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23 16:45:32

베이징 지하철 1호선


베이징 지하철 운행 노선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시내노선
파일:베이징 지하철 1호선 아이콘.svg 파일:베이징 지하철 2호선 아이콘.svg 파일:베이징 지하철 3호선 아이콘.svg 파일:베이징 지하철 4호선 아이콘.svg
파일:베이징 지하철 5호선 아이콘.svg 파일:베이징 지하철 6호선 아이콘.svg 파일:베이징 지하철 7호선 아이콘.svg 파일:베이징 지하철 8호선 아이콘.svg
파일:베이징 지하철 9호선 아이콘.svg 파일:베이징 지하철 10호선 아이콘.svg 파일:베이징 지하철 11호선 아이콘.svg 파일:베이징 지하철 12호선 아이콘.svg
파일:베이징 지하철 13호선 아이콘.svg 파일:베이징 지하철 14호선 아이콘.svg 파일:베이징 지하철 15호선 아이콘.svg 파일:베이징 지하철 16호선 아이콘.svg
파일:베이징 지하철 17호선 아이콘.svg 18호선 파일:베이징 지하철 19호선 아이콘.svg 28호선
교외노선
파일:베이징 지하철 바퉁선 아이콘.svg 파일:베이징 지하철 창핑선 아이콘.svg 파일:베이징 지하철 다싱선 아이콘.svg 핑구선
파일:베이징 지하철 팡산선 아이콘.svg 파일:베이징 지하철 옌팡선 아이콘.svg 파일:베이징 지하철 이좡선 아이콘.svg 파일:베이징 지하철 S1선 아이콘.svg
퉁저우 도시부중심 노선
M101선
노면전차
파일:베이징 현대유궤전차 시자오선 아이콘.svg 파일:베이징 이좡 신청 현대유궤전차 T1선 아이콘.svg
공항철도
파일:베이징 지하철 다싱국제공항선 아이콘.svg 파일:베이징 지하철 수도공항선 아이콘.svg
}}}}}}}}} ||
파일:베이징 지하철 심볼 화이트.svg
{{{#!wiki style="margin: -10px -10px" 파일:베이징 지하철 1호선 아이콘.svg 1号线
1호선
Line 1
}}}
파일:01_035_leaving_Sihui_(20210421103655).jpg
베이징시 지하철 운영 SFM04형 전동차
노선도
[ 펼치기 · 접기 ]
파일:베이징 지하철 1호선 노선도.png
노선 정보
분류 지하철
기점 우산역[1]
종점 쓰후이둥역
역 수 26
노선기호 1
노선번호 1호선
개업일 1971년 1월 15일
소유자 베이징시
운영자 베이징시 지하철 운영
차량기지 구청차량단
쓰후이차량단
사용차량 베이징시 지하철 운영 DKZ4G형 전동차
베이징시 지하철 운영 SFM04형 전동차
베이징시 지하철 운영 SFX01형 전동차
베이징시 지하철 운영 SFX02형 전동차
베이징시 지하철 운영 SFX07형 전동차
노선 제원
노선연장 31.8㎞
궤간 1435mm
선로구성 전구간 복선
사용전류 직류 750V 제3궤조 집전식
폐색방식 이동폐색식
보안장비 Casco Urbalis 888 CBTC
최고속도 80㎞/h
개통 연혁 1971. 1. 15. 베이징역리신[현1][2호선]
1971. 8. 15. 리신[현1]위취안루, 구청루[현2]위취안루
1973. 4. 23. 구청루[현2]핑궈위안
1981. 9. 15. 핑궈위안푸서우링
1987. 12. 28. 난리스루푸싱먼
1992. 12. 12. 푸싱먼시단
1999. 9. 28. 톈안먼시쓰후이둥[푸바선]
2000. 6. 28. 시단톈안먼시
2021. 8. 29. 쓰후이둥가오베이뎬
(바퉁선 직결)
개통 예정 2025. 푸서우링핑궈위안
2027. 칭룽후둥바자오유러위안
상행 전구간 주행영상

1. 개요2. 소개3. 역사
3.1. 바퉁선3.2. 지선 착공
4. R1선?5. 일반인 이용이 금지된 역들6. 차량7. 노선
7.1. 본선7.2. 지선(2027년 예정)

1. 개요

베이징시 지하철 운영에서 운영하는 베이징 지하철의 노선. 상징색은 적갈색.

2. 소개

노선은 핑궈위안역에서 출발, 쥔스보우관, 푸싱먼, 톈안먼, 왕푸징을 거쳐 쓰후이에 이른다. 이후로는 시외 노선에 속하는 바퉁선과 이어진다.

도심 근교 환승 거점에서 도심을 관통하여 다시 도심 근교로 나가는 노선이라, 상당히 혼잡한 노선 중 하나이다. 그래서 배차간격도 최소 1분 45초의 초조밀 운행이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혼잡하여, 이 노선의 급행격 노선으로 R1선을 계획하고 있으나, 언제 삽을 뜰지는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서쪽 종착역은 공식적으로 핑궈위안역으로 되어 있지만, 비공식적으로는 거기서 푸서우링역과 가오징역, 두 정거장을 잇는 구간이 이어져 있다. 다만 전철화된 구간은 가오징 까지고, 국철 연결선은 비전철 단선이다. 푸서우링의 경우 지하철 기관사 직업학교와 가까워 해당 학교 학생들이나 관계자들만이 출퇴근 때 이용할 수 있었는데, 그나마 2007년 5월 이후로는 다른 비공개 역사들과 함께 폐쇄되었다. 가오징은 베이징 군구 내에 있어서 일반인의 출입이 통제되고 있고, 그나마 운행이고 관리고 거의 안되는지 웹상에 돌아다니는 사진들을 보면 거의 폐역 수준의 을씨년스러운 모습이다.

다만 이 비공개 구간은 군사시설로 연결되어 있다는 점 때문에 유사시 높으신 분들의 대피용으로 건설되었을 확률이 대단히 높으며, 그런 점에서 모스크바 지하철의 메트로2와 함께 여러 철덕이나 밀덕의 호기심을 자극하기도 한다. 2000년대 들어 이 구간에 대한 출입통제 조치가 완화되었는지, 인민일보와 같은 언론사나 일부 중국 철덕들이 허가를 받고 취재하거나 사진을 찍어오는 경우도 종종 있다.

바바오산역~쓰후이역 구간은 베이징 버스 1와 똑같은 선형으로 달려서[8] 73분만에 주파한다.[9] 이카퉁만 있다면 가격 메리트는 엄청나다.[10] 지하철이 끊겨도 베이징 버스 심야1이 같은 선형으로 운행한다.

2015년 8월 23일부터 9월 3일까지 천안문 광장에서 항일전쟁 및 세계 반파시스트 전쟁 승전 70주년을 기념하는 전승절 열병식이 거행됐다. 그러므로 천안문 광장을 지나는 1호선이 노선 변경을 할 수밖에 없는데 1호선은 난리스루역부터 쓰후이역까지의 중간에 있는 10개역들을 통과했다.

3. 역사

1953년에 중국에서 최초로 지하철 건설이 구상되어, 1958년 중국 기술진들이 소련모스크바에 시찰을 다녀왔다. 이후 저심도 공법으로 계획하여, 1959년부터 1960년까지 건설 예정인 지역들을 따라 수직으로 우물을 파서 지질 조사를 하였으며, 지질 조사를 마치고 본격적으로 추진하려고 하였으나, 중소결렬의 영향으로 소련의 기술자 철수와 대약진운동의 후유증으로 국가 경제가 파탄이 날 지경에 이르자, 지하철 건설 계획은 잠정 중단되어, 3년 후인 1962년이 되어서야 건설 계획이 재개된다.

이후 1965년 7월에 착공을 하였으나, 건설 기간 동안 운영 기관을 어디로 할건지에 대해 논쟁이 있었다. 중앙 정부와 당시 철도부에서는 도시 교통의 기능만을 담당하므로 베이징시에서 직접 운영을 하라는 눈치였고, 베이징시에서는 지하철 운영 경험이 없으니, 중앙 정부나 철도부에서 관리해야 된다는 입장이었다. 결국에는 당분간 철도부에서 시범운영하되, 시범운영이 끝나면 베이징시에 이관하기로 협의한다. 그리고 향후 이관에 용이하도록, 철도부와 베이징시가 공동으로 독자 지하철 운영기관을 설립하도록 하여, 베이징 철도국 지하철 운영처와 지하철 공정국이 설립되었다.

1969년 10월 1일, 궁주펀 ↔ 베이징역 구간이 개업을 하여 영업을 시작하였다. 하지만 당시에는 베이징 군구에 소속된 군인들과 중국 공무원들만 사용이 가능했었다. 개통 직후인 11월 11일 대형 화재가 발생하였는데, 오전 10시 55분경 차량 밑에서 굉음을 듣고 불이 난 것을 운전자가 발견해 오후 4시 45분경 진화한 것. 이 기간 동안 터널 화재 및 화재 진압 경험이 부족하여 다수의 구조 인력이 중독 및 질식하여 3명이 사망하고 100명 이상의 부상자가 입원했으며 화재로 인해 약 72만 위안의 손실이 발생하였다. 이 사고는 각 부문의 기술적 결함을 드러내는 동시에 지하철의 관리 문제를 수면 위로 끌어올린 것. 여러 차례의 회의와 시정 끝에 1970년이 되어서야 저우언라이는 보고를 받은 후 지하철 2단계 건설을 철도병, 지하철 공학국, 수력 발전부 및 베이징 4개사가 협력하여 모든 철도병이 건설하도록 지시하였다. 4월 1일, 지하철 공사국이 관리하던 물자와 설비가 모두 철도병으로 이관되었으며, 철도병 12사단이 베이징 지하철을 인수해, 4월 15일 지하철 운영 관리소를 설치하기에 이른다.

1971년 1월 15일자로 민간인에 개방이 되어 정식 영업을 시작하였다.
파일:attachment/베이징 지하철 2호선/2호선건설법.jpg
1987년 창춘제 ↔ 베이징역 구간이 1호선에서 분리되어 2호선으로 병합된다. 이로 인해 1호선은 핑궈위안푸싱먼으로 줄어들게 된다.

1992년 12월 12일 푸싱먼시단 구간이 개업하였으며, 1999년 9월 28일, 동측 구간인 푸바선의 푸싱먼쓰후이둥 구간이 개업하였다. 이후, 2000년 6월 28일 1호선과 푸바선이 정식 직결되면서, 1호선으로 병합된다.

개통 당시에는 1호선은 1선(一线), 2호선은 환선(环线)이라는 명칭으로 구분하였으나, 베이징 지하철 노선 확충과 더불어 13호선 개통 임박으로 노선명을 숫자명으로 변경하게 된다.

3.1. 바퉁선

바퉁선은 1호선의 동쪽 연장선이다. 전체 길이는 18.96km이고, 역의 개수는 13개이며 전 노선이 지면 또는 고가레일에 건설되었다. 특이하게도 푸바선과 같이 1호선과 직결운행하는 것이 아니라, 별도의 노선처럼 운행했다. 이는 바퉁선을 건설할 당시엔 두 노선을 직결운행하기에는 이용객이 많지 않을 것으로 예상했기 때문이다. 대신 1호선과 환승역을 2개(쓰후이역, 쓰후이둥역)를 설치해서 환승객을 분산하고자 하였다[11]. 하지만 바퉁선은 당시 정체가 극심했던 징퉁쾌속로(京通快速路)보다 더 빨랐기 때문에 예상보다 이용객이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2008 베이징 올림픽 이전까지 전 열차를 6량 1편성으로 증결을 완료했지만, 바퉁선은 여전히 베이징시에서 러시아워때 제일 혼잡한 노선이었다. 베이징철도교통관리부 직원들은 이를 1호선과 직결운행해서 혼잡을 줄이려고 고심하고 있었다.

중국 네티즌들은 베이징에서 가장 혼잡한 노선과 역을 1호선과 바퉁선의 쓰후이역과 쓰후이둥역으로 꼽는다. 넘쳐나는 수요가 배차간격에까지도 영향을 끼쳐, 심각한 문제를 야기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평시 배차간격이 3분, 아침 저녁 시간때 배차간격이 2분 정도로 매우 짧기 때문에, 쓰후이둥역이나 쓰후이역에서 열차가 반대편으로 빨리 회차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결국 이는 전 노선의 수송력에 악영향을 주고 있는 상태였다. 그래서 '바퉁선과 1호선의 직결운행 방법'이 계속 논의되어왔고 건의도 해봤지만, 베이징 시 당국에서는 두 노선의 건설 연대가 너무 차이가 나서 불가능하다고 하였다. 실제 두 노선 간의 차량 신호체계 통일, 플랫폼 변경 등의 문제 등이 있기 때문에 미래에 두 노선이 직결운행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였다.

그러던 2018년 8월, 두 노선을 직결하는 방안이 심사 단계에 들어갔다. 기사에 따르면 바퉁선의 신호체계를 개선하는 작업에 들어갔다고 한다.

2021년 8월 26일 환추두자취역 개통과 동시에 1호선과 바퉁선이 정식으로 직결되었다.

3.2. 지선 착공

2022년에 발표된 베이징시 궤도교통 제 3기 건설규획(2022-2027년)에 따르면, 바자오유러위안역에서 분기되는 지선이 계획 중이다. 14호선장궈좡역 이서 연장 계획을 대체하는 계획이다. 티위창난제역(11호선 환승), 위안보위안시먼역, 장궈좡역(14호선 환승), 시얼취역, 허우뤼춘역, 윈강역, 왕쭤역, 민쭈다쉐역, 칭룽후둥역으로 총 9개 역이 계획되고 있다. 차량기지 설치도 포함되어있다.

군사적 목적으로 건설하는 노선이라는 견해가 있다. 베이징 서부 지역에 펜타곤의 10배 규모에 달하는 대규모 군사 시설을 건설하고 있다는 외신 보도가 나왔는데#, 해당 군사기지는 칭룽후둥역에서 멀지 않은 곳에 위치해있다. 단순히 주변 주민들에게 생긴 피해를 보상하기 위한 목적이라기엔 더 간단한 14호선 연장 대신 중국 중앙정치의 중심지를 지나는 1호선의 지선 형태로 변경한 것은 군사적 목적이 다분해보인다. 즉 1호선 본선의 일반인 이용 금지 역처럼 실제로는 군사기지로 통하는 선로를 연장 건설하여 유사시 베이징 도심과 군사기지를 빠르게 연결하는데 활용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12]#

2023년 10월 발표된 1호선 지선공정 환경영향평가 2차 공시에 따르면, 바자오유러위안역은 지선 분기를 위해 쌍섬식 승강장 구조로 개조될 예정이며, 나머지 역들은 섬식 승장장 구조가 될 예정이다.

2024년 1월 18일, 1호선 지선이 착공되었다. 이 노선이 개통되면 베이징시 최초로 융딩허 강(永定河)을 하저터널로 통과하는 철도 노선이 될 예정이다. # 2027년 개통을 목표로 하고 있다.

2025년 7월 31일, 지선 구간 역들의 역명이 공시되었다. 이 과정에서 민쭈다쉐역, 윈강역, 시얼취역, 티위창난제역이 각각 웨이거좡역, 페이항윈강역, 베이궁역, 야먼커우시역으로 역명이 변경되어 정식 제정되었다. #

4. R1선?

1호선의 극심한 혼잡도를 해결할 목적으로 계획된, 사실상 1호선의 급행 역할을 하게 될 예정이었던 노선이나, 2025년 현재까지 삽도 못 뜬 상태. 자세한 내용은 베이징 지하철 R1선 문서 참고.

5. 일반인 이용이 금지된 역들

  • 푸서우링역, 우산역인민해방군 구 베이징 군구가 자리잡고 있어 일반 이용이 불가능하며 관계자만이 드나들 수 있다. 일반 민간인이 허가없이 출입하다 걸리면 엄중한 처벌을 받을 수 있다.
  • 52#/No. 102 푸서우링/지하철 기사 부업 학교(福寿岭/地铁技校)
이 역은 지하철 기사 부업 학교 근처에 위치해 있다. 4곳의 출구가 있었는데, 3곳은 이미 시멘트로 막힌 상태이며 1곳만 출입가능한 상태였다. 학생들과 종사자들을 수송하기 위해 2007년까지 하루에 딱 두번씩 1호선 열차가 정차했다고 한다. 그러나 인근 개발로 이곳 직장인과 주민들을 위해 2025년경 개방될 예정이다. 이것도 그나마 군사지대 밖에 놓여있어 가능하지, 아래 우산역은...
  • 53#/No. 101 우산/가오징(五三/高井)
우산역은 해방군 구)베이징 군구 본거지[13] 내에 위치하고 있어 일반인 이용이 불가능하다. 상대식 승강장과 2개의 선로가 놓여져있다고 하며, 쓰후이둥역을 향하는 동쪽 방향 선로는 지어지지 않은 채라고 한다. 본래 종점역으로 계획된 역이기도 하며, 옛날 지하철 노선도에는 이 역이 포함되어 있었다.[14] 현재는 내부적으로 역명이 우산역으로 개명되었다. 소속 구역에서 민용 운행을 시도는 하고 있으나, 가능성이 그리 크지 못하다.

여기서 조금 서쪽에서 선로가 지면으로 올라오고 군 전용 선로를 따라 계속 나아가면 중국 국철이 운영하는 산자뎬(三家店) 역으로 이어진다. 이론적으로는 국철과 연계운행도 가능하다는 이야기이다. 물론 베이징 지하철과 중국 국철의 전력 공급 방식이 다른 만큼 교직겸용차로 도입해야 하며, 런던 템즈링크처럼 가공전차선제3궤조 집전식 겸용 사양 또한 필수이다.[15][16] 게다가 군부대 전용 구간이라 그 어떤 의미가 있는 운행을 위해선 군부대의 이전 혹은 규모 축소가 있어야 할텐데 그게 사실상 불가능하다 보니...

6. 차량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베이징 지하철 1호선/차량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베이징 지하철 1호선/차량#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베이징 지하철 1호선/차량#|]]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노선

7.1. 본선

파일:베이징 지하철 1호선 노선도.png
역명 승강장 행정구역 비고
우산 五三 │■│ 스징산구
푸서우링 福寿岭 ■││■
핑궈위안 苹果园 ■││■ 파일:베이징 지하철 6호선 아이콘.svg6호선
파일:베이징 지하철 S1선 아이콘.svgS1선
구 청 古城 ■││■
파일:베이징 지하철 1호선 아이콘.svg1호선 지선 칭룽후둥 방면
바자오유러위안 八角游乐园 ■││■ 파일:베이징 지하철 1호선 아이콘.svg1호선 지선
바바오산 八宝山 │■│
위취안루 玉泉路 │■│ 스징산구
하이뎬구
우커쑹 五棵松 │■│ 하이뎬구
완서우루 万寿路 │■│
궁주펀 公主坟 │■│ 파일:베이징 지하철 10호선 아이콘.svg10호선
쥔스보우관 军事博物馆 │■│ 파일:베이징 지하철 9호선 아이콘.svg9호선
무시디 木樨地 │■│ 시청구 파일:베이징 지하철 16호선 아이콘.svg16호선
난리스루 南礼士路 │■│ 파일:베이징 지하철 팡산선 아이콘.svg팡산선
푸싱먼 复兴门 │■│ 파일:베이징 지하철 2호선 아이콘.svg2호선
파일:베이징 지하철 19호선 아이콘.svg타이핑차오(간접환승)
시 단 西单 │■│ 파일:베이징 지하철 4호선 아이콘.svg4호선
톈안먼시 天安门西 │■│
톈안먼둥 天安门东 │■│ 둥청구
왕푸징 王府井 │■│ 파일:베이징 지하철 8호선 아이콘.svg8호선
둥 단 东单 │■│ 파일:베이징 지하철 5호선 아이콘.svg5호선
젠궈먼 建国门 │■│ 둥청구
차오양구
파일:베이징 지하철 2호선 아이콘.svg2호선
융안리 永安里 │■│ 차오양구 파일:베이징 지하철 17호선 아이콘.svg17호선
궈마오 国贸 │■│ 파일:베이징 지하철 10호선 아이콘.svg10호선
다왕루 大望路 │■│ 파일:베이징 지하철 14호선 아이콘.svg14호선
28호선
쓰후이 四惠 │■││■│
쓰후이둥 四惠东 │■││■│
환추두자취 방면(파일:베이징 지하철 바퉁선 아이콘.svg바퉁선 직결)

7.2. 지선(2027년 예정)

역명 승강장 행정구역 비고
칭룽후둥 青龙湖东 │■│ 펑타이구
웨이거좡 魏各庄 │■│
왕 쭤 王佐 │■│
페이항윈강 飞航云岗 │■│
허우뤼춘 后吕村 │■│ 파일:China_Railways.svg허우뤼춘역
베이궁 北宮 │■│
장궈좡 张郭庄 │■│ 파일:베이징 지하철 14호선 아이콘.svg14호선
위안보위안시먼 园博园西门 │■│
야먼커우시[17] 衙门口西 │■│ 스징산구 파일:베이징 지하철 11호선 아이콘.svg11호선
바자오유러위안[18] 八角游乐园 │■││■│ 파일:베이징 지하철 1호선 아이콘.svg1호선 본선
파일:베이징 지하철 1호선 아이콘.svg1호선 본선 직결, 환추두자취 방면(파일:베이징 지하철 바퉁선 아이콘.svg바퉁선 직결)

[1] 서류상 기점. 실질 기점역은 핑궈위안역이 담당하고 있다.[현1] 궁주펀[2호선] 창춘제-베이징역은 현재 2호선 구간이다.[현1] [현2] 구청[현2] [푸바선] 당시 푸바선 구간이였다.[8] 다왕루역에는 1번 버스가 안 선다.[9] 지하철은 같은 구간을 달리는데 34분 소요.[10] 지하철 운임 6위안, 버스는 카드 운임 2.5위안, 현금 5위안.[11] 즉 1호선→바퉁선 환승은 쓰후이역에서, 바퉁선→1호선 환승은 쓰후이둥역에서 하도록 하는게 본래 목적이었다.[12] 비슷하게 일본 도쿄의 경우에도 유라쿠초선이 군사적 목적으로 건설되었다는 설이 있다. 유라쿠초선의 경우 직통운행 구간까지 포함하여 연선에 육상자위대 아사카 주둔지와 항공자위대 이루마 기지가 있으며, 도쿄 도심 구간에는 방위성, 국회의사당, 황거가 있다. 상기 자위대 기지에서 해당 지역까지는 직통운행으로 약 30분이면 도착한다는 점을 감안하면 설득력은 더욱 높아진다. 베이징 지하철 1호선 지선 또한 유사시 군사기지에서 베이징 도심으로 병력을 전개하는 데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 1량당 정원을 100명이라고 가정시 6량 편성이면 1개 대대 병력은 너끈하게 수송할 수 있고, 탄약이나 식량 같은 중~소형 화물의 수송용 정도로는 사용이 가능하기에 그만큼 중요한 전략 자산이 될 수가 있다.[13] 통칭 가오징 군사구역으로 불리우며, 민간에서 흔히 쓰는 역명인 가오징역의 어원이다.[14] 당시 문서에는 종점역이 푸서우링역으로 나와있으나, 이는 실제로 가오징역으로, 현 푸서우링역은 당시 랴오양위안역이었다.#[15] 템즈링크의 영국철도 700형은 제3궤조 집전식(직류 750V)/가공전차선(교류 25,000V 50㎐) 겸용 사양인데, 각각 1호선과 중국 국철의 전력 공급 방식과 일치한다.[16] 베이징 지하철과 중국 국철의 직결은 베이징 지하철 핑구선베이징 교외철도 퉁미선(S6선)의 직결 및 19호선, 베이징 지하철 핑구선과 베이징 교외철도 동북환선(S7선)의 직결로 추진되고 있다.# #애초에 국철 직결형 광역전철은 중국 국철에서 극히 꺼리는 일이라 직결은 가능성이 거의 없다.[17] 이 역이 야먼커우시 역명을 선점하면서, 기존에 11호선의 가칭 야먼커우시역은 정식 역명 명명 시 다른 역명으로 명명하는 것이 불가피해졌다.[18] 현재의 상대식 승강장에서 쌍섬식 승강장으로 개조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