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9-23 12:58:35

중국 한자음

파일:漢.svg파일:漢_White.svg 한자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닫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eee,#333> 서체와 자형 갑골문 · 금문 · 전서 · 예서 · 해서 · 행서 · 초서 · 정자(표준자형) · 간체자(간체자 논쟁) · 신자체(목록 · 변화 규칙) · 본자 · 속자 · 약자 · 이체자 · 한중일 한자
성질과 분류 획(필순) · 구조 · 파자 · 육서 · 상형자 목록 · 훈음 · 부수 · 부수(중국) · 부수(설문해자)
표준화 상용한자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 통용규범한자표 · 당용한자 · 일본의 상용한자 (목록) · 학년별한자배당표) · 한국어문회 한자검정시험 · 어문회 급수 · 대한검정회 한자급수자격시험 · 검정회 급수 · 한자한문지도사시험 · 인명용 한자표 · 광동어 정음 운동
주음·표음화·한자음 반절 · 주음부호 · 병음 (한어병음 · 월어병음) · 한글(동국정운) · 훈독 · 음독 · 속음 · 한국 한자음 · 중국 한자음 (문백이독 · 상고음 · 중고음 · 근고음 · 양안 간 독음) · 일본 한자음 · 베트남 한자음 · 다음자
옥편 자전 · 설문해자 · 강희자전 · 옥편 · 이아 · 운서 · 광운 · 절운 · 집운 · 오음편해 · 한어대사전 · 대한화사전 · 중문대사전 · 이체자자전 · 한한대사전
색인 부수별 · 음별 · 획수별
국가별 사용 한자문화권 · 한문 · 백화문 · 한국의 한자 사용 · 한자어(한국식 한자어 · 중국식 한자어 · 일본식 한자어 · 베트남식 한자어) · 언어간 동형이의 한자어(고유명사) · 언어간 이형동의 한자어 · 우리말 새김
파생 문자 한글 전 한국어 표기 (국자 · 이두 · 향찰 · 구결) · 방언자 · 주음부호 · 가나 (히라가나 · 가타카나 · 헨타이가나 · 만요가나) · 측천문자 · 쯔놈 · 고장자 ·거란 문자 · 여진 문자 · 서하 문자
입력 · 검색 한자/입력기 · 창힐수입법 (목록) · 오필자형수입법 · 대이수입법 · 사각호마검자법
전산화 KS X 1001 · KS X 1002 · KPS 9566 · GB 2312 · JIS X 0208 · Big5 / 유니코드: 한중일 통합 한자 · BMP(통합 한자 · 통합 한자 확장 A · 호환 한자) · SIP(통합 한자 확장 B~F) · TIP(통합 한자 확장 G) · 한자 모양 설명 문자
기타 고사성어 · 천자문 · 한시 · 어조사 · 음역 · 서예 · 올해의 사자성어 · 올해의 한자 · 국한문혼용체(논쟁) · 국한문병용체 · 한자 교육 (한문(교과) (2022 개정 교육과정/한문과) · 한자 교육 찬반 논쟁) · 중복 한자 · 벽자 · 통자 · 갖은자 · 한자오자 · 미상 한자 · 유령 문자 · 특이한 한자 · 닮은꼴 한자 · 국호 · 주기율표 · 음률 · 한자문화권 고유명사 표기 · 자주 틀리는 한자어 · 훈을 혼동하기 쉬운 한자 · 부수를 혼동하기 쉬운 한자 · 한자를 혼동하기 쉬운 단어 · 발음이 여럿인 한자어 · 한국의 성씨(인구분포 · 지역별) · 후리가나 · 창작 한자 }}}}}}}}}


1. 개요2. 역사3. 특징
3.1. 성모
3.1.1. 탁음이 소실3.1.2. 가 소실3.1.3. 구개음화3.1.4. 전청음 (무성무기음) ↔ 차청음 (무성유기음)
3.2. 운모
3.2.1. 입성과 운미 -m이 소실3.2.2. 중뉴가 소실3.2.3. 전설모음화3.2.4. 일부 운모가 부분 통합
3.3. 성조
4. 관련 항목

1. 개요

중국 한자음은 중국어(표준 중국어)로 한자를 읽는 소릿값이다.

상고한어를 상고음으로, 중고한어를 중세음으로, 근고한어를 근대음으로 함에 대응ㅇ해 현대음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2. 역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중국어/역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중고한어 문서
3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근고한어 문서
2~3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관화 문서
3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특징

관련 항목: 관화

3.1. 성모

3.1.1. 탁음이 소실

전탁음(유성음)이 사라지며 전청(무성무기음)과 차청(무성유기음)으로 바뀌었다.

3.1.2. 가 소실

한국 한자음과 같이 (/ŋ/, ㆁ)가 소실되었으나, 귀화어상어(), 붕어(), 잉어() 등을 제외하고 疑母가 완전히 사라진 한국 한자음과 달리 운두 i, ü(/y/)가 덧붙여지거나 운복이 바뀌며 흔적이 남았다.

3.1.3. 구개음화

표준중국어는 음운 i, ü 앞에 절대 g(무성 무기 연구개음 /k/), k(무성 유기 연구개음 /kʰ/), h(무성 연구개음 /x/), z(무성 무기 치경음 /t͡s/), c(무성 유기 치경음 /t͡sʰ/), s가 붙지 않는데, 이는 음운 g, k, h, z, c, s가 전부 음운 i, ü 앞에서 j(무성 무기 치경구개음 /t͡ɕ/), q(무성 유기 치경구개음 /t͡ɕʰ/), x(무성 치경구개음 /ɕ/)로 구개음화됐기 때문이다. 다만 음절 zii(/tsɪ/, 쯰~즤), cii(/tsʰɪ/, 츼), sii(/sɪ/, 씌~싀)는 발음하기 어려워 구개음화가 이뤄지기 쉽다는 점을 감안해야 한다. 당장 광동어에서도 이 음절을 구개음화 전인 z, c, s로 표기할 뿐 구개음화하여 j, q, x로 발음한다. 반면에 g, k, h는 구개음화되지 않았다.

3.1.4. 전청음 (무성무기음) ↔ 차청음 (무성유기음)

성모가 양순음, 설근음(연구개음)인 한자

무성 유기 교설 파찰음(tʂʰ) - 무성 교설 마찰음
예: 城자 발음이 /*d͡ʑjɘŋ/, /*ɖ͡ʐɘŋ/(쪄ᇰ, ᅑᅥᇰ)에서 chéng([ʈ͡ʂʰɤ̃ŋ˨˦], 국어원 중국어 표기: 청)으로 변화

3.2. 운모

3.2.1. 입성과 운미 -m이 소실

입성은 -k(받침 ㄱ), -t(받침 ㄷ), -p(받침 ㅂ) 운미를 의미하며, 본래 중국어는 중고한어 때까지 입성이 존재했다. 그러나 이민족이 유입하며 새로운 국가가 건설되고 이민족 언어 (알타이제어) 요소로 중고한어에서 갈라져서 나온 관화에서 입성이 -h(성문음 /ʔ/)로 약화되었다. 이마저 청나라 후기에 사라져서 완전한 개음절이 되었다.

근고서남관화부터 일어난, '-m' 운미와 '-n' 운미가 통합되는 변화[1]가 다른 지역어에서도 일어나, 입성이 완전 소실된 청나라 말기에 양순비운미 -m이 전부 설첨비운미 -n으로 바뀌었다.

3.2.2. 중뉴가 소실

근고한어 시절에

일본 한자음도 마찬가지다.

3.2.3. 전설모음화

근고한어시절에 iei (국립국어원 중국어 표기법: 예이) 운모가 i 운모에 통합되었다.

ian, üan

3.2.4. 일부 운모가 부분 통합

단운모 o의 소리가 e(비원순 후설 중고모음 /ɤ/)와
양순음 뒤를 제외하고 o가 uo로

lüan(국립국어원 중국어 표기법: 뤼안)이 luan으로

1956년에 중국 본토(중화인민공화국)에서 iai(국립국어원 [[중국어 표기법: 야이) 운모가 소실되며 ia나 ai 운모로 통합되었다.

3.3. 성조

만기중고한어시절에 성모가 청탁여부이냐로 갈린 8성조(음평, 양평, 음상, 양상, 음거, 양거, 음입, 양입)에서 입성이 사라지고 음·양상성과 음·양거성이 상성과 거성으로 통합되며 현재 사성이 되었다.

성조가 평성()이고 탁음인 한자는 2성(양평성, )이 되었고, 성조가 상성()이고 성모가 탁음인 한자는 전부 거성()이 되었다. 이를 탁상귀거()라고 일컫는다.

4. 관련 항목



[1] 중국 사천방언권 학습자의 한국어 종성 발음 교육 연구(PDF)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