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베이징 지하철 운행 노선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시내노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교외노선 | |||||||
| | | | | ||||
| | | | | ||||
| 퉁저우 도시부중심 노선 | |||||||
| | |||||||
| 노면전차 | |||||||
| | | ||||||
| 공항철도 | |||||||
| | | ||||||
|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 13号线 13호선 Line 13 | }}} | |
| | ||||
| 베이징시 지하철 운영 ZBM15형 전동차 | ||||
| 노선도 | ||||
| ||||
| 노선 정보 | ||||
| 분류 | 지하철 | |||
| 기점 | 시즈먼역 | |||
| 종점 | 둥즈먼역 | |||
| 역 수 | 16 | |||
| 노선기호 | 13 | |||
| 노선번호 | 13호선 | |||
| 개업일 | 2002년 9월 28일 | |||
| 소유자 | 베이징시 | |||
| 운영자 | 베이징시 지하철 운영 | |||
| 차량기지 | 후이룽관차량단 | |||
| 사용차량 | 베이징시 지하철 운영 DKZ5B형 전동차 베이징시 지하철 운영 DKZ6B형 전동차 베이징시 지하철 운영 ZBM15형 전동차 | |||
| 노선 제원 | ||||
| 노선연장 | 40.8㎞ | |||
| 궤간 | 1,435㎜ | |||
| 선로구성 | 전구간 복선 | |||
| 사용전류 | 직류 750V 제3궤조 집전식 | |||
| 폐색방식 | 이동폐색식 | |||
| 보안장비 | US&S[1] ATP | |||
| 최고속도 | 80㎞/h | |||
| 개통 연혁 | 2002. 9 .28. 시즈먼 ↔ 훠잉 2003. 1. 28. 훠잉 ↔ 둥즈먼 2010. 12. 25. 시얼치 2019. 12. 30. 칭허역 | |||
| 개통 예정 | 2028. 칭화둥루시커우, 바오푸쓰, 둥샤오커우 | |||
1. 개요
베이징 지하철의 한 노선으로 중국 베이징시 시청구(西城区) 시즈먼역(西直门站)에서부터 베이징시 둥청구(东城区) 둥즈먼역(东直门站)를 잇는 노선이다. 베이징 북서쪽을 n자형으로 관통한다. 또 둥즈먼역을 제외한 모든 구간이 지상구간이며, 고가선로로 열차가 달린다.[2] 처음에는 징바오철도 등 기존 철로를 활용하여 건설될 계획이었으나, 철도국에서 협조해주지 않는 등 어른의 사정으로 인해 그냥 기존 철로를 따라 새로 지상 철도를 짓는 방안으로 변경되었다. 이 때문에 13호선의 대부분 구간은 기존 국철 노선과 거의 일치한다.둥즈먼역과 시즈먼역이 종점인데, 노선도를 보면 알 수 있듯이 반순환선 형태이다. 13호선에서 시즈먼역과 둥즈먼역을 직선으로 연결하면 순환선 하나가 뚝딱 완성되는 형태이다. 재미있는 것은 이 두 역이 다 2호선과의 환승역이다. 왕징시역이 베이징 최대 코리아타운인 왕징[3](望京) 부근을 지나간다.
참고로 모든 역에 열차 도착까지 남은 시간을 알려주는 LCD[4]가 2018년까지만 해도 없었다. 그러나 2019년에 최신형으로 달면서 상황 종료.
2. 역사
2002년 최초 개통되었으며, 노선 번호와 달리 1호선, 2호선에 이어 3번째로 개통한 노선이다.[5] 본래 베이징 지하철이 12개 노선으로 계획되었는데(당시 계획) 북부 주거지역의 수요를 해결하기 위해 급히 신설한 노선, 즉 13번째로 계획된 노선이기 때문에 노선번호가 이렇게 된 것.2003년 12월 31일 베이징시의 교통카드인 베이징 이카퉁이 도입된 첫 지하철이기도 하다.
개통 초기에는 타 노선과 다른 요금제를 적용받았지만 2012년 2월부로 타 노선과 같은 요금제로 운영되고 있다.
2.1. 노선 분리
#!if 문서명2 != null
, [[]]#!if 문서명3 != null
, [[]]#!if 문서명4 != null
, [[]]#!if 문서명5 != null
, [[]]#!if 문서명6 != null
, [[]]현재의 13호선 노선은 ㄷ자 형태로 사실상 순환선이나 다를 바 없는 구조라 외곽으로의 추가 연장이 쉽지가 않다. 그런데 노선 개통 이후 베이징 동북부의 톈퉁위안(天通苑), 후이룽관(回龙观) 등 대규모 베드타운들의 규모가 과거보다 훨씬 더 커졌고, 서북부에는 중관촌 소프트웨어 단지(中关村软件园)[6]가 개발되면서 현존하는 13호선 선형으로는 이 지역들의 통근 수요를 완벽하게 커버하지 못하고 있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시얼치역과 후이룽관역 구간을 기점으로 13호선을 사진과 같이 13A, 13B호선으로 분리하는 공사가 진행 중이다. 이렇게 된다면 톈퉁위안 주민이 오도구로 가기 수월해지거나 후이롱관에 사는 소프트웨어 단지 직장인의 출퇴근이 편리해지는 등 노선 효율성이 훨씬 높아질 전망이다.
2018년 11월 22일, AB선 분리 계획이 정식으로 공시되었다. 단순 노선 분리 외에 아래의 변화가 생길 예정이다.
- 13A선(처궁좡역~톈퉁위안둥역): 8량 1편성으로 증결이 될 예정이며, 그 밖에도 처궁좡역 연장, 시즈먼역 지하화, 칭화둥루시커우역 건설도 이때 이뤄질 예정이다.
- 13B선(둥즈먼역~마롄와역): 훠잉역~리수이차오역 사이에 둥샤오커우역이라는 역을 새로 지을 예정이다. 13A선과의 연결을 위해 현 룽쩌역과 시얼치역~룽쩌역 구간이 버려지고 룽쩌역은 지하로 이설되며, 두 역 사이에 AB선과 19호선과의 환승역인 베이자오눙창차오역(당시 계획명 신룽쩌역, 룽위역)이 신설될 예정이다.
본래 2025년 신 13A, 13B선이 개통될 예정이었으나 13A선 현존 역사들의 8량 확장 공사 지연, 처궁좡역 연장공사 지연, 룽쩌역 이전공사 지연 등
2025년 3월 20일, 신설 노선 구간의 각 역명이 제정되었다. # 이후 8월 21일 일부 역명이 변경되었다. #
2025년 6월 16일, 신설 노선 부분이 "13-18호선 북부관통선(北京地铁13-18北段贯通线)"이라는 이름으로 처음 등장했다. 베이징 지하철 R1선(계획명 18호선)의 착공이 지속적으로 미뤄지자 13A, 13B라는 이상한 이름으로 부르는 대신 노선 한 쪽을 18호선이라고 부르자는 주장과 추측들이 존재해 왔는데, 위 보도가 공개되며 이러한 추측이 기정사실화된 것으로 보인다. 이후 2025년 8월 6일 13A선의 노선번호가 18호선으로 확정됐으며# 임시로 부착된 역명판에 의하면 18호선의 노선 색은 데님색으로 추정된다.#
3. 혼잡도
베이징 지하철 창핑선과 비슷하게, 베이징 북부의 대규모 베드타운과 도심을 연결하는 노선이라는 특징 덕분에 출퇴근 시간에는 엄청난 혼잡도를 자랑한다. 덕분에 한때는 혼잡율 320%도 기록하기도 했다. 매년 3~4명은 13호선 열차에서 압사로 생을 마감한다.2013년에 촬영된 시얼치역의 혼잡시간대 모습. 당시에는 베이징 지하철 창핑선이 시얼치역에서 종착해, 북부 베드타운에서 창핑선을 타고 시얼치역에서 13호선으로 갈아타 도심으로 향하는 승객들이 이미 승객들로 가득 찬 13호선 열차에 몰리다 보니 저런 헬게이트가 열린 것. 창핑선이 남쪽으로 꾸준히 연장하여 도심까지 들어오는 현재는 저 정도 까지는 아니더라도, 13호선은 여전히 지옥철을 대표하는 노선 중 하나로 꼽힌다. 급행철도 역할인 19호선 북부 구간이 개통해야 추가적인 혼잡도 완화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4. 차량
개통 초창기에는 여러 노선에서 이적된 차량들이 다녔으나,[7]이 차들은 모두 2003년 퇴역했다.현재 운용중인 DKZ5형은 H401, H403~434편성(창춘객차 생산), H434~H456편성(베이징 지하철 차량공장 생산) 총 55편성, DKZ6형은 H402(창춘객차 생산) 1편성 재적하여 총 56편성이 운행중이다.
DKZ5형은 전두부가 파란 바탕에 주황색 가로선 도색이었으나 2015년 대수선때 현 도색을 갖게 되었다. DKZ6형은 전두부가 흑색이었으나 대수선때 현 도색으로 재도색했다. 과거에 중국의 철덕들은 5형을 蓝猫(파란 고양이), 6형을 黑猫(검은 고양이)라는 애칭으로 불렀다. [8]
해당 열차의 소자는 5호선과 마찬가지로 히타치 IGBT를 사용하며 구동음은 다원시스 IGBT 구동음과 흡사하다.
5. 노선 목록
5.1. 현재 운행 노선
| | ||||
| 역명 | 승강장 | 행정구역 | 비고 | |
| 시즈먼 | 西直门 | ■│■│■[9] | 시청구 | |
| 다중쓰 | 大钟寺 | ■││■ | 하이뎬구 | |
| 즈춘루 | 知春路 | ■││■ | | |
| 우다오커우 | 五道口 | ■││■ | ||
| | | | | |
| 상 디 | 上地 | ■││■ | ||
| 칭허역 | 清河站 | │■│ | | |
| 시얼치 | 西二旗 | ■││■ | | |
| 룽 쩌 | 龙泽 | ■││■ | 창핑구 | |
| 후이룽관 | 回龙观 | │■│■│ | ||
| 훠 잉 | 霍营 | │■││■│ | | |
| 리수이차오 | 立水桥 | ■││■ | 차오양구 | |
| 베이위안 | 北苑 | │■││■ | ||
| 왕징시 | 望京西 | ■││■ | | |
| 사오야오쥐 | 芍药居 | ■││■ | | |
| 광시먼 | 光熙门 | ■││■ | | |
| 류 팡 | 柳芳 | ■││■ | ||
| 둥즈먼 | 东直门 | ■││■ | 둥청구 | |
===# 분리 이후(2027년 예정) #===
| 노선도 추가예정 | ||||
| 한국어 역명 | 중국어 역명 | 승강장 | 행정구역 | 환승노선 |
| 마롄와 | 马连洼 | │■│ | 하이뎬구 | |
| 상디롼젠위안 | 上地软件园 | │■│ | ||
| 둥베이왕 | 东北旺 | │■│ | ||
| 베이자오눙창차오 | 北郊农场桥 | │■││■│ | 창핑구 | |
| 룽 쩌[11] | 龙泽 | ■││■ | ||
| 후이룽관 | 回龙观 | │■│■│ | ||
| 훠 잉 | 霍营 | │■││■│ | | |
| 둥샤오커우 | 东小口 | ■││■ | ||
| 리수이차오 | 立水桥 | ■││■ | 차오양구 | |
| 베이위안 | 北苑 | │■││■ | ||
| 왕징시 | 望京西 | ■││■ | | |
| 사오야오쥐 | 芍药居 | ■││■ | | |
| 광시먼 | 光熙门 | ■││■ | | |
| 류 팡 | 柳芳 | ■││■ | ||
| 둥즈먼 | 东直门 | ■││■ | 둥청구 | |
[1] #, #, #, #[2] 그래서 간혹 상하이 지하철 3호선처럼 '경전철'(轻轨)라고 오해받기도 한다.[3] 2010년까지 둥즈먼에서 130번, 132번, 404번, 416번, 966번 버스와 함께 왕징으로 바로 가는 대중교통 노선은 여섯밖에 없었다. 2010년 베이징 지하철 15호선이 개통되고, 2014년 베이징 지하철 14호선까지 개통된 현재는 왕징까지 지하철로 바로 갈 수 있다.[4] 정확히는 LCD TV. 징강 지하철은 삼성전자의 LED TV를 설치했다.[5] 정작 베이징 지하철 3호선은 13호선이 개통된 2002년의 22년 후인 2024년에 개통되었다.[6] 디디추싱, 바이두, 레노버 등 여러 IT기업들이 소재한 곳으로, 판교테크노밸리와 비슷한 포지션이다.[7] DK3G형, DK8형, DKZ1형, BD8형, M형 등이 있었다.[8] 현재는 다 재도색 및 리뉴얼되었는데, 마지막 DKZ5 차량인 H453은 철덕들 사이에서 엄청 화제가 되었다. 그에 관한 비디오도 많이 올라왔다. 링크[9] 용인경전철 기흥역과 같은 구조라고 생각하면 쉽다. 가운데 승강장에서 승차하는 것도 같다.[미개통] [11] 기존 룽쩌역을 폐역하고 신축 이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