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6-03 17:09:45

베이징 현대유궤전차 시자오선


베이징 지하철 운행 노선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시내노선
파일:베이징 지하철 1호선 아이콘.svg 파일:베이징 지하철 2호선 아이콘.svg 파일:베이징 지하철 3호선 아이콘.svg 파일:베이징 지하철 4호선 아이콘.svg
파일:베이징 지하철 5호선 아이콘.svg 파일:베이징 지하철 6호선 아이콘.svg 파일:베이징 지하철 7호선 아이콘.svg 파일:베이징 지하철 8호선 아이콘.svg
파일:베이징 지하철 9호선 아이콘.svg 파일:베이징 지하철 10호선 아이콘.svg 파일:베이징 지하철 11호선 아이콘.svg 파일:베이징 지하철 12호선 아이콘.svg
파일:베이징 지하철 13호선 아이콘.svg 파일:베이징 지하철 14호선 아이콘.svg 파일:베이징 지하철 15호선 아이콘.svg 파일:베이징 지하철 16호선 아이콘.svg
파일:베이징 지하철 17호선 아이콘.svg 18호선 파일:베이징 지하철 19호선 아이콘.svg 28호선
교외노선
파일:베이징 지하철 바퉁선 아이콘.svg 파일:베이징 지하철 창핑선 아이콘.svg 파일:베이징 지하철 다싱선 아이콘.svg 핑구선
파일:베이징 지하철 팡산선 아이콘.svg 파일:베이징 지하철 옌팡선 아이콘.svg 파일:베이징 지하철 이좡선 아이콘.svg 파일:베이징 지하철 S1선 아이콘.svg
퉁저우 도시부중심 노선
M101선
노면전차
파일:베이징 현대유궤전차 시자오선 아이콘.svg 파일:베이징 이좡 신청 현대유궤전차 T1선 아이콘.svg
공항철도
파일:베이징 지하철 다싱국제공항선 아이콘.svg 파일:베이징 지하철 수도공항선 아이콘.svg
}}}}}}}}} ||
파일:BeijingPublicTransport_white.png
{{{#!wiki style="margin: -10px -10px"파일:베이징 현대유궤전차 시자오선 아이콘.svg 西郊线
시자오선
Xijiao Line
}}}
파일:Unmarked_Sirio_at_Chapeng_Station_(20170825103952).jpg
안살도브레다 Sirio
노선도
[ 펼치기 · 접기 ]
파일:베이징 현대유궤전차 시자오선 노선도.png
노선 정보
분류 노면전차
기점 바거우역
종점 샹산역
역 수 6
노선기호 XJ
개업일 2017년 12월 30일
소유자 베이징시
운영자 베이징 공교 유궤전차
차량기지 바거우차량사업소
사용차량 안살도브레다 Sirio
노선 제원
노선연장 9.4㎞
궤간 1435mm
선로구성 전구간 복선
사용전류 직류 750V 가공전차선
최고속도 45㎞/h
개통 연혁 2010. 12. 30. 바거우샹산

1. 개요2. 노선

1. 개요

베이징 지하철의 한 노선으로 중화인민공화국 베이징시 하이뎬구(海淀区) 바거우역샹산역을 이어준다. 노선색은 적색이다.

베이징 지하철 노선 체계 최초의 노면전차 노선이다. 2017년 개통 당시에는 베이징 권역 내 유일한 대중교통용[1] 노면전차 노선이었으나, 2020년 이좡T1선 개통으로 아니게 되었다. 과거 서울전차와 비슷하게 베이징 역시 1921년부터 1966년까지 도심 지역에서 노면전차가 운행되었지만, 느리고 비효율적이라는 이유로 인해 전부 트롤리 버스로 대체되었는데, 51년 만에 노면전차가 부활한 셈이다.

베이징 서부의 샹산(香山) 지역을 잇는 도시철도 노선 계획은 사실 베이징 지하철 건설 초기부터 존재해왔다. 베이징 지하철 3호선의 초기 계획은 샹산역에서 출발해 베이궁먼역을 지나 베이징 도심을 관통하여[2] 동부의 왕징, 수도공항에 종착하는 노선이었으나 이후 3호선의 계획이 상당수 변경되며 흐지부지되었고, 수십년 후 베이징 지하철 10호선의 지선 형태로 건설하는 계획도 등장했으나 수요가 저조할 것으로 예상돼 역시 백지화되었다.

전동차는 5량 1편성이나 량당 길이가 길지는 않다. 과거 10호선 지선 계획 단계에서도 예측했듯이 평소에는 수요가 저조해 넉넉하지만, 문제는 봄철 꽃구경과 가을철 단풍구경[3] 시즌의 휴일에는 그야말로 가축수송을 한다. 그래서 베이징 공교는 수요가 많은 시기에는 시자오선을 2편성 총 10량 복합열차 편성으로 운행시키는걸로 모자라, 하차 인파로 인해 사고가 발생할것을 방지하고자 하차 개찰구를 완전히 개방해버리고 요금은 차후에 징수하는 정책을 시행한다. 출처

참고로 전 구간이 지상은 아니며, 전 구간(9.6km) 중 약 3분의 1의 구간(3.6km)이 지하 구간으로 건설되었다.

별개의 요금 체계를 사용하므로 바거우역에서 간접환승을 해야 한다.

2. 노선


파일:베이징 현대유궤전차 시자오선 노선도.png
한국어 역명 중국어 역명 승강장 행정구역 환승노선
바거우 巴沟 │■ 하이뎬구 파일:베이징 지하철 10호선 아이콘.svg10호선
이허위안시먼 颐和园西门 ■││■
차 펑 茶棚 ■││■
완 안 万安 ■││■
궈자즈우위안 国家植物园 ■││■
샹 산 香山 │■

[1] 첸먼역주스커우역 사이의 첸먼다제에 요금이 무려 50위안인 관광용 노면전차가 존재한다.[2] 베이궁먼~베이징 도심 구간은 이후 베이징 지하철 4호선으로 실현되었다.[3] 종착역 샹산역 인근의 향산은 베이징의 대표적인 단풍구경 명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