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자의 반대 개념에 대한 내용은 본자 문서 참고하십시오.
1. 개요
속자(俗字)란 한자에서, 정식 글자가 아닌, 비정식 글자를 말한다. 옛날 국서에는 정자를 쓰면 개인 일기장 같은 곳에는 속자를 썼다. 현대 한글로 비유하자면, 빠르게 속기할 때 ㄹ을 z 모양으로, ㅃ를 ㅂ두개로 쓰지 않고 한번에 쓰는 것 등을 생각하면 쉬울 것이다. 일본의 신자체와 중국의 간체자에서는 정체자가 아닌 속자를 정식 글자로 인정하는 경우도 있다. 이 정도까지는 아니더라도 한자문화권에서는 오히려 정체자보다 속자가 더 잘 쓰이는 경우도 있다. 이를테면 岩/巖(바위 암), 豊/豐(풍성할 풍), 峊/阜(언덕 부), 峯/峰(봉우리 봉), 麵/麪(밀가루 면)이 있다. 한국 또한 巖이 정체자이지만 속자인 岩이 더 자주 쓰인다. 참고로 약자는 속자의 일부분으로 속자 중에서 정자의 획수를 넘지 않는 한자만을 의미한다.와자(譌字/訛字)라고 되어 있는 한자도 있는데 이쪽은 잘못 전해져서 생긴 한자를 이른다.
2. 예시
巖 ↔ 岩 | 擊 ↔ 㐿 | 鄕 ↔ 鄊 | 學 ↔ 学 | 本 ↔ 夲 |
兪 ↔ 俞 | 靑 ↔ 青 | 高 ↔ 髙 | 冰 ↔ 氷 | 僞 ↔ 偽 |
부수(속자 기준) | 일반자 ↔ 속자 | |||
一(한 일) 부 | 萬 ↔ 万 | 與 ↔ 与 | 兩 ↔ 両 | 竝 ↔ 並 |
丿(삐침 별) 부 | 乘 ↔ 乗 | |||
乙(새 을) 부 | 亂 ↔ 乱 | |||
亅(갈고리 궐) 부 | 爭 ↔ 争 | |||
二(두 이) 부 | 亞 ↔ 亜 | |||
亠(돼지해머리) 부 | 亭 ↔ 𠅘 | |||
人(사람 인) 부 | 令() ↔ | 會 ↔ 会 | 來 ↔ 来 | |
亻(사람인변) 부 | 佛 ↔ 仏 | 仞 ↔ 仭 | 假 ↔ 仮 | 傳 ↔ 伝 |
體 ↔ 体 | 價 ↔ 価 | 侮 ↔ 侮 | 兪 ↔ 俞 | |
倏 ↔ 倐 | 僞 ↔ 偽 | 僭 ↔ 僣 | 儹 ↔ 儧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