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성씨 한자 상위 100개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2em;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font-size:.9em" | 100위까지 성씨는 내국인 인구의 99.16%입니다 (2015년 통계청 자료) 인구 비율이나 100위 아래의 성씨 등은 한국의 성씨별 인구 분포 문서 참고 | ||||||||||||||||||||||||||||||||||||||||||||||||||||||||||||||||||||||||||||||||||||||||||||||||||
## 🔶🔶 0는 정렬의 위한 배경색의 안보이는 0 | }}}}}}}}} |
宣 베풀 선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宀, 6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9획 | ||||
고등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セン | ||||||
일본어 훈독 | のたま-う, の-べる | ||||||
- | |||||||
표준 중국어 | xuān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宣은 '베풀 선'이라는 한자로, '베풂', 즉 일을 차리어 벌이는 행위를 뜻한다.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베풀다 |
음 | 선 | |
중국어 | 표준어 | xuān |
광동어 | syun1 | |
객가어 | siên | |
민동어 | sŏng | |
민남어 | soan | |
오어 | xi (T1) | |
일본어 | 음독 | セン |
훈독 | のたま-う | |
베트남어 | tuyên |
유니코드에는 U+5BA3에 배당되어 있고, 주음부호로는 ㄒㄩㄢ으로 입력하며, 창힐수입법으로는 JMAM(十一日一)으로 입력한다.
亘(펼 선)에 갓머리가 씌어진 형상이다.
3. 유래
宣은 갑골문에서도 발견된다. 군주의 방의 모양을 본뜬 상형자일 것으로 추정된다. 상나라에서 왕실을 선실(宣室)이라고도 했다는 점이 그 근거로 채택된다.4. 뜻
원래는 왕의 뜻을 널리 알리는 행위를 뜻했다. 현대에는 주장, 사상, 독트린 등을 다수의 사람들에게 전달한다는 뜻으로 확장되었다.5. 용례
5.1. 단어
5.2. 인명
- 김영선(金映宣): 1960년생
- 김선호(金宣虎)
- 노지선(盧知宣)
- 박선영(朴宣映)
- 배선(裴宣)
- 센노자 코우(宣野座 功)
- 오선의(吳宣儀)
- 윤선거(尹宣擧)
- 이선구(李宣求)
- 이선미(李宣美)
- 이선애(李宣厓)
- 선덕왕(宣德王)
- 선동열(宣銅烈)
- 선병렬(宣炳烈)
- 선왕(宣王)
- 선조(조선)(宣祖)
- 최무선(崔茂宣)
- 충선왕(忠宣王)
-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
전국에 사는 선씨들이 모두 이 글자를 쓰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