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
[clearfix]
1. 개요
현재 일본의 상용한자는 1981년 일본 내각 고시로 처음 공포되었다. 이후 약간의 수정을 거치면서 지금에 이르고 있다. 공포 당시 상용한자의 총 자수는 1945자였으나 계속되는 수정 속에서 2010년 개정을 거쳐 匁 등의 다섯 자가 삭제되고 196자가 추가되어 현재의 상용한자 수는 2136자가 되었다.한편 상용한자표가 만들어짐에 따라 이전에 쓰이던 당용한자(当用漢字)에 관한 당용한자표(当用漢字表), 당용한자별표(当用漢字別表), 당용한자자체표(当用漢字字体表), 인명용한자별표(人名用漢字別表), 당용한자음훈표(当用漢字音訓表), 인명용한자추가표(人名用漢字追加表)를 발표한 내각 고시는 폐지되었다. 당용한자표가 일상에서 사용하는 한자의 범위를 나타내는 것에 비해. 상용한자는 한자의 사용 기준으로서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상용한자만 쓸 것을 강제하는 인명을 제외하고는 상용한자 범위에서 벗어난 한자의 사용을 규제하지 않는다.
그렇기에 상용한자표에 없는 한자나 독음이라고 해서 실제로 안 쓴다는 것은 절대 아니다. 예를 들어 하코다테(函館), 삿포로(札幌)와 같은 유명한 지명 중에는 상용한자표에 없는 한자가 굉장히 많으며, 館를 たて라고 읽는 것도 상용한자표 범위 내가 아니지만 상당히 일반적이다. 愛도 상용한자 규정에는 あい로만 나와있지만, いとしい(愛しい)나 めでる(愛でる) 등으로 읽는 용법은 실생활에서 흔하게 쓰인다. 또한 冤罪 등 흔하게 사용되는 시사 단어에도 상용한자가 아닌 단어가 쓰이는 경우가 꽤 있다.
아예 '비방(誹謗, ひぼう)'같이 비(非)상용한자로만 이루어진 단어들도 있다. 이런 한자들은 방송 등에서는 히라가나로만 쓰거나(예: ひぼう) 한자를 쓰고 후리가나를 달아주거나(예: [ruby(誹謗, ruby=ひぼう)]), 상용한자 내의 다른 단어로 바꾸어 말한다(예: 中傷). 인터넷 글 등에서는 후리가나가 생략되고는 한다.
상용한자에 대한 고시 내용의 개요는 아래와 같다.
1. 이 표는 법령·공용 문서·신문·잡지·방송 등 일반 사회 생활에서 사용하는 한자의 기준(目安)을 나타낸 것이다.
1. 이 표는 과학·기술·예술 기타 각종 전문분야나 개개인의 표기에까지 제한을 두는 것은 아니다.
1. 이 표는 고유명사는 대상에서 제외하고 있다.
1. 이 표의 운용에 있어서 개개의 사정에 따라 적절한 고려가 가해져도 무방하다.
1. 이 표는 본표(本表) 및 부표(付表)로 이루어진다.
1. 본표(本表)에는 자종(字種) 1,945자를 수록하고 자체(字体)·음훈(音訓)·어례(語例)등을 병기했다.
1. 한자란(漢字欄)에는 자종과 자체를 나타냈다. 자종은 자음에 따라 오십음(五十音)순으로 나열하되 같은 음인 경우는 자획이 적은 것을 앞에 두었다. 자음(字音)을 들지 않은 것은 자훈(字訓)에 따랐다.
1. 자체는 편의상 명조 활자체 중에서 한 가지를 예로 써서 현대 통용 자체를 나타냈다.
1. 음훈란에서 자음은 가타카나로, 자훈은 히라가나로 나타냈다.
1. 파생 관계에 있어 같은 한자를 사용하는 습관이 있는 것은 이것을 예시하고 있다.
*예) わける ; 分ける
*わかれる ; 分かれる
*わかる ; 分かる
*わかつ ; 分かつ
*또, 다음과 같은 것은 명사로만 쓰이는 것이다.
*예) しるし ; 印 / こおり ; 氷
1. 부표(付表)에는 차음자와 숙자훈(熟字訓) 등 주로 한 자 한 자로 가를 수 없는 말을 들어 편의상 그 독음(読音)을 나타냈다.
1. 이 표는 과학·기술·예술 기타 각종 전문분야나 개개인의 표기에까지 제한을 두는 것은 아니다.
1. 이 표는 고유명사는 대상에서 제외하고 있다.
1. 이 표의 운용에 있어서 개개의 사정에 따라 적절한 고려가 가해져도 무방하다.
1. 이 표는 본표(本表) 및 부표(付表)로 이루어진다.
1. 본표(本表)에는 자종(字種) 1,945자를 수록하고 자체(字体)·음훈(音訓)·어례(語例)등을 병기했다.
1. 한자란(漢字欄)에는 자종과 자체를 나타냈다. 자종은 자음에 따라 오십음(五十音)순으로 나열하되 같은 음인 경우는 자획이 적은 것을 앞에 두었다. 자음(字音)을 들지 않은 것은 자훈(字訓)에 따랐다.
1. 자체는 편의상 명조 활자체 중에서 한 가지를 예로 써서 현대 통용 자체를 나타냈다.
1. 음훈란에서 자음은 가타카나로, 자훈은 히라가나로 나타냈다.
1. 파생 관계에 있어 같은 한자를 사용하는 습관이 있는 것은 이것을 예시하고 있다.
*예) わける ; 分ける
*わかれる ; 分かれる
*わかる ; 分かる
*わかつ ; 分かつ
*또, 다음과 같은 것은 명사로만 쓰이는 것이다.
*예) しるし ; 印 / こおり ; 氷
1. 부표(付表)에는 차음자와 숙자훈(熟字訓) 등 주로 한 자 한 자로 가를 수 없는 말을 들어 편의상 그 독음(読音)을 나타냈다.
2010년, 상용한자표에 관련하여 추가 고시된 부분이 있다. 匁 등 다섯 자를 상용한자표에서 삭제하고 상용한자로 지정된 몇몇 특정 한자의 음을 삭제했으며, 196자의 새로운 한자가 상용한자표에 추가되었다. 이하의 내용, 상용한자로 지정된 한자 2136자에 대한 부분은 상용한자일람(일본어)을 참조할 것. 일본의 상용한자는 약자가 있는 한자의 정자체가 아닌 약자체를 '정자'로 삼고 있기 때문에, 일본에서는 한자의 정자체는 구자체(旧字体), 약자체는 신자체(新字体)라 이른다.
2010년에 개정하여 기존 1945자에서 5글자를 빼고 196자를 추가해 현재는 2136자이다. 빠진 한자 5개는 "勺, 錘, 銑, 脹, 匁"이다.
만약 일본어를 배우고 싶고, 한자 외우는 것에 자신이 있다면 상용한자를 전부 외워보는 것도 꽤 괜찮은 선택이다. 하루에 10개씩만 외운다고 해도 못해도 1년 이내로는 다 외울 수 있다. 정말 날 잡고 빡세게 외우면 일주일 안에도 다 외울 수 있다![1] 상용한자를 다 외우고서 일본어 공부를 한다면 정말 쉽게 느껴질 것 이다.[2][3][4]
- 참고 사이트
- 상용한자일람(일본어)
- 상용한자 발음순
- 상용한자 체커 - 이 사이트에서는 한자가 포함된 글을 입력하면 그 한자가 상용한자에 속하는지, 인명용 한자에 속하는지, 혹은 양쪽 모두에 속하지 않는지 체크해서 보여준다. 또한 상용한자와 인명용 한자의 목록도 볼 수 있다.
2. 목록
[1] 하루에 300자씩 외우면 된다.(...)[2] 애초에 저 2136자를 다 외우면 어지간한 단어들은 거의 다 자동으로 외워지게 된다.(...)[3] 단, 당연하지만 여기서 "외운다"의 정의는 한국어 음독 뿐만 아니라 일본어 음독은 물론 훈독까지 모두 외운다는 의미이다.(...)[4] 다만 嘘 처럼 비상용한자이면서도 은근 자주 쓰이는 한자들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