周을 간체자로 하는 한자에 대한 내용은 週 문서 참고하십시오.
周 두루 주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口, 5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8획 | ||||
고등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シュウ | ||||||
일본어 훈독 | まわ-り, あまね-く, めぐ-る | ||||||
- | |||||||
표준 중국어 | zhōu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周는 '두루 주'라는 한자로, '두루'를 뜻한다.2. 상세
유니코드에는 U+5468에 배당되어 있고, 주음부호로는 ㄓㄡ로, 창힐수입법으로는 BGR(月土口)로 입력한다.갑골문에서 이미 등장하는데, 꽃 무늬의 옥그릇을 표현한 상형자이다. 훗날 彫, 琱 등으로 분리되었고, 周는 '두루'의 의미로 남게 되었다. 갑골문 발견 전에는 用(쓸 용)과 口(입 구)가 합쳐진 회의자로 보았다.
한편으로는 빽빽하다는 의미도 있다. '주도면밀'이 그 예이다.
중국에서는 주일 주(週)의 간체자로 쓰인다. 그리고 고대 중국의 주나라의 주가 '周'라서 인명용으로 쓸 때, '나라'라는 뜻으로도 쓰인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 곽주원(郭周源)
- 김민주(金珉周)
- 김주수(金周秀)
- 남주희(南周希)
- 손주연(孫周延)
- 손주인(孫周忍)
- 스오노 나이시(周防 内侍)
- 스오우 아마네(周防 天音)
- 아오키 슈조(青木 周蔵)
- 오카와 슈메이(大川 周明)
- 이승주(李承周)
- 이주창(성우)(李周昌)
- 이학주(李學周)
- 이현주(李玹周): 배우
- 임주환(林周煥)
- 정몽주(鄭夢周)
- 정주현(鄭周賢)
- 조주빈(趙周彬)
- 주원(周元)
- 진기주(秦基周)
- 키하라 엔슈(木原 円周)
- 최주환(崔周煥)
- 츠야마 슈사쿠(津山 周作)
- 하주석(河周錫)
- 한효주(韓孝周)
- 황낙주(黃珞周)
- 후지 슈스케(不二 周助)
3.3.1. 성씨
한국의 성씨 한자 상위 100개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2em;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font-size:.9em" | 100위까지 성씨는 내국인 인구의 99.16%입니다 (2015년 통계청 자료) 인구 비율이나 100위 아래의 성씨 등은 한국의 성씨별 인구 분포 문서 참고 | ||||||||||||||||||||||||||||||||||||||||||||||||||||||||||||||||||||||||||||||||||||||||||||||||||
## 🔶🔶 0는 정렬의 위한 배경색의 안보이는 0 | }}}}}}}}} |
대한민국과 중국에서 성씨로 쓰인다. 대한민국에는 상주 주씨와 초계 주씨가 있다.
- 저우관위 (周冠宇)
- 주걸륜(周杰倫)
- 주결경(周洁琼)
- 주권(周權)[1]
- 주동우(周冬雨)
- 주빈
- 주선회(周善會)
- 주세붕(周世鵬)
- 주시경(周時經)
- 주유(周瑜)
- 주윤발(周潤發)
- 주학년(周鶴年)
- 저우신위(周心語)
- 저우언라이(周恩來)
- 저우쯔위(周子瑜)
- 저우허양(周鶴洋)
- 저우융캉(周永康)
- 저우메이링(周美靈)
3.4. 지명
4. 유의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중국에서 출생했으나 한국으로 귀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