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22 11:01:11

남산동(대구)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FF9631>
파일:중구(대구광역시) CI_White.svg
}}}
{{{#!wiki style="color:#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행정동 법정동
<colbgcolor=#006eb5><colcolor=#fff> 동인동 [[대구광역시청/동인청사|
시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008837 10%, #FF9631 10%, #FF9631); font-size: 1em;"
]] 동인동1가
[[중구청(대구)|
구청
]] 동인동2가
동인동3가 동인동4가
삼덕동 삼덕동1가 삼덕동2가 삼덕동3가
성내1동 공평동 교동 동문동 문화동 봉산동 사일동 상덕동 완전동
용덕동 태평로1가 동성로3가 포정동 화전동 남일동 덕산동 북성로1가
동성로1가 동성로2가
.
성내2동 계산동1가 계산동2가
남성로 대안동 북내동 상서동 서내동 장관동 동일동 북성로2가
종로1가 종로2가 서문로1가 하서동 서성로2가 수동 향촌동 태평로2가
동산동 서성로1가 수창동 태평로3가 .
성내3동 달성동 도원동 인교동 서문로2가
서야동 시장북로
대신동 대신동
남산1동 남산동
남산2동
남산3동
남산4동
대봉1동 대봉동
대봉2동
}}}}}}}}} ||
중구법정동
남산동
南山洞 | Namsan-dong
<colbgcolor=#e97e20><colcolor=#fff> 광역자치단체 대구광역시
기초자치단체 중구
행정표준코드 2711015600
관할 행정동 남산1~4동
하위 행정구역 62통 404반
면적 1.61㎢
인구 34,478명[A]
인구밀도 21,414.91명/㎢

1. 개요2. 상세
2.1. 남산1동2.2. 남산2동2.3. 남산3동2.4. 남산4동
3. 학교
3.1. 초등학교3.2. 중학교3.3. 고등학교3.4. 대학교
4. 주요 시설
4.1. 주거4.2. 관공서
5. 교통
5.1. 도로5.2. 버스
5.2.1. 순환5.2.2. 간선5.2.3. 지선5.2.4. 농어촌
5.3. 도시철도
6. 출신 인물

1. 개요

대구광역시 중구의 법정동. 남산1~4동의 행정동을 가지고 있다. 남산[2]이 보이는 동네라 해서 남산동이라고 이름 붙었다.

본래는 남구였고, 1980년 4월에 대봉동 북부 지역[3]과 함께 중구로 넘어왔다.

시내 지역 외에는 남구 대명동, 이천동, 달서구 두류동, 서구 내당2, 3동과 만난다.

정작 남산4동은 남구청과 서구청과 북구청이 더 가깝다.

2. 상세

조선시대부터 현재까지 대구의 중심부를 형성하고 있다. 현재의 중앙네거리, 반월당이 개발되기 전에는 1960~1970년경 향촌동과 함께 대구의 시내였다. 이후 도심이 북쪽으로 이동하면서 쇠퇴하나 했지만, 최근 들어 이 일대의 낡은 주거단지가 대규모 아파트 타운으로 재개발되면서 활력을 띄고 있다. 현재도 중구 내에서는 상대적으로 주거지가 많은 동네다.

대구의 오랜 역사를 간직하고 있는 만큼 역사 유적지도 많이 있다. 성모당, 관덕정, 대구향교, 남산동인쇄골목, 문우관 등이다. 대구근대문화골목 5코스를 가다보면 볼 수 있다.

또한 남산동 주변으로 대학도 많이 분포하고 있다. 1900년대 초반~1950년대 접근성이 좋은 남산동과 대명동 근처로 대학이 많이 설립되었기 때문이다. 대구가톨릭대학교 성 유스티노 신학교, 가톨릭 대구 대교구가 있으며 남산역 서쪽의 대명3동에 계명대학교 대명캠퍼스가 있다. 또한 그 당시 많은 명문 초, 중, 고등학교가 수성구로 이전하기 전까지 많이 밀집되어 있었고, 현재도 다수 분포하고 있다.

2.1. 남산1동

중구행정동
남산1동
南山一洞 | Namsan 1(il)-dong
<colbgcolor=#e97e20><colcolor=#fff> 광역자치단체 대구광역시
기초자치단체 중구
행정표준코드 3410035
관할 법정동 남산동
하위 행정구역 11통 72반
면적 0.39㎢
인구 4,342명[A]
인구밀도 11,133.33명/㎢
정치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국회의원 | 중구·남구

김기웅 (초선)
대구광역시의원 | 제1선거구

임인환 (재선)
중구의원 | 가 선거구

권경숙 (재선)

김동현 (초선)

1석[5] }}}}}}}}}
행정복지센터 2.28길 18-15 (남산동)
남산1동 행정복지센터
남문시장, 대구보쌈골목, 남산자동차부속골목 그리고 대구도시철도 1,2호선 환승역인 반월당역과 1,3호선 환승역인 명덕역이 있고, 반월당사거리 접근성이 좋아 교통이 매우 좋고 재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대구명덕초등학교, 경북여자고등학교, 대구향교가 위치하고 있으며 대구원음방송이 원불교 대구경북교구청 내에 있다.

2.2. 남산2동

중구행정동
남산2동
南山二洞 | Namsan 2(i)-dong
<colbgcolor=#e97e20><colcolor=#fff> 광역자치단체 대구광역시
기초자치단체 중구
행정표준코드 3410036
관할 법정동 남산동
하위 행정구역 12통 82반
면적 0.38㎢
인구 7,389명[A]
인구밀도 19,444.74명/㎢
정치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국회의원 | 중구·남구

김기웅 (초선)
대구광역시의원 | 제2선거구

이만규 (재선)
중구의원 | 나 선거구

김오성 (초선)

김효린 (초선)

안재철 (초선) }}}}}}}}}
행정복지센터 명륜로 27-1 (남산동)
남산2동 행정복지센터
남산4동, 대신동에 이은 신축 아파트 주거단지. 대구도시철도 1,2호선 환승역인 반월당역과 2,3호선 환승역인 청라언덕역이 위치하고 있다. 청라언덕역 서편부터 형성되던 생활권이, 2020년 기점으로 동편까지 확장되기 시작하면서 남산2동도 본격적인 신시가지로 변모하고 있다. 2020년 남산 e편한세상, 2021년 남산 롯데캐슬 센트럴스카이가 입주했다. 남산2동에 위치한 "출판단지"로 불리는 인쇄골목은 6.25 전쟁 때 모이기 시작하면서 1980년대까지 리즈 시절이었지만, 내리막길을 걷다가 결국 현대건설-롯데건설이 구역을 수주하면서, 재개발이 확정되었다. 대구광역시동부교육지원청이 있는데, 옛 대구복명초등학교[7] 건물을 이용 중이다. 대구 관덕정, 대구남산초등학교가 위치하고 있으며 대구불교대학도 이 곳에 있다. 남산1동과 함께 대구도시철도의 모든 노선이 지나가며 반월당역, 청라언덕역은 환승역이라서 교통이 매우 편리하다.

2.3. 남산3동

중구행정동
남산3동
南山三洞 | Namsan 3(sam)-dong
<colbgcolor=#e97e20><colcolor=#fff> 광역자치단체 대구광역시
기초자치단체 중구
행정표준코드 3410037
관할 법정동 남산동
하위 행정구역 13통 80반
면적 0.40㎢
인구 6,305명[A]
인구밀도 15,762.50명/㎢
정치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국회의원 | 중구·남구

김기웅 (초선)
대구광역시의원 | 제2선거구

이만규 (재선)
중구의원 | 나 선거구

김오성 (초선)

김효린 (초선)

안재철 (초선) }}}}}}}}}
행정복지센터 남산로4길 70 (남산동)
남산3동 행정복지센터
대구도시철도 3호선 남산역이 있고 1,3호선 환승역인 명덕역 접근성이 좋다. 극동스타클래스 남산, 보성송림맨션이 주거단지를 이루고 대구가톨릭대학교 유스티노 캠퍼스(신학대학), 천주교 대구대교구청, 샬트르 성바오로 수녀원 성당과 코미넷관, 경북기계공업고등학교, 경구중학교(대구)가 위치하고 있다.

2.4. 남산4동

중구행정동
남산4동
南山四洞 | Namsan 4(sa)-dong
<colbgcolor=#e97e20><colcolor=#fff> 광역자치단체 대구광역시
기초자치단체 중구
행정표준코드 3410038
관할 법정동 남산동
하위 행정구역 26통 170반
면적 0.45㎢
인구 16,442명[A]
인구밀도 36,537.78명/㎢
정치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국회의원 | 중구·남구

김기웅 (초선)
대구광역시의원 | 제2선거구

이만규 (재선)
중구의원 | 나 선거구

김오성 (초선)

김효린 (초선)

안재철 (초선) }}}}}}}}}
행정복지센터 남산로1길 42 (남산동)
남산4동 행정복지센터
대구도시철도 2,3호선 환승역인 청라언덕역이 있으며 2호선 반고개역, 3호선 남산역 접근성이 좋다. 대신동과 남산2,3,4동의 '청라언덕역 생활권'이 대구 중구에서는 최대의 주거단지이다. 청라 센트럴파크, 남산 휴먼시아, 남산 그린타운, 보성 황실타운[10], 까치 아파트[11], 남산역 화성파크드림이 있다. 나머지 낙후지역인 남산 4-4지구, 4-5지구도 각각 남산자이하늘채, 청라힐스자이로 재건축되어 2022년, 2023년에 입주를 하였다. 대신동과 같이, 관할구역의 대부분이 아파트 주거단지로 발전하는 중이다. 달구벌대로 방면으로는 대신동과 마주보고 있으며, 중부소방서와 내당네거리 사이로는 남구 대명동, 달서구 두류동, 서구 내당동과 마주보고 있어서 대구광역시에서 무려 4개 구가 만난다.[12] 반고개역과 청라언덕역이 위치하고 있어 매우 교통이 좋다.

대성에너지 본사가 있다.

3. 학교

3.1. 초등학교

3.2. 중학교

3.3. 고등학교

3.4. 대학교

4. 주요 시설

4.1. 주거

  • 까치 아파트 - 1992년 6월
  • 보성 송림맨션 - 1992년 12월
  • 보성 황실타운 - 1993년 3월
  • 남산 그린타운 - 2005년 4월
  • 반월당 SK허브스카이 - 2006년 9월
  • 반월당 삼정그린코아 - 2007년 7월
  • 남산 휴먼시아 - 2008년 10월
  • 청라 센트럴파크 - 2008년 10월
  • 남산 인터불고 코아시스 - 2014년 2월
  • 극동스타클래스 남산 - 2014년 6월
  • 반월당 효성해링턴플레이스 - 2014년 7월
  • 남산역 화성파크드림 - 2018년 9월
  • 남산 e편한세상 - 2020년 5월
  • 남산 롯데캐슬 센트럴스카이 - 2021년 9월
  • 남산자이하늘채 - 2022년 3월
  • 반월당역 서한포레스트 - 2022년 11월
  • 청라힐스자이 - 2023년 2월
  • 해링턴플레이스 더 반월당 - 2024년 8월
  • 명덕역 루지움푸르나임 - 2025년 11월
  • 반월당역 반도유보라 - 2025년 12월
  • 명륜지구 (힐스테이트, 롯데캐슬) - 입주미정
  • 반월당 사랑마을 가로주택정비사업 (코오롱하늘채) - 입주미정
  • 대구 남산동 729-6 공동주택 (롯데캐슬) - 입주미정
  • 남산3가 가로주택정비사업 (화성파크드림) - 입주미정

4.2. 관공서

5. 교통

대구의 중심부에 있어서 교통이 편리하다. 대구에서 유일하게 도시철도 1,2,3호선이 모두 통과하는 곳이며, 또한 2025년 현재 대구에 존재하는 환승역 3개[13]가 모두 존재한다.

대경선4호선이 개통되면 대구역수성구민운동장역에서 환승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5.1. 도로

달구벌대로, 남산로, 중앙대로, 명덕로, 명륜로가 관통한다.

5.2. 버스

5.2.1. 순환

5.2.2. 간선

5.2.3. 지선

5.2.4. 농어촌

5.3. 도시철도

6. 출신 인물


[A] 2023년 7월 주민등록인구[2] 대구 남쪽에 있는 산, 즉 두류산[3] 남구에 잔류한 대봉동 남쪽 지역은 이천동으로 개칭했다.[A] [5] 이경숙 전 의원 피선거권 상실로 인한 공석[A] [7] 1999년에 범물1동행정복지센터 옆으로 이전했다.[A] [A] [10] 옛 영남중고교 자리[11] 대구도시공사의 시영아파트[12] 이런 곳을 사합점이라고 하며, 세계적으로는 미국에서 유일하게 4개 주가 한 점에 만나는 포 코너스가 유명하다.[13] 반월당역, 청라언덕역, 명덕역[14] 다만 출생지만 남산동이고 성장기는 군위군 군위읍 용대리에서 보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