陶 질그릇 도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阜, 8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1획 | ||||
고등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トウ, ヨウ | ||||||
일본어 훈독 | すえ | ||||||
- | |||||||
표준 중국어 | táo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陶는 '질그릇 도'라는 한자로, '질그릇', '도공(陶工)' 등을 뜻한다. '사람이름 요'라고도 한다.2. 상세
뜻을 나타내는 阜(언덕 부)와 소리를 나타내는 匋(질그릇 도)가 합쳐진 형성자이다.유니코드에는 U+9676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弓中心人山(NLPOU)으로 입력한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한국의 성씨 한자 상위 100개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2em;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font-size:.9em" | 100위까지 성씨는 내국인 인구의 99.16%입니다 (2015년 통계청 자료) 인구 비율이나 100위 아래의 성씨 등은 한국의 성씨별 인구 분포 문서 참고 | ||||||||||||||||||||||||||||||||||||||||||||||||||||||||||||||||||||||||||||||||||||||||||||||||||
## 🔶🔶 0는 정렬의 위한 배경색의 안보이는 0 | }}}}}}}}} |
3.4. 지명
3.5. 창작물
3.6. 기타
4. 유의자
- 㼹/𤮊(질그릇 강)
- 甄(질그릇 견)
- 㽅(질그릇 등)
- 㽋(질그릇 라)
- 㽁(질그릇 력)
- 㼰(질그릇 비)
- 𤭼(질그릇 압)
- 𦈸(질그릇 역)
- 䍃(질그릇 요/유)
- 㼸(질그릇 용)
- 甏(질그릇 팽)
- 𦈰(질그릇 혜)
- 㽇(질그릇 혹)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 掏(가릴 도)
- 𢔇(기다릴 도)
- 綯(노꼴 도)
- 𩛽(떡소 도)[3]
- 騊(말이름 도)
- 蜪(메뚜기새끼 도)
- 鋾(무딜 도)
- 𨂆(밟을 도)[4]
- 祹(복 도)
- 䛬(빌 도)
- 啕(수다스러울 도)
- 醄(술취할 도)
- 淘(쌀일 도)
- 裪(옷소매 도)
- 陶(질그릇 도)
- 𨌨(활집 도, 수레소리 횡)
- 𩋃(북 요, 북통 도)
- 𠊐
- 𡍒
- 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