志를 간체자로 하는 한자에 대한 내용은 誌 문서 참고하십시오.
志 뜻 지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心, 3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7획 | ||||
중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シ | ||||||
일본어 훈독 | こころざ-す, こころざし, しる-す | ||||||
- | |||||||
표준 중국어 | zhì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志는 '뜻 지'라는 한자로, '뜻', '뜻을 두다', '마음' 등을 뜻한다.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뜻 |
음 | 지 | |
중국어 | 표준어 | zhì |
광동어 | zi3 | |
객가어 | chṳ | |
민동어 | cé | |
민남어 | chì | |
오어 | tsr (T2) | |
일본어 | 음독 | シ |
훈독 | こころざし, こころざす, しる-す | |
베트남어 | chí |
유니코드에는 U+5FD7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GP(土心)로 입력한다.
원래는 소리를 나타내는 之(갈 지)와 心(마음 심)으로 이루어져 있었다.(형성자) 이 글자는 의미상 之에서 파생된 글자로[1], '가다'를 뜻하는 之에 心를 붙여 '가려고 하는 마음'이라는 뜻을 나타냈다. 소전까지는 之의 형태가 남아 있었지만, 예서에 이르면서 위쪽의 之가 士와 비슷한 형태가 되어 지금에 이르렀다.
중국에서는 誌(기록할 지)의 간체자로 쓰이기도 한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3.3.1. 실존인물
- 강지현(姜志賢)
- 권지안(權志晏)
- 김수지(金守志)
- 김지민(金志珉)
- 김지민(金志珉)
- 김지연(金志姸)
- 김지영(金志映)
- 김지원(金志垣)
- 나지완(羅志完)
- 남지현(南志鉉)
- 류지혁(柳志赫)
- 류지현(柳志炫)
- 박지민(朴志敏)
- 박지성(朴志晟)
- 박지원(朴志苑)
- 박지원(朴志遠)
- 박지원(朴志源)
- 박지효(朴志效)
- 백지선(白志善)
- 서지현(徐志賢)
- 시손 쥰(志尊 淳)
- 아오키 시키(青木 志貴)
- 왕길지(王吉志)
- 유지광(柳志光)
- 은지원(殷志源)
- 이지훈(李志勳)
- 임민지(林珉志)
- 자오우 타이시(蔵王 大志)
- 장지량(張志良)
- 전지우(全志佑)
- 정원지(程遠志)
- 한지민(韓志旼)
- 허지웅(許志雄)
- 호찌민(胡志明)
- 홍예지(洪叡志)
- 황예지(黃禮志)
- 자오커즈(赵克志)
3.3.2. 가상인물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 - 시무라 코타로(志村 弧太朗)
- 메다카 박스 - 시부시 시부키(志布志 飛沫)
- 속삭이듯 사랑을 노래하다 - 이즈미 시호(泉 志帆)
- 수호전 - 양지(楊志)
- 약한영웅 - 배지훈(裵志勳)
- 카케구루이 - 이키시마 미다리(生志摩 妄)
- 휴먼버그대학교 - 모기 코시로(茂木 功志郞), 죠가사키 켄시(城ヶ崎 賢志), 쿠도 키요시(工藤 清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