告 고할 고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口, 4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7획 | ||||
중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コク | ||||||
일본어 훈독 | つ-げる | ||||||
- | |||||||
표준 중국어 | gào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告는 '고할 고'라는 한자로, '고(告)하다', '알리다'를 뜻한다. 그래서 '알릴 고'라고도 한다.2. 상세
유니코드에는 U+544A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HGR(竹土口)로 입력한다.뜻을 나타내는 口(입 구)와 음을 나타내는 牛(소 우)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홍콩 정체자 및 일본 구자체로는 이와 같은 형성 원리를 잘 살려 吿(U+543F)라고 쓴다. 강희자전에도 吿의 형태가 채택되었다.
3. 용례
3.1. 단어
- 경고(警告)
- 고발(告發)
- 고백(告白)
- 고별(告別)
- 고사(告祀)
- 고소(告訴)
- 고시(告示)
- 고자질(告者질)
- 고지(告知)
- 고해(告解)
- 공고(公告)
- 광고(廣告)
- 권고(勸告)
- 무고(誣告)
- 밀고(密告)
- 보고(報告)
- 부고(訃告/赴告)
- 불고불리(不告不理)
- 상고(上告)
- 선고(宣告)
- 신고(申告)
- 예고(豫告)
- 원고(原告)
- 충고(忠告)
- 친고죄(親告罪)
- 통고(通告)
- 포고(布告)
- 피고(被告)
- 항고(抗告)
3.2. 고사성어/숙어
3.3. 창작물
3.4. 기타
4. 유의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한자는 아니지만 '쏨'하고도 모양이 비슷하다.
[1] 거의 대부분의 경우 '고'로 읽지만 예외적으로 '곡'으로 읽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