畫 그림 화, 그을 획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田, 7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2획 | ||||
중학교 | |||||||
画 | |||||||
일본어 음독 | ガ, カク | ||||||
일본어 훈독 | え, えが-く, か-く | ||||||
画 | |||||||
표준 중국어 | huà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畫은 '그림 화' 또는 '그을 획'[1]이라는 한자로, '그림', '그리다', '긋다' 등을 뜻한다.2. 상세
유니코드에선 U+756B에 배정되어 있다.갑골문 | 금문 | 소전 |
상형자다. 갑골문에서는 붓(聿)으로 어떤 도형을 그리는 모습을 나타냈는데 금문과 소전으로 오면 아래의 도형이 田(밭 전)과 주변의 선으로 바뀌었다. 따라서 해서 자형에서의 田과 一은 본래의 뜻과는 관련이 없다.
이 글자는 본래 다음자(多音字)로, 동사 '긋다', '그리다', '쓰다', '선으로 나누다', '(계획을) 짜다'의 뜻일 때는 입성으로, 동사에서 파생된 명사 '그림', '계획'의 뜻일 때는 거성으로 읽는다. 畫가 명사로 더 많이 쓰이자 동사로서의 의미를 명확히 하기 위해 만들어진 글자가 劃(새길 획)이다.
후에 일본 신자체에서는 畫, 劃을 画로 합쳤으며, 중국 간체자에서는 畫를 画로, 劃을 划로 간화하였다. 단, 劃이 '긋다'로 쓰일 때는 畫와 동자로 간주하여 画로 변한다.
晝(낮 주)와 한 획 차이라서 헷갈리기 쉬우니 주의할 것. 글자 크기가 작으면 잘 구별되지도 않는다.
이체자 畵(U+7575)는 주로 한국에서 쓰며, 한자검정시험 준특급에 배정되어 있다.[2]
신자체 画와 간체자 画는 모양이 다르다.[3] 유니코드로는 똑같이 U+753B에 배정되어 있고 폰트에 따라 다르게 렌더링되므로, 해당 언어 폰트를 지정해 주어야 정확한 모양으로 출력할 수 있다.
3. 용례
- '그을 획'으로 쓰는 경우는 劃에 속해 있으므로 畫 문서에 쓰지 않는다.
3.1. 단어
- 도화(圖畫)
- 도화지(圖畫紙)
- 동양화(東洋畫)
- 동화(動画)
- 만화(漫畫)
- 묵화(墨畫)
- 민화(民畫)
- 벽화(壁畫)
- 산수화(山水畫)
- 삽화(揷畫)
- 삽화가(揷畫家)
- 상상화(想像畫)
- 수묵화(水墨畫)
- 시화(詩畫)
- 영화(映畫/映画)
- 인화(印畫)
- 인화지(印畫紙)
- 자화상(自畫像)
- 정물화(靜物畫)
- 초상화(肖像畫)
- 판화(版畫)
- 풍경화(風景畫)
- 화가(畫家)
- 화면(畫面)
- 화백(畫伯)
- 화보(畫報)
- 화상(畫像)
- 화소(畫素)
- 화실(畫室)
- 화원(畫院)
- 화첩(畫帖)
- 회화(繪畫)
3.2. 고사성어/숙어
- 자화자찬 (自畫自讚)
- 화사첨족 (畫蛇添足)
- 화룡점정 (畫龍點睛)
- 화중지병 (畫中之餠)
- 화호불성 (畫虎不成)
- 화호유구 (畫虎類狗)
- 화호난화골 지인미지심 (畫虎難畫骨 知人未知心) - 호랑이를 그리되 뼈를 그리기 어렵고, 사람을 알되 마음까지 알기는 어렵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