ)
  • 羽生 (はにゅう ← はに + ふ)
  • 柳生 (やぎゅう ← やぎ + ふ)
  • 壬生 (みぶ)

3.7.2. 음독

  • せい: 物 (せいぶつ, 생물), 生産 (せいさん, 생산), 学 (がくせい, 학생)
  • しょう: 涯(しょうがい, 생애), ずる (しょうずる, 일어나다·돋아나다), 畜 (ちくしょう, 짐승), 誕生 (たんじょう, 탄생)

3.8. 중국어

중국어에서는 문백이독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글자 중 하나이다. 다만 표준중국어의 경우 문백독 정리를 해서 차이가 전혀 나지 않지만 기타 중국계 언어들의 경우에는 원래대로 문백이독 현상이 나타난다.

이 문백이독의 경우에도 지역차가 커서 광동어는 장단음 차이를 제외하면 차이가 없지만 민북어민동어는 각각 센/사잉-상/창, 상으로 발음상의 차이가 나타나며, 민남어는 셍/슨, 츤으로 아예 발음이 달라진다.

중국어에서 生은 살다, 태어나다, 낳다 등의 동사로 쓰이고 목숨이라는 뜻의 명사로도 쓰이며, 가공되지 않은, 자연 그대로의 것을 칭할 때에도 生을 쓴다. 여기에서 파생하여, 중국에는 견습생, 교육생 혹은 초보를 칭할 때에도 生을 사용한다. 한국과 일본에서도 견습생과 교육생의 생이 生이므로 비단 중국만의 특징은 아니다.

다소 특이한 용법으로, 중국에서 '화내다'라는 동사는 生气인데, 이게 풀어보면 기(气)가 생기다(生)라는 뜻이다.

4. 유의자

  • (낳을 만)
  • (낳을 산)
  • (낳을 탄/거짓 탄)

5. 상대자

  • 歿(죽을 몰)
  • (죽을 사)
  • (죽을 에)
  • (죽을 운)
  • (훙서 훙)

6. 부수

#!wiki style="margin:5px -10px -5px;
'''[[강희자전]]의 [[부수]] 목록'''
{{{#!wiki style="margin:3px -10px -3px; min-height:1.5em;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lding  [  214 부수  ]
1획<colbgcolor=#fff,#1f2023>1 2 3 4 丿 5 (乚) 6
2획7 8 9 (𠆢, 亻) 10 11 12 13 14 15 16 17 18 (刂) 19 20 21 22 23 24 25 26 (㔾) 27 28 29
3획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孑) 40 41 42 43 (尣) 44 45 46 47 (川) 48 49 50 51 52 53 广 54 55 56 57 58 (彑, ⺕) 59 60
4획61 (忄, ⺗) 62 63 64 (扌) 65 66 (攵) 67 68 69 70 71 (旡) 72 73 74 75 76 77 78 (歺) 79 80 81 82 83 84 85 (氵, 氺) 86 (灬) 87 (爫, ⺥) 88 89 90 (丬) 91 92 93 (牜) 94 (犭)
5획95 96 (王) 97 98 99 100 101 102 103 (⺪) 104 105 106 107 108 109 (罒) 110 111 112 113 (⺬, 礻) 114 115 116 117
6획118 (⺮) 119 120 (糹) 121 122 (罒, 罓, 㓁) 123 (⺶, ⺷) 124 125 (耂) 126 127 128 129 130 (月, ⺝) 131 132 133 134 (𦥑) 135 136 137 138 139 140 (⺿, 艹, 䒑) 141 142 143 144 145 (衤) 146 (覀)
7획147 148 149 (訁)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𧾷) 158 159 160 161 162 (⻍, ⻌) 163 (⻏) 164 165 166
8획167 (釒) 168 169 170 (⻖) 171 172 173 (⻗) 174 175
9획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𩙿, 飠) 185 186
10획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1획195 196 197 198 鹿 199 200
12획201 202 203 204 15획<colbgcolor=#fff,#1f2023>211
13획205 206 207 208 16획212 213
14획209 210 17획214
참고문서 : 부수 · 한자/목록/부수별 · 강희자전
}}}}}}
[  위치별 주요 부수  ]
||<:><table align=center>
파일:chineseleft.png<colbgcolor=#fff,#1f2023> · · · · · · · · · · · · · · 月/⺼ · · · · · · ⻞/飠 · · · · · · · ⺬/礻 · · · · · · · · · · · · · · ·
파일:chineseright.png · · · · · · · · · · · · · · · · ·
머리파일:chinesetop.png⺿/艹 · · · · · 𠆢 · 爫/⺥ · · · · ·
파일:chinesebottom.png · · · · · · · · · · · · ·
받침파일:chinesepartialsur2.png⻍/⻌ · · · ·
파일:chinesepartialsur1.png广 · · · · · · 파일:chinesepartialsur3.png<colbgcolor=#fff,#1f2023> ·
파일:chinesesurrounding.png파일:chinesepartialsur5.png ·
파일:chinesepartialsur6.png파일:chinesepartialsur7.png
그외파일:chinesebetween.png{{{#!wiki style="margin:-16px -11px"파일:chinesetopbottom.png}}}파일:chineseleftright.png
[  수록자 보기  ]
||1획
<colbgcolor=#fff,#1f2023>1 2 3 4 丿 5 (乚) 6
2획7 8 9 (𠆢, 亻) 10 11 12 13 14 15 16 17 18 (刂) 19 20 21 22 23 24 25 26 (㔾) 27 28 29
3획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孑) 40 41 42 43 (尣) 44 45 46 47 (川) 48 49 50 51 52 53 广 54 55 56 57 58 (彑, ⺕) 59 60
4획61 (忄, ⺗) 62 63 64 (扌) 65 66 (攵) 67 68 69 70 71 (旡) 72 73 74 75 76 77 78 (歺) 79 80 81 82 83 84 85 (氵, 氺) 86 (灬) 87 (爫, ⺥) 88 89 90 (丬) 91 92 93 (牜) 94 (犭)
5획95 96 (王) 97 98 99 100 101 102 103 (⺪) 104 105 106 107 108 109 (罒) 110 111 112 113 (⺬, 礻) 114 115 116 117
6획118 (⺮) 119 120 (糹) 121 122 (罒, 罓, 㓁) 123 (⺶, ⺷) 124 125 (耂) 126 127 128 129 130 (月, ⺝) 131 132 133 134 (𦥑) 135 136 137 138 139 140 (⺿, 艹, 䒑) 141 142 143 144 145 (衤) 146 (覀)
7획147 148 149 (訁)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𧾷) 158 159 160 161 162 (⻍, ⻌) 163 (⻏) 164 165 166
8획167 (釒) 168 169 170 (⻖) 171 172 173 (⻗) 174 175
9획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𩙿, 飠) 185 186
10획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1획195 196 197 198 鹿 199 200
12획201 202 203 204 15획<colbgcolor=#fff,#1f2023>211
13획205 206 207 208 16획212 213
14획209 210 17획214
참고문서 : 부수 · 한자/색인/부수별 · 강희자전
}}}||

生을 부수로 삼는 한자는 많지 않다. 대중적인 것으로는 (낳을 산)이 전부이고 나머지는 일상적으로 잘 쓰이지 않는 벽자이다.

7. 모양이 비슷한 한자

8. 여담

  • 生을 두 개 합치면 (수두룩할 신)이 된다.

[文] 문독[白] 백독[文] [白] [文] [白] [文] [白] [文] [白1] 백독, 타이베이 등[白2] 백독, 가오슝 등[文] [白] [14] 간단히 생각해서 (소 우)를 먼저 쓰고 그 밑에 牛의 마지막 획 끝을 지나가게끔 (한 일)을 쓴다고 생각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