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09-01 08:53:48

이를 위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9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16획
고등학교
-
일본어 음독
일본어 훈독
いい, い-う, いわ-れ
표준 중국어
wèi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3. 용례4. 유의자5.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개요

謂는 '이를 위'라는 한자로, '이르다(칭하다)'를 뜻한다.

2. 상세

뜻을 나타내는 (말씀 언)과 소리를 나타내는 (밥통 위)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유니코드에는 U+8B02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YRWB(卜口田月)로 입력한다.

한문에서는 다음과 같은 패턴으로 많이 쓰인다.
  • 所謂A者: 이른바 A라 하는 것은
  • A謂之B/謂AB/A之謂B: A를 B라고 이른다
  • A謂B曰: A에게 B라고 이른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3.4. 지명

3.5. 창작물

3.6. 기타

4. 유의자

  • (이를 운)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 (흙덩이 괴)[1]
  • (긴이삭 기)
  • 𢔥[⿰彳胃](별안간갈 울)
  • (언뜻볼 울)
  • 𢯮[⿰扌胃](집어던질 울)
  • //𧳪[⿰豸胃](고슴도치 위)
  • 𩤸[⿰馬胃](나귀 위)
  • 𩹂[⿰魚胃](물고기이름 위)
  • (물이름 위)
  • (불빛 위)
  • (불안할 위)
  • (비단 위)
  • (여동생 위)
  • 𦝩[⿰⺼胃](위장 위)
  • (한숨쉴 위)
  • 𦩝[⿰舟胃](화물선 위)
  • 𩋤[⿰革胃](가죽그릇 율)
  • 𪞦[⿰冫胃]
  • 𭘪[⿰巾胃]
  • 𣉌[⿰日胃]
  • 𣖜
  • 𦡾[⿰甚胃]
  • 𮍋[⿰慕胃]
  • 𥚷[⿰示胃]
  • 𬔤[⿰立胃]
  • 𨩋

[1] (흙덩이 괴)의 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