啕 수다스러울 도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fff,#1c1d1f> 口, 8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fff,#1c1d1f> 11획 |
미배정 | 미배정 | ||
- | |||
일본어 음독 | - | ||
일본어 훈독 | - | ||
- | |||
표준 중국어 | táo | ||
1. 개요
啕는 '수다스러울 도'라는 한자로, '수다스럽다'를 뜻한다.2. 상세
유니코드에는 U+5555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RPOU(口心人山)로 입력한다.훈을 나타내는 口(입 구)와 음을 나타내는 匋(질그릇 도)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3.4. 지명
3.5. 창작물
3.6. 일본어
3.6.1. 훈독
3.6.2. 음독
3.7. 중국어
3.8. 기타
4. 유의자
- 𪚥(수다스러울 절)
5. 상대자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 掏(가릴 도)
- 𢔇(기다릴 도)
- 綯(노꼴 도)
- 𩛽(떡소 도)[1]
- 騊(말이름 도)
- 蜪(메뚜기새끼 도)
- 鋾(무딜 도)
- 𨂆(밟을 도)[2]
- 祹(복 도)
- 䛬(빌 도)
- 醄(술취할 도)
- 淘(쌀일 도)
- 裪(옷소매 도)
- 陶(질그릇 도)
- 𨌨(활집 도, 수레소리 횡)
- 𩋃(북 요, 북통 도)
- 𠊐
- 𡍒
- 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