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 경북대학교사범대학부설초등학교 | 계성초등학교 | 대구남산초등학교 | 대구동덕초등학교 |
대구동인초등학교 | 대구명덕초등학교 | 대구삼덕초등학교 | 대구수창초등학교 | |
대구종로초등학교 | 대구초등학교 | }}}}}}}}}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
학교 틀 둘러보기 |
<colbgcolor=#008837><colcolor=#fff> 대구명덕초등학교 大邱明德初等學校 Daegu Myeongdeok Elementary School | |
| |
개교 | 1940년 4월 5일 |
성별 | 남녀공학 |
형태 | 공립 |
교장 | 박종두 |
교훈 | 꿈을 가꾸며 바르고 튼튼하게 자라나는 명덕 어린이 |
교화 | 장미 |
교목 | 향나무 |
학생 수 | 300명[기준] |
교직원 수 | 28명[기준] |
관할 교육청 | 대구광역시동부교육지원청 |
주소 | 대구광역시 중구 남산로2길 125 (남산동) |
홈페이지 | |
<nopad> |
[clearfix]
1. 개요
대구광역시 중구 남산동에 있는 공립초등학교이다.2. 학교 연혁
- 1940년 3월 31일: 대구 남부 공립 심상소학교 설립 인가
- 1940년 4월 5일: 대구 남산정 공립 심상 소학교개교
- 1940년 4월 5일: 4학급 편성 직원 5명 아동 265명
- 1941년 4월 1일: 대구 남부 국민학교로 교명 변경
- 1941년 9월 30일: 현 본교사 1기공사 준공
- 1946년 6월 29일: 제 1회 졸업식 졸업생 남 118명 여 68명 계 186명
- 1946년 9월 30일: 대구 중앙 국민학교와 봉산 국민학교 신설로 인하여 제학구 아동을 대구 중앙학교에 3학급봉산 국민학교에 2학급 분여함 22학급 편성 직원 22명 아동 1,521명
- 1949년 9월 30일: 5개교실 증축 공사 준공
- 1951년 9월 16일: 가교사 10교실 (동편 100평 서편 96평) 공사 준공
- 1951년 11월 20일: 교사 부족으로 인하여 가교사 3개교실(36평) 증설 준공
- 1953년 6월 3일: 구 대구 남부 국민학교를 대구 명덕국민학교로 교명변경 허가
- 1953년 11월 9일: 운동장 부지 공사 완공
- 1961년 12월 29일: 신관(시멘트 벽돌) 4교실 신축 본관 서편 출입계단 증축
- 1962년 6월 5일: 남교문 신설
- 1968년 10월 29일: 남도국교로 학생인계 1년 243, 2년 183, 3년 235 계 661명
- 1972년 5월 11일: 대구 교대 대용 부속 국민학교로 지정
- 1982년 7월 12일: 시계탑 건립
- 1987년 9월 19일: 본관신축
- 1996년 1월 26일: 대구명덕초등학교 병설유치원 설립인가
- 1996년 3월 1일: 대구명덕초등학교로 교명 변경
- 1996년 3월 11일: 명덕 병설 유치원 개원(남 14, 여 19 계 33명)
- 2007년 12월 24일: 교표 및 교훈석 제막식(제 17회 권원강 동문 기증)
- 2009년 10월 8일: 인조잔디운동장 개장
- 2010년 8월 27일: 다목적 강당 공사 준공
- 2011년 10월 29일: 다목적 강당(명덕관) 및 급식실 개관
- 2017년 11월 20일: 명덕역사관 개관
- 2019년 2월 1일: 제74회 졸업(남16명, 여18명, 계34명, 졸업생총수 33,437명)
- 2020년 12월 15일: 2020년 학교폭력예방 우수학교 교육감 표창
- 2020년 12월 31일: 2020년도 학교농장조성사업 대구광역시장 표창
- 2022년 9월 1일: 제34대 박종두 교장선생님 부임
3. 상징
3.1. 교훈
꿈을 가꾸며 바르고 튼튼하게 자라나는 명덕 어린이
3.2. 교표
- 무궁화 나뭇잎 3개로 안전과 조화
- 원: 통일과 원만
- 백색원: 깨끗하고 밝고 맑음
- 명덕: 영원과 지속
3.3. 교화
- 장미
- 특징: 잎이 어긋나고 깃 꼴겹잎이며, 작은잎에 톱니가 있음. 꽃은 1개 또는 산방꽃 차례로 늘어서고 흰색,붉은색,또는 노랑색 꽃받침은둥글거나 독모양이고 꽃잎은 5장이고 꽃받침통 안쪽에 붙어있고 수술은 다수.암술대는 떨어져 있거나 붙어있음.열매는 수과로 꽃받침통에 싸이고,익으면 육질이 됨. 백화중의 왕이라 할 수 있는 아름다운 모습과 향기가 있음.
- 상징성: 기품있는 자태
3.4. 교목
- 향나무
- 특징: 상록 관목 또는 교목,잎은 마주 나거나 또는 돌려나고 비늘모양 또는 바늘모양,꽃은 암수 한 그루 또는 암수 딴 그루에 붙고, 수꽃의 밥은 마주 나거나,돌려나며 알모양 또는 타원형, 암꽃은 3~8개의 비늘이 있고,열매는 육질로 되어 장과 모양의 구과
- 상징성: 폭풍우에나 눈보라에도 굽히지 않고 언제나 푸르고 의연하게 자라는 기상을 나타냄.
3.5. 교가
4. 출신 인물
- 김주환(정치인)
- 남우식 - 전 푸르밀 대표이사, 야구선수
- 이선희 - 야구선수
- 이연재 - 정치인
- 이종구(군인)
- 이창동 - 영화감독
- 이효봉 - 야구 해설위원, 야구선수
- 최국진(1965)
- 함학수 - 야구선수
- 전태일 - 노동운동가
- 이윤복 - 1965년 제3회 청룡영화상 최우수작품상을 수상한 저 하늘에도 슬픔이의 원작이 되는 일기 『저 하늘에도 슬픔이』의 원작자
5.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5.1. 버스
- 명덕초등학교앞/건너: 306, 509, 518, 650, 706, 805, 남구1(-1), 순환2(-1)
- 명덕역(6번/7번출구): 204[3], 304[4], 306, 349, 405, 410(-1), 503, 518, 649, 650, 706, 805
5.2. 도시철도
대구 도시철도 1호선: 명덕역
대구 도시철도 3호선: 명덕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