山 메 산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山, 0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3획 | ||||
중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サン, セン | ||||||
일본어 훈독 | やま | ||||||
- | |||||||
표준 중국어 | shān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획순 |
[clearfix]
1. 개요
山은 '메 산'이라는 한자로, '산'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메, 뫼 |
음 | 산 | |
중국어 | 표준어 | shān |
광동어 | saan1 | |
감어 | san1 | |
객가어 | sân | |
진어 | san1 | |
민북어 | súing | |
민동어 | săng | |
민남어 | san[文] / soaⁿ[白] | |
오어 | se (T1) | |
장어 | san1 | |
일본어 | 음독 | サン, セン |
훈독 | やま | |
베트남어 | sơn |
산의 모양을 형상화한 상형자이다. 상형자의 원형은 삼각형 모양의 큰 산 하나와 그 좌우에 작은 산 하나씩 그려져 있는 모습이며, 강원도에서 파는 희석식 소주인 산의 술병에도 비슷하게 그려져 있다. 대략 아래와 같다.
△△△
이 모양에서 산기슭 부분이 가로획으로, 봉우리 부분이 세로획으로 변해서 지금에 이르고 있다.
뜻인 '메'[4]는 산을 뜻하는 순우리말이다. 현대에는 한자어인 '산'에 밀려 잘 쓰이지 않는 말이나 상표명, 회사명 등에서는 자주 쓰이고 있다.
이 한자가 부수로 쓰이는 한자는 산이나 고개 등과 관련된 뜻이 많다.
산을 뜻하는 한국 수어가 위와 같이 한자 山의 모양을 본뜬 손가락 모양이다. 하필 수어통역사의 표정이 기가 막히게 찍혀서(...) 가끔 이 사진이 합성된 사진이라고 아는 사람이 있는데, 실제로 산을 나타내는 수어는 저 동작이 맞다.[5]
3. 용례
3.1. 부수
| ||||
{{{#!wiki style="margin:3px -10px -3px; min-height:1.5em;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lding [ 214 부수 ] | 1획 | <colbgcolor=#fff,#1f2023>1 一 2 丨 3 丶 4 丿 5 乙(乚) 6 亅 | ||
2획 | 7 二 8 亠 9 人(𠆢, 亻) 10 儿 11 入 12 八 13 冂 14 冖 15 冫 16 几 17 凵 18 刀(刂) 19 力 20 勹 21 匕 22 匚 23 匸 24 十 25 卜 26 卩(㔾) 27 厂 28 厶 29 又 | |||
3획 | 30 口 31 囗 32 土 33 士 34 夂 35 夊 36 夕 37 大 38 女 39 子(孑) 40 宀 41 寸 42 小 43 尢(尣) 44 尸 45 屮 46 山 47 巛(川) 48 工 49 己 50 巾 51 干 52 幺 53 广 54 廴 55 廾 56 弋 57 弓 58 彐(彑, ⺕) 59 彡 60 彳 | |||
4획 | 61 心(忄, ⺗) 62 戈 63 戶 64 手(扌) 65 支 66 攴(攵) 67 文 68 斗 69 斤 70 方 71 无(旡) 72 日 73 曰 74 月 75 木 76 欠 77 止 78 歹(歺) 79 殳 80 毋 81 比 82 毛 83 氏 84 气 85 水(氵, 氺) 86 火(灬) 87 爪(爫, ⺥) 88 父 89 爻 90 爿(丬) 91 片 92 牙 93 牛(牜) 94 犬(犭) | |||
5획 | 95 玄 96 玉(王) 97 瓜 98 瓦 99 甘 100 生 101 用 102 田 103 疋(⺪) 104 疒 105 癶 106 白 107 皮 108 皿 109 目(罒) 110 矛 111 矢 112 石 113 示(⺬, 礻) 114 禸 115 禾 116 穴 117 立 | |||
6획 | 118 竹(⺮) 119 米 120 糸(糹) 121 缶 122 网(罒, 罓, 㓁) 123 羊(⺶, ⺷) 124 羽 125 老(耂) 126 而 127 耒 128 耳 129 聿 130 肉(月, ⺝) 131 臣 132 自 133 至 134 臼(𦥑) 135 舌 136 舛 137 舟 138 艮 139 色 140 艸(⺿, 艹, 䒑) 141 虍 142 虫 143 血 144 行 145 衣(衤) 146 襾(覀) | |||
7획 | 147 見 148 角 149 言(訁) 150 谷 151 豆 152 豕 153 豸 154 貝 155 赤 156 走 157 足(𧾷) 158 身 159 車 160 辛 161 辰 162 辵(⻍, ⻌) 163 邑(⻏) 164 酉 165 釆 166 里 | |||
8획 | 167 金(釒) 168 長 169 門 170 阜(⻖) 171 隶 172 隹 173 雨(⻗) 174 靑 175 非 | |||
9획 | 176 面 177 革 178 韋 179 韭 180 音 181 頁 182 風 183 飛 184 食(𩙿, 飠) 185 首 186 香 | |||
10획 | 187 馬 188 骨 189 高 190 髟 191 鬥 192 鬯 193 鬲 194 鬼 | |||
11획 | 195 魚 196 鳥 197 鹵 198 鹿 199 麥 200 麻 | |||
12획 | 201 黃 202 黍 203 黑 204 黹 | 15획 | <colbgcolor=#fff,#1f2023>211 齒 | |
13획 | 205 黽 206 鼎 207 鼓 208 鼠 | 16획 | 212 龍 213 龜 | |
14획 | 209 鼻 210 齊 | 17획 | 214 龠 | |
참고문서 : 부수 · 한자/목록/부수별 · 강희자전 |
- [ 위치별 주요 부수 ]
- ||<:><table align=center>변
<colbgcolor=#fff,#1f2023>氵 · 亻 · 木 · 糹 · 訁 · 口 · 扌 · 忄 · 女 · 山 · 虫 · 火 · 釒 · 日 · 月/⺼ · 禾 · 土 · ⻖ · 犭 · 馬 · ⻞/飠 · 目 · 王 · 石 · 米 · 衤 · ⻊ · ⺬/礻 · 彳 · 車 · 魚 · 冫 · 貝 · 酉 · 耳 · 弓 · 牜 · 舟 · 立 · 方 · 歹 · 止 · 音 방 攵 · 頁 · 隹 · 鳥 · ⻏ · 刀 · 欠 · 又 · 見 · 力 · 殳 · 寸 · 戈 · 斤 · 卩 · 瓦 · 乚 · 彡 머리 ⺿/艹 · ⺮ · 宀 · 亠 · 冖 · 𠆢 · 爫/⺥ · ⻗ · 穴 · 覀 · 罒 · 止 발 木 · 心 · 灬 · 夊 · 女 · 大 · 示 · 土 · 子 · 見 · 貝 · ⺝ · 皿 · 止 받침 ⻍/⻌ · 廴 · 走 · 鬼 · 麥 엄 广 · 厂 · 尸 · 戶 · 疒 · 耂 · 虍 <colbgcolor=#fff,#1f2023>勹 · 气 몸 囗 門 · 鬥 凵 匚 그외 {{{#!wiki style="margin:-16px -11px" 心 衣 }}} 行
- [ 수록자 보기 ]
- ||1획
<colbgcolor=#fff,#1f2023>1 一 2 丨 3 丶 4 丿 5 乙(乚) 6 亅 2획 7 二 8 亠 9 人(𠆢, 亻) 10 儿 11 入 12 八 13 冂 14 冖 15 冫 16 几 17 凵 18 刀(刂) 19 力 20 勹 21 匕 22 匚 23 匸 24 十 25 卜 26 卩(㔾) 27 厂 28 厶 29 又 3획 30 口 31 囗 32 土 33 士 34 夂 35 夊 36 夕 37 大 38 女 39 子(孑) 40 宀 41 寸 42 小 43 尢(尣) 44 尸 45 屮 46 山 47 巛(川) 48 工 49 己 50 巾 51 干 52 幺 53 广 54 廴 55 廾 56 弋 57 弓 58 彐(彑, ⺕) 59 彡 60 彳 4획 61 心(忄, ⺗) 62 戈 63 戶 64 手(扌) 65 支 66 攴(攵) 67 文 68 斗 69 斤 70 方 71 无(旡) 72 日 73 曰 74 月 75 木 76 欠 77 止 78 歹(歺) 79 殳 80 毋 81 比 82 毛 83 氏 84 气 85 水(氵, 氺) 86 火(灬) 87 爪(爫, ⺥) 88 父 89 爻 90 爿(丬) 91 片 92 牙 93 牛(牜) 94 犬(犭) 5획 95 玄 96 玉(王) 97 瓜 98 瓦 99 甘 100 生 101 用 102 田 103 疋(⺪) 104 疒 105 癶 106 白 107 皮 108 皿 109 目(罒) 110 矛 111 矢 112 石 113 示(⺬, 礻) 114 禸 115 禾 116 穴 117 立 6획 118 竹(⺮) 119 米 120 糸(糹) 121 缶 122 网(罒, 罓, 㓁) 123 羊(⺶, ⺷) 124 羽 125 老(耂) 126 而 127 耒 128 耳 129 聿 130 肉(月, ⺝) 131 臣 132 自 133 至 134 臼(𦥑) 135 舌 136 舛 137 舟 138 艮 139 色 140 艸(⺿, 艹, 䒑) 141 虍 142 虫 143 血 144 行 145 衣(衤) 146 襾(覀) 7획 147 見 148 角 149 言(訁) 150 谷 151 豆 152 豕 153 豸 154 貝 155 赤 156 走 157 足(𧾷) 158 身 159 車 160 辛 161 辰 162 辵(⻍, ⻌) 163 邑(⻏) 164 酉 165 釆 166 里 8획 167 金(釒) 168 長 169 門 170 阜(⻖) 171 隶 172 隹 173 雨(⻗) 174 靑 175 非 9획 176 面 177 革 178 韋 179 韭 180 音 181 頁 182 風 183 飛 184 食(𩙿, 飠) 185 首 186 香 10획 187 馬 188 骨 189 高 190 髟 191 鬥 192 鬯 193 鬲 194 鬼 11획 195 魚 196 鳥 197 鹵 198 鹿 199 麥 200 麻 12획 201 黃 202 黍 203 黑 204 黹 15획 <colbgcolor=#fff,#1f2023>211 齒 13획 205 黽 206 鼎 207 鼓 208 鼠 16획 212 龍 213 龜 14획 209 鼻 210 齊 17획 214 龠 참고문서 : 부수 · 한자/색인/부수별 · 강희자전
주로 변이나 머리에 위치하며, 부수로써 붙을 때는 주로 산이나 언덕에 관한 뜻을 나타낸다.
대표적인 한자로 嶺(고개 령), 峻(높을 준), 峯(봉우리 봉), 巖(바위 암), 岾(고개 점) 등이 있다.
3.2. 단어
- 산(山)
- 강산(江山)
- 거산(居山/巨山/鋸山)
- 경산(京山/瓊山)
- 고산(孤山/故山/高山)
- 고산병(高山病)
- 공산(公山/空山)
- 광산(鑛山)
- 군산(群山)
- 금산(禁山/金山)
- 낙산(落山)
- 도산(刀山/到山/島山/陶山)
- 동산(東山/童山/銅山)
- 등산(登山)
- 빙산(氷山)
- 산가(山家)
- 산간(山間)
- 산림(山林)
- 산맥(山脈)
- 산사(山寺)
- 산사태(山沙汰)
- 산성(山城)
- 산수(山水/山獸)
- 산악(山岳)
- 산약(山藥)
- 산양(山羊/山陽/山養)
- 산소(山所)
- 산수화(山水畵)
- 산적(山賊)
- 산지(山地)
- 산천(山川)
- 산천(山粁)
- 산촌(山村)
- 산하(山下/山河)
- 산행(山行)
- 선산(先山/善山)
- 설산(雪山)
- 성산(聖山)
- 신산(新山/神山)
- 안산(案山)
- 암산(岩山/巖山)
- 와사비(山葵)
- 조산(祖山/造山)
- 첩첩산중(疊疊山中)
- 치산치수(治山治水)
- 청산(靑山)
- 하산(下山)
- 화산(火山)
3.3. 고사성어/숙어
- 고산준령(高山峻嶺)
- 금수강산(錦繡江山)
- 만산홍엽(滿山紅葉)
- 무산지몽(巫山之夢)
- 무산지우(巫山之雨)
- 무산지운(巫山之雲)
- 무주공산(無主空山)
- 배산임수(背山臨水)
- 산고수장(山高水長) - 산은 높이 솟고 강물은 유유(悠悠)히 흐른다는 뜻으로, 군자(君子)의 덕이 높고 끝없음을 우뚝 솟은 산에, 겸손함을 강물의 흐름에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 산자수려(山紫水麗)
- 산전수전(山戰水戰) - 산에서도 싸우고 물에서도 싸웠다는 말로, 사람이 살아오면서 세상의 온갖 고생과 어려움을 다 겪었다는 뜻이다.
- 산천초목(山川草木)
- 삼수갑산(三水甲山)
- 심산유곡(深山幽谷)
- 역발산기개세(力拔山氣蓋世)
- 요산요수(樂山樂水)
- 우공이산(愚公移山)
- 인자요산 지자요수(仁者樂山 智者樂水)
- 인산인해(人山人海)
- 종호귀산(縱虎歸山)
- 적막강산(寂寞江山)
- 주마간산(走馬看山)
- 천산만수(千山萬水)
- 타산지석(他山之石)
- 태산명동서일필(泰山鳴動鼠一匹)
- 태산불사토양 하해불택세류(泰山不辭土壤 河海不擇細流)
3.4. 인명
- 김산(金山)
- 안산(安山)
- 안녹산(安禄山)
- 에츠잔 자쿠스이(越山 弱衰)
- 역도산(力道山)
- 옌시산(閻錫山)
- 우에스기 요잔(上杉 鷹山)
- 유진산(柳珍山)
- 이산(怡山)
- 이산해(李山海)
- 전의산(全儀山)
- 야마다(山田): 일본의 성씨
- 야마토(山戸, 山門, 山登, 山藤, 山東): 일본의 성씨
- 야마시타(山下): 일본의 성씨
- 야마모토(山本): 일본의 성씨
- 야마자키(山崎): 일본의 성씨
- 마루야마(丸山): 일본의 성씨
- 무라야마(村山): 일본의 성씨
- 니이야마(新山): 일본의 성씨
- 카게야마(蔭山, 影山, 景山): 일본의 성씨
- 나가야마(永山, 長山): 일본의 성씨
- 나카야마(中山): 일본의 성씨
- 나카야마(那蚊山): 일본의 성씨
- 마츠야마(松山): 일본의 성씨
- 모리야마(森山, 盛山): 일본의 성씨
- 미야마(深山, 三山, 美山, 見山): 일본의 성씨
- 사야마(佐山, 作山, 猿山, 狹山): 일본의 성씨
- 스기야마(杉山, 椙山): 일본의 성씨
- 아라시야마(嵐山): 일본의 성씨
- 아오야마(青山): 일본의 성씨
- 아키야마(秋山): 일본의 성씨
- 야마가타(山形, 山県, 山縣): 일본의 성씨
- 야마구치(山口): 일본의 성씨
- 야마나시(山梨): 일본의 성씨
- 야마나카(山中, 山仲): 일본의 성씨
- 야마노(山野): 일본의 성씨
- 야마무라(山村): 일본의 성씨
- 야마부키(山吹): 일본의 성씨
- 야마사키(山崎): 일본의 성씨
- 야마오카(山岡): 일본의 성씨
- 야마하(山羽, 山葉): 일본의 성씨
- 오야마(大山): 일본의 성씨
- 요코야마(横山): 일본의 성씨
- 카미야마(神山, 上山, 加美山): 일본의 성씨
- 카야마(加山, 香山): 일본의 성씨
- 코야마(小山, 神山, 光山): 일본의 성씨
- 키리야마(桐山): 일본의 성씨
- 타니야마(谷山): 일본의 성씨
- 타테야마(立山, 館山, 楯山): 일본의 성씨
- 토야마(当山, 當山, 東山, 戸山, 外山, 富山): 일본의 성씨
- 토쿠야마(徳山): 일본의 성씨
- 하야마(葉山): 일본의 성씨
- 후쿠야마(福山): 일본의 성씨
- 히가시야마(東山): 일본의 성씨
- 히라야마(平山): 일본의 성씨
- 히야마(火山, 桧山, 檜山, 樋山): 일본의 성씨
3.5. 지명
- 대한민국에서 '~산'으로 끝나는 이름의 모든 산
하지만 여러 봉우리로 이루어진 산의 한 봉우리를 일컬을 때는 '~봉'을 쓰고, 제주특별자치도에 있는 기생 화산[6]들은 주로 고유어를 써서 '~오름'이라는 이름이 붙는다. - 경기도
- 군포시 산본동(山本洞), 산본신도시(山本新都市)
- 고양시
- 남양주시 다산동(茶山洞), 다산신도시(茶山新都市)
- 수원시 매산동(梅山洞)
- 안산시(安山市)
- 오산시(烏山市)
- 파주시 문산읍(文山邑)
- 화성시 기산동(機山洞), 송산면(松山面), 송산동(松山洞), 오산동(梧山洞), 화산동(花山洞)
- 경상남도
- 경상북도
- 대구광역시
- 광주광역시 광산구 (光山區)
- 부산광역시(釜山廣域市)
- 서울특별시
- 강서구 내발산동(內鉢山洞), 우장산동(雨裝山洞), 외발산동(外鉢山洞)
- 금천구 가산동(加山洞), 독산동(禿山洞)
- 마포구 노고산동(老姑山洞), 성산동(城山洞)
- 영등포구 당산동(堂山洞)
- 용산구(龍山區) 용산동(龍山洞), 산천동(山泉洞)
- 은평구 구산동(龜山洞), 증산동(繒山洞)
- 중구 다산동(茶山洞)
- 울산광역시(蔚山廣域市)
- 전라북도
- 충청도
- 평안남도
- 평안북도
- 함경남도
- 함경북도
- 황해도
- 중국
- 일본
3.6. 창작물
3.7. 기타
- 귀수산(龜首山)
- 낙산사(洛山寺)
- 산남로(山南路)
- 산사춘(山査春)
- 산정온천(山井溫泉)
- 산천어(山川魚)
- 산해관(山海關)
- 소백산맥(燒百山麥)
- 쇼샤산 로프웨이(書写山ロープウェイ)
- 야마메(山女)
- 야마비코(山彦)
- 야마노테선(山手線)
- KTX-산천(KTX-山川)
4. 역명
수도권 전철 1호선 | 가산디지털단지역(加山디지털團地驛), 도봉산역(道峰山驛), 독산역(禿山驛), 보산역(保山驛), 소요산역(逍遙山驛), 아산역(牙山驛), 오산역(烏山驛), 오산대역(烏山大驛), 용산역(龍山驛), 직산역(稷山驛), 청산역(靑山驛) |
서울 지하철 2호선 | 당산역(堂山驛) |
수도권 지하철 3호선 | 정발산역(鼎鉢山驛) |
수도권 지하철 4호선 | 산본역(山本驛), 수리산역(修理山驛), 신용산역(新龍山驛), 안산역(安山驛) |
수도권 전철 5호선 | 까치산역(까치山驛), 개화산역(開花山驛), 발산역(鉢山驛), 아차산역(峨嵯山驛), 우장산역(雨裝山驛), 하남검단산역(河南黔丹山驛), 하남풍산역(河南豊山驛) |
서울 지하철 6호선 | 구산역(龜山驛), 봉화산역(烽火山驛), 증산역(繒山驛) |
수도권 지하철 7호선 | 가산디지털단지역(加山디지털團地驛), 도봉산역(道峰山驛), 산곡역(山谷驛), 삼산체육관역(三山體育館驛), 수락산역(水落山驛), 용마산역(龍馬山驛), 철산역(鐵山驛) |
수도권 지하철 8호선 | 남한산성입구역(南漢山城入口驛), 다산역(茶山驛), 산성역(山城驛) |
서울 지하철 9호선 | 당산역(堂山驛)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 곡산역(谷山驛), 도라산역(都羅山驛), 문산역(文山驛), 용산역(龍山驛), 운길산역(雲吉山驛), 일산역(一山驛), 풍산역(楓山驛) |
수도권 전철 경춘선 | 굴봉산역(屈峰山驛), 천마산역(天摩山驛) |
김포 골드라인 | 마산역(麻山驛) |
수도권 전철 서해선 | 곡산역(谷山驛), 일산역(一山驛), 풍산역(楓山驛)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 대모산입구역(大母山入口驛), 안산역(安山驛) |
서울 경전철 신림선 | 관악산역(冠岳山驛) |
신분당선 | 청계산입구역(淸溪山入口驛) |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 북한산보국문역(北漢山輔國門驛), 북한산우이역(北漢山牛耳驛) |
의정부 경전철 | 송산역(松山驛) |
인천 도시철도 1호선 | 갈산역(葛山驛), 계산역(桂山驛) |
부산 도시철도 1호선 | 남산역(南山驛), 부산역(釜山驛), 부산대역(釜山大驛), 부산진역(釜山鎮驛), 연산역(蓮山驛) |
부산 도시철도 2호선 | 국제금융센터·부산은행역(國際金融센터·釜山銀行驛), 금련산역(金蓮山驛), 남양산역(南梁山驛), 부산대양산캠퍼스역(釜山大梁山Campus驛), 양산역(梁山驛), 장산역(萇山驛), 증산역(甑山驛) |
부산 도시철도 3호선 | 배산역(盃山驛), 연산역(蓮山驛) |
부산 도시철도 4호선 | 영산대역(靈山大驛) |
부산김해경전철 | 서부산유통지구역(西釜山流通地區驛) |
동해선 광역전철 | 부산원동역(釜山院洞驛)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 각산역(角山驛) |
대구 도시철도 2호선 | 고산역(孤山驛), 용산역(龍山驛) |
대구 도시철도 3호선 | 남산역(南山驛), 지산역(池山驛) |
광주 도시철도 1호선 | 도산역(道山驛) |
고속열차, 일반열차, 기차 정차역 | 마산역(馬山驛), 민둥산역(민둥山驛), 부산역(釜山驛), 북울산역(北蔚山驛), 연산역(連山驛), 오산역(烏山驛), 용산역(龍山驛), 울산역(蔚山驛), 익산역(益山驛), 천안아산역(天安牙山驛) |
북한 철도역 | 고산역(高山驛), 남산역(南山驛), 송산역(松山驛), 증산역(曾山驛), 풍산역(豊山驛) |
5. 다리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 屮(싹날 철)
7. 여담
[1] '메'가 중세 한국어 '뫼'에서 유래한 단어인 것은 맞지만, 산을 뜻하는 '뫼'는 고유명사에서의 쓰임을 제외하면 사실상 사어화되었으며 현대 한국 표준어 기준으로 '메'와 '뫼'는 엄연히 전혀 다른 뜻이다. '메'는 "산을 예스럽게 이르는 표현"인 반면 현대어의 '뫼'는 "사람의 무덤"을 의미한다.[文] 문독[白] 백독[4] '메아리'와 '두메산골'의 '메'가 이것이다.[5] 한편 미국 수어(ASL)에서는 산을 이렇게 표현하고, 일본수어(JSL)에선 이렇게 표현한다.[6] 한라산 주변에 있는 규모가 작은 화산들[7] 후지산이 이 곳과 시즈오카 후지시에 걸쳐있다.[8] 出(날 출)의 속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