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12-26 20:46:11

베풀 설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4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11획
중학교
준4급
-
일본어 음독
セツ
일본어 훈독
もう-ける, しつら-える
표준 중국어
shè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3. 용례4. 유의자5. 모양이 비슷한 한자6.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clearfix]

1. 개요

設은 '베풀 설'이라는 한자로, '베풀다', '세우다', '설립(設立)하다' 등을 뜻한다.

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한국어 <colbgcolor=#fff,#1f2023>베풀다
중국어 표준어 shè
광동어 cit3
객가어 sat
민북어 siĕ
민동어 siék
민남어 siat
오어 seq (T4)
일본어 음독 セツ
훈독 もう-ける, しつら-う, しつら-える
베트남어 thiết

유니코드에는 U+8A2D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YRHNE(卜口竹弓水)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말씀 언)과 소리를 나타내는 (창 수)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소전체에서부터 나타나며, 기본적인 뜻은 '세우다', '심다', '두다', '설치하다'이다.

어원상 (재주 예)와 동계어(cognate)인데, 본래 '심다', '세우다'는 藝의 고자(古字)인 埶로 썼다. 그러다 전한 때부터 設과 혼용되기 시작하다가 후한 때부터는 設만을 쓰게 된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3.4. 지명

3.5. 창작물

3.6. 기타

4. 유의자

  • (방자할/베풀 사)
  • (베풀 선)
  • (베풀 시)
  • (베풀 장)
  • (베풀 진)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 (넓적다리 고)
  • (염소 고)
  • 𥝻(곡식 곡)[1]
  • 𧣇[⿰角殳](벌벌떠는모양 곡)
  • 𧯸[⿰壹殳](콩깍지 곡)[2]
  • 𨱚[⿰镸殳](내던질 단)
  • (창 대)
  • 𧰵[⿰豖殳](칠 독/탁)
  • (괼 두)
  • (두번빚은술 두)
  • (말많을 두)
  • 𪉘[⿰鹵殳](짠땅 두)
  • 𪛒[⿰籥殳](채로치는북 련, 긴자루가달린북 렴)
  • (빠질 몰)[3]
  • (죽을 몰)[4]
  • (가지/일반 반)
  • 𣺲[⿰洣殳](빨리흐를 별)
  • 𪕂[⿰鼠殳](만주마멋 복)[5]
  • (수레끌 수)
  • (팔모진창 수, 나무이름 퇴)
  • (굴뚝 역)
  • (돼지 역)
  • 𢗎[⿰忄殳](마음쓸 역)
  • /(부릴 역)
  • 𩵤[⿰魚殳](예어 역)[6]
  • (옹기가마굴뚝 역)
  • (작은창 역)
  • (굳셀 의)[7]
  • 𡚾[⿰女殳](고울 주)
  • 𧘣[⿰衤殳](붉은옷 주)[8]
  • (돌산 철)
  • (재계할 촉)
  • 𤖬[⿰片殳](박두할 추)
  • (신뒤축 타)
  • (내던질 투)
  • (던질 투)
  • (주사위 투)
  • 𨸜[⿰⻖殳](웃음소리 해)
  • 𥍟[⿰矛殳](창 혁, 작은창 역)
  • 𪐮[⿰黑殳](축/몰)
  • 𤝈[⿰犭殳](투/을)
  • 𭚧[⿰弓殳]
  • 𰕶[⿰日殳]
  • 𰠎[⿰爿殳]
  • 𤤄[⿰⺩殳]
  • 𰨴[⿰⿱禾米殳]
  • 𧈻[⿰虫殳]
  • 𰮏[⿰肉殳]
  • 𰯯[⿰臣殳]
  • 𬖫[⿰粟殳]
  • 𫘈[⿰馬殳]
  • 𪌓[⿰麥殳]

6.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 (향초 설)

[1] (곡식 곡)의 동자[2] (콩깍지 곡)의 동자[3] (빠질 몰)의 신자체간체자[4] 歿(죽을 몰)의 간체자[5] 𪔿(만주마멋 복)의 와자[6] 𩷍(예어 역)의 동자[7] (굳셀 의)의 동자[8] (붉은옷 주)의 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