九 아홉 구 | 훈(訓) | 아홉 |
음(音) | 구 | |
부수 | 乙 (새 을) | |
획수 | 2획 | |
신자체 | - | |
일본어 음독 | キュウ(キウ) ·ク | |
일본어 훈독 | ここの ·ここのつ | |
간체자 | - | |
중국어 병음(표준어) | jiǔ |
1. 개요
아홉 구숫자 9와 그 서수를 뜻하는 한자이다. 획수는 丿九 의 순서대로 쓴다.
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독음은 다음과 같다.한국어 | 훈: 아홉 음: 구 |
일본어 | 음독: キュウ(キウ) ·ク 훈독: ここの ·ここのつ |
중국어 | 표준중국어: jiǔ |
광동어: gau2 | |
객가어: kiú | |
민둥어: gāu / giū | |
민난어: káu / kiú | |
우어: jieu (T2) | |
베트남어 | cửu |
유니코드에는 U+4E5D에 배당되어 있고 주음부호로는 ㄐㄧㄡˇ로 입력하며 창힐수입법으로는 大弓 (KN)로 입력한다. 한자검정시험에서는 가장 낮은 단계인 8급으로 분류되어 있다.
9가 한자릿수 중에서 제일 큰 수이기 때문에 많다는 뜻을 가지는 경우도 있고, 이와 더불어 久(오랠 구)와 비슷한 음을 가졌기 때문에 오래되다는 뜻을 가지기도 한다.
이체자로는 갖은자인 玖(옥돌 구)가 있다. 그리고 중국에서는 음이 같다는 이유로 술(酒, jiǔ)을 뜻하는 은어로 쓰이기도 한다.
갑골문자와 금문은 팔꿈치 모양으로 생겼다. 현재 팔꿈치를 뜻하는 한자는 肘(팔꿈치 주)이다.
3. 용례
3.1. 고사성어
3.2. 인명
- 김구 (金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