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민국|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주요 햄버거 브랜드 | |||||
| 기타 햄버거 브랜드 | ||||||
| [[쉐이크쉑/대한민국| 쉐이크쉑 ]] | ||||||
| (※ 매장 수 기준 정렬, 국내브랜드는 50매장 이상, 치킨 배달 위주 브랜드 제외) | }}}}}}}}} | |||||
| <colbgcolor=#7fc241><colcolor=#000000> 프랭크버거 FRANK BURGER: Handmade Cheeseburger | |||
| | |||
| 브랜드 정보 | |||
| 분류 | 수제버거 브랜드 | ||
| 출시일 | 2019년 ([age(2019-01-01)]주년) | ||
| 국가 | | ||
| 대표자 | 심우창 | ||
| 운영사 | (주)프랭크F&B (주)Frank F&B | ||
| 주소 | 인천광역시 서구 보도진로42번길 5 (가좌동, 미래그린단지) | ||
| 앱 | |||
| 링크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기업 정보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7fc241><colcolor=#000000> 운영사 정보 | ||
| 운영사 | (주)프랭크F&B | ||
| 설립일 | 2012년 11월 21일 ([age(2012-11-21)]주년) | ||
| 대표 | 심우창 | ||
| 업종 | 외식업/서비스업/도소매업 | ||
| 임직원수 | 120명 | ||
| 대표번호 | 1544-7733 | ||
| 032-678-1661 (팩스) | |||
| 이메일 | [email protected] | }}}}}}}}} | |
1. 개요
| 브랜드 광고영상 |
정통 미국식 프리미엄 수제버거
FRANK BURGER
대한민국의 햄버거 프랜차이즈 브랜드. 운영사는 (주)프랭크에프앤비이다.FRANK BURGER
2. 로고
| | |
| <rowcolor=#000000,#ffffff> 로고 | 심볼 |
3. 메뉴
| |
| 프랭크버거 메뉴판 |
4. 논란 및 사건사고
- 수제버거를 표방하지만 번은 커녕 패티나 소스조차도 자사의 공장에서 납품받는 것으로 보인다. 이를 두고 프랭크버거가 수제버거가 맞긴 하냐는 논란이 있다. 자동화 공장에서 생산된 패티는 지점에서 직접 만든 패티가 아닌 공장에서 냉동 상태로 유통되는 패티이기 때문에 그런 패티를 쓰는 프랭크버거를 수제버거라고 부르기 힘들다는 것이다. 재료를 손으로 결합하기에 수제버거라는 주장도 있지만, 위의 영상을 보면 공장에서 만드는 패티임에도 '수제 패티'라고 분명하게 명시하고 있다. 참고로 비슷한 사례인 쉐이크쉑이 2016년 11월부터 '수제버거'라는 표현 대신 '프리미엄 버거'라는 표현을 사용하는 것과 달리, 쉐이크쉑과 유사한 로고와 브랜드 컬러, 그리고 유사한 지향점을 내세우는 프랭크버거는 여전히 수제버거라는 입장을 고수 중이다.
- 온라인을 중심으로 프랭크버거의 '라지 사이즈가 폐지되었다'는 낭설이 있으나, 이는 사실 2025년 9월부터 전국 매장의 버거 사이즈가 라지로 일원화된 것이 와전된 것이다. 기존에는 메뉴별로 '레귤러'와 '라지' 사이즈가 있었으나, 주문 혼선을 줄이고 매장 운영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기존 레귤러 사이즈를 라지 사이즈로 통합한 것이다. 즉, 레귤러 사이즈가 폐지된 것이지 라지 사이즈가 폐지된 것이 아니다.
- 2025년 11월 2일, 가맹사업법 위반으로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과징금 6억 4천 1백만원을 부과받았다. 위반 사항은 가맹희망자 등에게 허위·과장된 예상 수익 정보가 포함된 가맹안내서 배포, 본사로부터만 구매할 필요가 없는 물품에 대한 구매 강제, 신메뉴 출시 후 사은품을 지급하는 판촉행사를 하면서 비용 일부를 부담해야 하는 점을 가맹점주에게 동의받지 않음 등이다.
| <rowcolor=#000,#fff> |
5. 여담
- 시그니처 메뉴 중 하나인 'JG버거'의 뜻은 '맛의 종결(JG)'을 의미한다고 하나, 사실은 김종국이 전속모델인 시절 신메뉴로 출시하면서 붙였던 이름으로, 지금은 그럴싸하게 의미를 부여한 이름이다. 비슷한 사례로 지금은 단종된 'SG버거'가 있으며, 이승기가 전속모델인 시절 출시되었으며, 나중에 'Special Grade'로 의미를 부여하였었다.
- 전반적으로 단맛을 추구하는 브랜드이다. 소스는 물론이고 심지어 번마저 달다는 평[1]도 여럿 있다.
- 자체 푸드트럭을 통해 서울·인천 지역의 아동복지시설 및 결식아동에게 수제버거를 기부하는 등 사회공헌활동을 지속적으로 전개하고 있다.
- 브랜드를 운영하는 주식회사 프랭크에프앤비는 ISO 9001, ISO 14001 인증을 받았다.
- 다양한 기업들과 협력 관계를 맺고 있다.
| <rowcolor=#000,#fff> 주요 파트너 및 협력업체 | |||
| SPC 삼립 | 매일유업 | 오뚜기 | SASE |
| Enterpack | 한미FB | S FOOD | 선우프레시 |
| 혜성프로비젼 | 한국파렛트풀 | 동서 | 견우푸드 |
| CJ프레시웨이 | CJ제일제당 | ||
[1] 브리오슈 번의 특징이긴 하지만 프랭크버거의 브리오슈 번은 다른 브랜드의 브리오슈 번보다 달다