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27 12:06:21

주선회

파일:헌법재판소 휘장.svg 헌법재판소 재판관 (대통령 임명)
이영모
김영삼 대통령 임명
주선회
김대중 대통령 임명
송두환
노무현 대통령 임명
주선회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15px -10px -21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3%"
<tablebordercolor=#fff,#1c1d1f><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 파일:정부상징.svg}}}{{{#!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57%"<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3764><tablebgcolor=#003764>법무연수원장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법무연수원장 (1972~현재)
<nopad> 박정희 정부 <nopad> 최규하 정부
초대
윤두식
제2대
조태형
제3대
주문기
제4대
김종경
<nopad> 최규하 정부 <nopad> 전두환 정부
제5대
송종진
제6대
정명래
제7대
이명희
제8대
배명인
제9대
이영욱
<nopad> 전두환 정부 <nopad> 노태우 정부
제10대
정해창
제11대
백광현
제12대
김기춘
제13대
서정신
<nopad> 노태우 정부 <nopad> 문민정부
제14대
허은도
제15대
박종철
제16대
전재기
제17대
지창권
제18대
김기수
<nopad> 문민정부 <nopad> 국민의 정부
제19대
최영광
제20대
김상수
제21대
송정호
제22대
이태창
제23대
주선회
<nopad> 국민의 정부 <nopad> 참여정부
제24대
김영철
제25대
김학재
제26대
한부환
제27대
정홍원
제28대
정진규
<nopad> 참여정부 <nopad> 이명박 정부
제29대
임내현
제30대
홍경식
제31대
임채진
제32대
안영욱
제33대
김태현
<nopad> 이명박 정부 <nopad> 박근혜 정부
제34대
명동성
제35대
박용석
제36대
조근호
제37대
노환균
제38대
소병철
<nopad> 박근혜 정부 <nopad> 문재인 정부
제39대
이득홍
제40대
임정혁
제41대
김희관
제42대
김오수
제43대
조은석
<nopad> 문재인 정부 <nopad> 윤석열 정부
제44대
박균택
제45대
배성범
제46대
조남관
제47대
여환섭
제48대
김석우
<nopad> 윤석열 정부
제49대
신자용
}}}}}}}}} ||

파일:검찰 CI (흰색).svg
광주고등검찰청 검사장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000,#DDD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nopad> 이승만 정부 <nopad> 장면 내각 <nopad> 김현철 내각
초대
박승준
제2대
서정국
제3대
송화식
제4대
김영천
제5대
김병화
<nopad> 박정희 정부
제6대
김영천
제7대
황창주
제8대
나길조
제9대
김일두
제10대
이영환
<nopad> 박정희 정부 <nopad> 최규하 정부 <nopad> 전두환 정부
제11대
송종진
제12대
서정각
제13대
유태선
제14대
배명인
제15대
김세권
<nopad> 전두환 정부 <nopad> 노태우 정부
제16대
이준승
제17대
김양균
제18대
정구영
제19대
조성욱
제20대
김유후
<nopad> 노태우 정부 <nopad> 문민정부
제21대
신건
제22대
김현철
제23대
황상구
제24대
김정길
제25대
김상수
<nopad> 문민정부 <nopad> 국민의 정부
제26대
심상명
제27대
송정호
제28대
원정일
제29대
주선회
제30대
이종찬
<nopad> 국민의 정부 <nopad> 참여정부
제31대
김승규
제32대
김대웅
제33대
이범관
제34대
임내현
제35대
홍석조
<nopad> 참여정부 <nopad> 이명박 정부
제36대
정진호
제37대
명동성
제38대
이준보
제39대
신상규
제40대
안창호
<nopad> 이명박 정부 <nopad> 박근혜 정부
제41대
김학의
제42대
박성재
제43대
조성욱
제44대
김희관
제45대
오세인
<nopad> 문재인 정부
제46대
김호철
제47대
박균택
제48대
박성진
제49대
구본선
제50대
조종태
<nopad> 윤석열 정부
제51대
홍승욱
제52대
신봉수
}}}}}}}}}}}}}}}}}} ||

파일:검찰 CI (흰색).svg
울산지방검찰청 검사장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000,#DDD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초대
박주환
제2대
주선회
제3대
명로승
제4대
정진규
제5대
곽영철
제6대
김재기
제7대
안영욱
제8대
권재진
제9대
김태현
제10대
천성관
제11대
박한철
제12대
노환균
제13대
김학의
제14대
남기준
제15대
박청수
제16대
조영곤
제17대
강경필
제18대
변찬우
제19대
봉욱
제20대
박정식
제21대
한찬식
제22대
박윤해
제23대
송인택
제24대
고흥
제25대
이수권
제26대
이주형
제27대
노정환
제28대
한석리
제29대
박현준
}}}}}}}}}}}}}}}}}}

파일:검찰 CI (흰색).svg
청주지방검찰청 검사장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초대
박천일
제2대
김윤수
제3대
윤만석
제4대
김형근
제5대
윤준영
제6대
김영천
제7대
강용권
제8대
서병균
제9대
백상기
제10대
김사용
제11대
김용제
제12대
윤두식
제13대
나길조
제14대
김성재
제15대
민흥식
제16대
이영환
제17대
이근수
제18대
강의석
제19대
송종진
제20대
허형구
제21대
이동봉
제22대
염경환
제23대
강태훈
제24대
정창훈
제25대
김성기
제26대
안경상
제26대
안경상
제27대
이우각
제28대
송병철
제29대
박일흠
제30대
김동철
제31대
조성욱
제32대
박종철
제33대
전재기
제34대
지현범
제35대
최명부
제36대
정경식
제37대
노승행
제38대
지창권
제39대
최영광
제40대
최명선
제41대
원정일
제42대
최경원
제43대
강신욱
제44대
전용태
제45대
주선회
제46대
이광수
제47대
유창종
제48대
황선태
제49대
조규정
제50대
서영제
제51대
김성호
제52대
이병기
제53대
고영주
제54대
선우영
제55대
문성우
제56대
이준보
제57대
박용석
제58대
김진태
제59대
김영한
제60대
김수남
제61대
국민수
제62대
이경재
제63대
신경식
제64대
오광수
제65대
김강욱
제66대
조은석
제67대
송인택
제68대
이석환
제69대
이동열
제70대
여환섭
제71대
최경규
제72대
노정환
제73대
이철희
제74대
배용원
제75대
박영빈
}}}}}}}}}}}} ||

파일:검찰 CI (흰색).svg
대검찰청 공공수사부장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373A3C,#DDD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대검찰청 공안부장 (1973~2019)
초대
설동훈
제2대
강우영
제3대
김태현
제4대
한옥신
제5대
김태현
제6대
박준양
제7대
정치근
제8대
이창우
제9대
최상엽
제10대
정경식
제11대
이건개
제12대
변재일
제13대
최환
제14대
안강민
제15대
최병국
제16대
주선회
제17대
진형구
제18대
김각영
제19대
이범관
제20대
박종열
제21대
이정수
제22대
이기배
제23대
홍경식
제24대
강충식
제25대
권재진
제26대
이귀남
제27대
이준보
제28대
박한철
제29대
노환균
제30대
신종대
제31대
임정혁
제32대
송찬엽
제33대
오세인
제34대
정점식
제35대
권익환
제36대
오인서
제37대
박찬호
대검찰청 공공수사부장 (2019~현재)
제37대
박찬호
제38대
배용원
제39대
이정현
제40대
김유철
제41대
박기동
제42대
김태은
}}}}}}}}}}}}}}}
<colbgcolor=#911B2B><colcolor=#E6B366> 前 대한민국 헌법재판소 재판관
주선회
周善會 | Choo Sun-hoe
파일:1704559892314_g9lmtu_2_0.jpg
출생 1946년 2월 21일 ([age(1946-02-21)]세)
경상남도 함안군 칠원면
(現 경상남도 함안군 칠원읍)
본관 상주 주씨 (尙州 周氏)[1]
원재 (元裁)
재임기간 제23대 법무연수원장
2000년 7월 15일 ~ 2001년 3월 22일
헌법재판소 재판관 (김대중 대통령 임명)
2001년 3월 15일 ~ 2007년 3월 22일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2]
2006년 9월 20일 ~ 2007년 1월 21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911B2B><colcolor=#E6B366> 학력 마산상업고등학교 (졸업)
고려대학교 법과대학 (법학 / 학사)
서울대학교 사법대학원 (법학 / 석사)
하버드 대학교 법과대학원 (법학 / 석사)
경력 제10회 사법시험 합격
대구지방검찰청 검사
서울지방검찰청 검사
법무연수원 연구관
부산지방검찰청 공안부장
법무부 국제법무심의관
창원지방검찰청 차장검사
부산고등검찰청 차장검사
대검찰청 감찰부장
제45대 청주지방검찰청 검사장
제2대 울산지방검찰청 검사장
제29대 광주고등검찰청 검사장
제23대 법무연수원장
헌법재판소 재판관 (2001.03. ~ 2007.03.)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 (2006.09. ~ 2007.01.)
제31대 고려대학교 교우회 회장
}}}}}}}}}

1. 개요2. 생애3.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법조인. 2001년 3월 23일부터 2007년 3월 22일까지 헌법재판소 재판관을 역임했다.

헌법재판소 재판관 임기 중 동료 헌법재판소 재판관들과 함께 노무현 대통령 탄핵소추 및 심판을 맡았으며, 주심재판관으로서 결정문을 작성했다.

2. 생애

1946년 2월 21일 경상남도 함안군 칠원면(現 함안군 칠원읍)에서 아버지 주시일(周時一, 1908. 5. 3 ~ 1951. 2. 13)[3]과 어머니 광주 안씨(1913. 6. 1 ~ 1979. 10. 27)[4] 사이에서 6형제 중 다섯째 아들로 태어났다. 1965년 마산상업고등학교(現 마산용마고등학교), 1969년 고려대학교 법과대학 법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해 제10회 사법시험에 합격하였다. 1970년에 서울대학교 사법대학원에서 법학 석사 과정을 수료했다.

1971년부터 1974년까지 육군 군법무관으로 병역을 마친 다음, 1974년 대구지방검찰청 검사를 시작으로 1976년 대구지방검찰청 경주지청 검사, 1978년 부산지방검찰청 검사, 1979년 법무부 법무과 검사, 1981년 서울지방검찰청 검사를 맡았다.

이후 미국으로 유학 가서 1982년 미국 하버드 대학교 법과대학원에서 법학 석사 학위(LLM)를 취득했다. 귀국 후에는 1983년 법무연수원 연구관, 1985년 마산지방검찰청 부장검사, 1986년 부산지방검찰청 공안부장을 거쳐, 1988년 대검찰청 공안제1과장의 요직을 역임했다. 이른바 '공안검사'의 길을 걸어간 것. 특히 부산지방검찰청 공안부장으로 재직하던 1987년에는 당시 부산에서 변호사로 활동하던 노무현1987년 노동자 대투쟁 당시 대우조선 노동자 이석규씨 사망 사건과 관련하여 노동법의 대표적인 독소조항인 제3자 개입 혐의로 구속수사하기도 했다.

1989년에는 법무부 국제법무심의관이 되었고, 1990년 11월 5일부터 서울지방검찰청 조사부장검사, 1991년 8월 1일부터 서울지방검찰청 형사제2부장검사, 1992년 창원지방검찰청 차장검사, 1993년 3월 23일부터 1993년 9월 23일까지 제10대 부산지방검찰청 울산지청장, 1993년 9월 24일부터 1994년 9월 15일까지 서울지방검찰청 제3차장검사, 1994년 9월 24일부터 1995년 9월 19일까지 부산고등검찰청 차장검사, 1995년 9월 20일부터 1997년 1월 22일까지 대검찰청 감찰부장 등을 역임했다. 그러다가 1997년 1월 23일 드디어 대검찰청 공안부장의 자리에 올랐는데, 이때 한국대학총학생회연합(약칭 한총련)을 와해시키는 과정에서 한총련에 가입했다는 이유만으로 학생들을 무차별적으로 사법처리 하고 이들에 대한 특별사면도 반대하는 등 주사파 운동권 학생들에 대해 강경한 입장을 취했다. 그뿐만 아니라 대학교재와 초등학교 통일교재에까지 '이적성'의 잣대를 들이대며 저자들을 구속하였고, 중학교 국어교과서에 실린 유홍준의 기행문까지 삭제토록 요구하는 등 공안몰이를 하여 우려를 자아냈다.

그 후 김대중 정부로 정권이 교체되었으나, 1998년 3월 23일부터 1999년 2월 21일까지 제45대 청주지방검찰청 검사장, 1999년 2월 22일부터 1999년 6월 8일까지 제2대 울산지방검찰청 검사장, 1999년 6월 9일부터 2000년 7월 14일까지 제29대 광주고등검찰청 검사장, 2000년 7월 15일부터 2001년 3월 22일까지 제23대 법무연수원장 등을 맡는 등 승승장구하였다. 그러다가 2001년 3월 23일 김대중 대통령에 의해 헌법재판소 재판관에 임명되었다. 하버드 로스쿨 학력과 국제법무심의관 경력 등을 쌓는 등 외국법리에 해박하다는 이유. 그러나 당시 사법감시센터 등에서는 '권력추종적 자세와 공안적 사고'를 갖춘 인물이라며 주선회 재판관의 임명에 반대를 하였다.

2004년 노무현 탄핵 심판 당시에는 주심을 맡아 노무현과의 악연을 이어갔다. 그러나 우려와는 달리 공식적으로 확인된 바는 없으나 노무현 탄핵 기각에 표를 던졌으며[5] 이로써 노무현이 대통령직에 복귀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2006년 9월 15일 윤영철 헌법재판소장 퇴임 후 헌재소장으로 지명된 전효숙 재판관이 낙마하자, 2006년 9월 20일부터 2007년 1월 21일까지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을 맡기도 했다. 2007년 3월 22일 헌법재판관에서 퇴임한 뒤에는 변호사로 개업하였다. 2013년 3월부터 2016년 3월까지는 제31대 고려대학교 교우회 회장을 역임하였다.

헌법재판관 퇴임 당시 가장 힘들었고 기억에 남는 사건으로 노무현 대통령 탄핵 심판을 꼽았다. 심리하고 결정문을 작성하는 과정에서 심각한 스트레스를 받아 원래부터 안좋은 폐가 문제를 일으켜 각혈을 했고 결국 재판이 끝난 다음 폐 일부를 절제하는 대수술을 받아야 했다고. 노무현 탄핵 심판 이후 10년이 지난 2014년에 KBS에서 그 당시에 대해 인터뷰를 했는데 소수의견을 누가 썼는지 끝까지 밝히지 않았다. 2004년 탄핵심판 당시에도 찬반 숫자를 알려 달라는 질문에 죽을 때까지 공개하지 않기로 재판관들끼리 약속했다며 자신이 그것을 말하면 자신은 법 위반으로 탄핵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왜 법 위반이냐하면 이 당시 헌법재판소법이 '헌법재판소법 36조 - 위헌, 권한쟁의, 헌법소원심판에 관여한 재판관은 의견을 표시해야 한다.' 였기 때문이다. 탄핵 심판과 위헌정당해산에 대해서는 아무런 말이 없다. 헌법재판소법 제정에 참여하고 4대 헌법재판소장을 역임한 이강국 전 헌법재판소장에 따르면 헌법재판소법 제정당시 재판관들의 정치적 부담감을 덜어주려고 탄핵과 정당해산심판은 소수의견을 달지 못하게 했다고 한다. 2004년 5월 14일, 노무현 대통령 탄핵 선고일 당시에 선고예정 시각은 10시였다. 선고를 앞두고 합의실로 모이는 와중에 김영일 재판관이 오지 않았다. 참고로 김영일 재판관은 탄핵을 주장한 재판관으로 알려져 있다. 김영일 재판관은 서명하는 것도 거부하고 있었다. 그래서 선고 시각인 10시가 넘었음에도 대심판정에 재판관들이 나타나지 않았다. 10시가 넘어서 윤영철 소장의 설득이 있은 후에야 내려왔다. 게다가 아침 출근길에서도 기자들에게 예민하게 굴었다. 이랬던 이유는 탄핵을 기각했던 다수의 재판관들이 앞서 밝힌 헌법재판소법 36조에 따라 탄핵 심판에는 소수의견을 공개하지 말아야 한다고 주장했기 때문. 노무현 대통령 탄핵심판에 참여했던 송인준 전 헌법재판관도 '고성이 많이 오갔다. 굉장히 치열하게 격론을 벌였다.' 라고 말한다. 헌법재판소법에 참여했고 훗날 윤영철의 뒤를 이어 헌법재판소장이 되는 이강국으로부터 자문까지 구했다고 한다. 이강국은 앞서 말한 바를 헌재에 전했다고 한다. 즉 소수의견은 표시를 하지 말라고 한 것. 결국 탄핵을 주장한 소수 재판관들은 한 발 물러서서 탄핵의 정당성을 담은 장문의 소수의견을 쓸 것을 요구했고 탄핵을 기각한 다수의 재판관들은 이것을 받아들였다. 즉 오히려 탄핵을 주장했던 소수의 재판관들이 자신의 의견을 공개할 것을 요구했다는 것. 그러나 이렇게 결정서에 각 재판관들의 의견표시가 나오지 않은 것은 문제가 있다며 비판받았고, 이후 "심판에 관여한 재판관은 결정서에 의견을 표시하여야 한다."(헌재법 제36조 제3항)고 헌법재판소법을 개정하였다. 아이러니하게도 그 당시 탄핵소추위원이던 김기춘 주도로... 자세한 것은 이 동영상 참조.]# #

현재 법무법인 삼우라는 곳에서 고문으로 있으나 특별한 활동은 없다.

다만 들리는 소문에 의하면 평소 검사시절의 권위적인 태도가 몸에 배여서 사람을 대하는 태도가 매우 권위적이고 인색하다고 전해진다. 특히 대학교 선후배나 가까운 친지에게도 자신에게 이득이 없으면 인색하다고 하니 더 이상 할 말이 없다. 가장 주목할 부분은 본인이 고려대학교를 나왔음에도 서울대학교 출신만 보면 열등감이 심하여 대인기피증세까지 보였다고 한다.

3. 관련 문서



[1] 참판공파(參判公派) 18세 회(會) 항렬.[2] 윤영철 헌법재판소장 퇴임으로 인한 공석에 헌법재판소법 의거, 선임재판관으로 이강국 헌법재판소장 취임 전까지 권한대행 수행.[3] 자는 임술(壬述).[4] 안달수(安達秀)의 딸이다.[5] 당시 9인의 헌법재판관 가운데 권성, 이상경, 김영일 재판관은 탄핵 인용에 표를 던졌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