寫 베낄 사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宀, 12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5획 | ||||
고등학교 | |||||||
写 | |||||||
일본어 음독 | シャ | ||||||
일본어 훈독 | うつ-す, うつ-る | ||||||
写 | |||||||
표준 중국어 | xiě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寫는 '쓸 사'라는 한자로, '쓰다', '본뜨다', '그리다' 등을 뜻한다.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베끼다 |
음 | 사 | |
중국어 | 표준어 | xiě |
광동어 | se2 | |
객가어 | siá | |
민북어 | siǎ | |
민동어 | siā | |
민남어 | siá | |
오어 | xia (T2) | |
일본어 | 음독 | シャ |
훈독 | うつ-す, うつ-る | |
베트남어 | tả |
유니코드에는 U+5BEB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JHXF(十竹難火)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宀(집 면)과 소리를 나타내는 舄(신 석)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중화권에서는 주로 '쓰다'[書]라는 뜻의 기본동사로 사용한다.
원래는 갓머리 아래의 舄을 舃자로 쓴 형태가 정자이다.
3. 용례
3.1. 단어
- 녹사(錄寫)
- 뇌사(腦寫)
- 등사(謄寫)
- 모사(模寫)
- 묘사(描寫)
- 복사(複寫)
- 사본(寫本)
- 사상(寫象)
- 사상(寫像)
- 사생(寫生)
- 사수(寫手)
- 사실(寫實)
- 사영(寫映)
- 사음(寫音)
- 사의(寫意)
- 사자(寫字)
- 사장(寫場)
- 사조(寫照)
- 사진(寫眞)
- 사출(寫出)
- 서사(書寫)
- 선사(善寫/繕寫)
- 속사(速寫)
- 수사(手寫)
- 영사(映寫)
- 영사(影寫)
- 잠사(潛寫)
- 전사(全寫/電寫/傳寫)
- 전사(轉寫)
- 축사(縮寫)
- 투사(透寫)
- 필사(筆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