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09 23:29:17

풍산군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OCN 보이스 시리즈에 등장하는 가상의 도시에 대한 내용은 풍산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522142>
파일:함경남도(이북5도위원회) 휘장_White.svg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or: #181818"
<colbgcolor=#522142> 파일:함흥시 상징.png
함흥시
파일:원산시 상징.png
원산시
파일:함경남도 흥남시 휘장.svg
흥남시
함주군 파일:함경남도 정평군 휘장.svg
정평군
영흥군 파일:고원군 상징.png
고원군
파일:문천군 상징.png
문천군
파일:안변군 상징.png
안변군
홍원군 북청군
이원군 파일:단천군 상징.png
단천군
신흥군 파일:장진군 상징.png
장진군
풍산군 삼수군 파일:함경남도 갑산군 휘장.svg
갑산군
혜산군
명목상 도청소재지 : 함흥시 }}}}}}}}}


豊山郡 / Pungsan County
풍산군
豊山郡 / Pungsan County
국가 대한민국
광복 당시 면적 3,925㎢
광역시도 함경남도[1]
광복 당시 행정구역 5면
시간대 UTC+9

1. 개요2. 역사3. 이북 5도 기준 행정구역
3.1. 구 갑산군 지역3.2. 구 북청군 지역
4. 기타5. 북한 기준 행정구역

[clearfix]

1. 개요

함경남도 북부 개마고원 지역에 있던 군. 면적은 광복 당시 3,925.05㎢로, 장진군에 이어 함남 2위, 전국 4위였다. 대략적으로 현재 량강도 김형권군 대부분과 풍서군 동부, 허천군의 옛 천남면 지역에 해당한다.

기후는 개마고원 상부 지대이므로 당연히 추운 편. 최한월인 1월 평균기온은 -14.9℃, 최난월인 7월 평균기온은 17.4℃로, 서울보다 10℃ 이상 낮다. # 풍산 자체가 1200고지에 위치해 있다.

2. 역사

조선시대까지는 갑산군북청군에 소속되어 있었다. 1914년 일제가 시행한 부군면 통폐합 때 갑산군 3개 면(천남면, 이인면, 웅이면)과 북청군 2개 면(안산면, 안수면)을 분리하여 풍산군을 신설하였는데 군청 소재지인 이인면 신풍리(통칭 풍년촌)의 '풍'과 풍산군의 원 소속이던 '갑산'의 '산'을 따서 '풍산'이라고 하였다. 1942년 군청 소재지인 이인면이 풍산면으로 개칭되었다. 광복 당시 5개 면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남북분단 이후 북한에 속하게 되었다. 1952년 북한 행정구역 개편 때 웅이면, 풍산면(8개 리)을 신설된 풍서군에, 천남면을 신설된 허천군에 넘겨주어 면적이 축소되었다.

1954년 량강도에 소속되었다.

1990년 김형권군으로 개칭되었다.

3. 이북 5도 기준 행정구역

파일:풍산군기.png

파일:풍산군.jpg

3.1. 구 갑산군 지역

  • 풍산면(豊山面)
    • 관할 리 : 신풍(新豐), 광상(廣上), 광하(廣下), 귀락(貴洛), 내(內), 무금(舞金), 산점덕(山店德), 설학(雪鶴), 신덕(新德), 신명(新明), 신복(新福), 신원상(新元上), 신원하(新元下), 신창(新昌), 신하(新下), 신흥(新興), 심포(深浦), 암흥(巖興), 원포(院浦), 이파(梨坡), 잠둔(蠶屯), 장양(長陽), 재리원(財利院), 줄애(茁崖), 직(直), 축암(縮巖), 토아(土雅)
    • 원래 이름은 이인면(里仁面)으로 1942년 풍산면으로 개칭하였다. 풍산면은 전형적인 영취락(嶺聚落, 교통량이 많은 고개의 양쪽에 발달한 취락으로, 군사적 기능과 함께 통행인에 대한 숙식제공 기능을 하는 상업적 기능을 가짐)으로 면소재지는 신풍리이다. 주요 저수지로 사초평저수지가 있다.
    • 이북5도상 군청 소재지 중에서 가장 고도가 높은 곳이다. 기후관측지점 기준 해발 1,206m.
  • 웅이면(熊耳面)
    • 관할 리 : 양평(楊坪), 관평(館坪), 나흥(羅興), 노암(櫓巖), 도상(都上), 도하(都下), 문조평(文藻坪), 삼대(三臺), 서(瑞), 서상(西上), 서창(西昌), 서하(西下), 석산(石山), 선흥(宣興), 속신(俗新), 신동장(新洞場), 약수(藥水), 어은(於隱), 연두평(蓮頭坪), 용문(龍門), 용회(龍會), 용흥(龍興), 우가(禹哥), 응덕(鷹德), 임장(林長), 창평(倉坪), 창후(倉後), 청학(靑鶴), 평(坪), 합포(合浦)
    • 일명 '능귀면'(能歸面)이라고도 하는데 한자로, 특히 세로쓰기로 쓰고 보면 글자가 상당히 유사하다. 갑산군, 장진군 방향으로 교통이 통하며, 웅이강저수지가 있다. 읍면 단위 행정구역으로는 함경북도 무산군 삼사면에 이어 우리나라에서 두 번째로 넓은데, 1,422.46㎢이다. 면소재지인 양평리 일대는 웅이강저수지의 조성으로 수몰되었으며, 창평리 일대는 북한 행정구역상 풍서군 소재지이다.
  • 천남면(川南面)
    • 관할 리 : 와포(瓦浦), 고암(古巖), 과산(果山), 금창(金倉), 덕용덕(德用德), 동대(東坮), 동춘(東春), 마토(麻土), 문략평(文略坪), 백탑(白塔), 사(寺), 삼(杉), 상장(上庄), 수위(水渭), 수채(水彩), 슬(瑟), 슬잠저(瑟岑底), 신흥(新興), 신흥덕(新興德), 쌍청보장(雙靑保庄), 양평(陽坪), 어구장(於口庄), 어평(魚坪), 원흥(元興), 음평(陰坪), 장파(長坡), 종(宗), 주로대(周路坮), 중장(中庄), 창평(倉坪), 축평(杻坪), 통(通), 포치(浦淄), 홍군(洪君), 화덕(樺德), 황토보(黃土堡)
    • 풍산군 내 다른 면이 압록강으로 유입되는 허천강 유역인 것과 달리 천남면만 동해로 유입되는 남대천 유역이다. 풍산군에서 유일하게 철도가 있으며 단풍선이 이곳에서 시종착한다. 관내에 장파역, 포치리역, 하홍군역, 홍군역이 있다.

3.2. 구 북청군 지역

  • 안산면(安山面)
    • 관할 리 : 내중(內中), 노은(老隱), 양평(楊坪), 하지경(下地境), 황수원(黃水院)
    • 내중리저수지가 있으며, 안수면과의 사이에 황수원강댐이 있다. 북청군과는 후치령으로 연결된다. 황수원리에는 북한 공군 산하에서 운영 중인 황수원비행장이 위치하고 있다.
  • 안수면(安水面)
    • 관할 리 : 평산(平山), 감토(甘土), 미전(米田), 수동(水東), 수상(水上), 장평(長坪)
    • 금패령을 통해 신흥군과 통한다.

4. 기타

이 군은 1914년에서야 군(郡)으로서의 역사가 시작되었으므로 이렇다 할 고건축이나 유적은 없다. 다만 풍산개가 유명하다.

5. 북한 기준 행정구역


자세한 사항은 김형권군 참조.


[1] 북한 기준으로는 량강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