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23 09:33:52

늘일 연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4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7획
고등학교
-
일본어 음독
エン
일본어 훈독
の-びる, の-べる, の-ばす, は-え, ひ-く
-
표준 중국어
yán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3. 용례4. 유의자5.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개요

延은 '늘일 연'이라는 한자로, '늘이다', '늦추다', '미루다' 등을 뜻한다.

2. 상세

유니코드에는 U+5EF6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NKHYM(弓大竹卜一)으로 입력한다.

(걸을 지)와 삐침으로 이루어진 회의자이다. 㢟는 (조금걸을 척)의 한 획이 늘어진 (길게걸을 인)과 (그칠 지)가 합쳐진 형성자로, (쉬엄쉬엄갈 착)과 기원이 같다.

일본과 대만에서는 止의 ㄴ 부분을 두 획에 나눠서 쓰므로 총 획수가 8획이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한국의 성씨 한자 상위 100개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2em;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font-size:.9em"
100위까지 성씨는 내국인 인구의 99.16%입니다 (2015년 통계청 자료)
 
인구 비율이나 100위 아래의 성씨 등은 한국의 성씨별 인구 분포 문서 참고
## 🔶🔶 0는 정렬의 위한 배경색의 안보이는 0
}}}}}}}}}
  • 성이 연씨인 사람들 중 99% 가량.[1]

3.4. 지명

3.4.1. 국내

3.4.2. 해외

3.5. 철도역

3.6. 창작물

3.7. 기타

4. 유의자

  • (늘일 신)
  • (늘일 연)
  • (늘일 전)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 (조정 정)


[1] 2015년 실시된 인구주택총조사 통계자료#에 따르면 연씨 성은 延, (침 연), (제비 연), (이을 련) 이렇게 총 4종인데, 각각 34766명, 5명, 20명, 59명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어떤 사람의 성씨가 '연씨'일 때 그 사람이 延을 성으로 사용할 확률은 99.76%에 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